맨위로가기

이택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택광은 대한민국의 문화 비평가이자 영미문화 전공 교수이다. 부산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워릭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셰필드 대학교에서 문화이론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국 유학 시절에는 <교수신문> 통신원으로 활동하며 문화 비평을 시작했으며, 귀국 후 광운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현재 경희대학교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영미문화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다양한 저술 활동을 통해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셰필드 대학교 동문 - 해럴드 크로토
    해럴드 크로토는 1996년 풀러렌 발견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영국의 화학자로, 분광학, 양자화학, 천체화학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쳤으며 과학 교육 및 대중화에 기여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 무신론자이자 인본주의자이다.
  • 셰필드 대학교 동문 - 힐러리 맨텔
    영국의 소설가이자 평론가인 힐러리 맨텔은 토마스 크롬웰 3부작 역사 소설로 부커상을 두 차례 수상하며 명성을 얻었으며, 16세기 영국을 배경으로 권력, 욕망, 인간 본성을 탐구하는 작품과 왕실 및 가톨릭 교회 비판으로도 알려져 있다.
  • 워릭 대학교 동문 - 이언 스튜어트 (수학자)
    이언 스튜어트는 잉글랜드 출신의 수학자이자 과학 저술가로, 워릭 대학교 수학 교수이며 리 대수 전공, 대중적인 수학 저술과 카오스 이론 연구, '디스크월드의 과학' 시리즈 집필, 그리고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수학적 오락" 칼럼 연재 등으로 알려져 있다.
  • 워릭 대학교 동문 - 루치아노 플로리디
    이탈리아 철학자 루치아노 플로리디는 정보철학의 선구자로서 정보의 본질, 윤리적 함의, 인포스피어 개념을 연구하고, 옥스퍼드 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활동했으며 현재 예일 디지털 윤리 센터 소장으로 정보 혁명의 사회적, 윤리적 영향에 대한 논의를 이끌고 있다.
  • 대한민국의 문화 평론가 - 진중권
    대한민국의 미학자이자 작가, 평론가, 대학교수인 진중권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학, 예술, 정치, 사회에 대한 저술 및 번역 활동과 진보 정당 활동을 해왔다.
  • 대한민국의 문화 평론가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이택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택광
이택광
출생지경상북도 칠곡군
직업교수, 평론가
활동 기간1990년 ~ 현재
장르평론

2. 생애

부산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영국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광운대학교를 거쳐 경희대학교에서 문화 이론과 문화 연구를 가르치고 있다.

2. 1. 영국 유학 시절

부산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한 후 '문화연구'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영국으로 건너가 워릭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셰필드 대학교 대학원 영문학과에서 문화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유학 시절 <교수신문> 통신원으로 활동했고, 1998년 <씨네21>에 영화비평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문화비평을 시작했다.

2. 2. 귀국 후 활동

부산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문화연구'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영국으로 건너가 워릭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셰필드 대학교 대학원 영문학과에서 문화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유학 시절 <교수신문> 통신원으로 활동했고, 1998년 <씨네21>에 영화비평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문화비평을 시작했다. 2005년 귀국 후 광운대학교 조교수로 임용되어 문화이론과 문화연구를 가르쳤고, 2007년부터 경희대학교 '영미문화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3. 학력

4. 경력


  • 경희대학교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영미문화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 광주비엔날레와 부산비엔날레 학술위원을 역임하였다.
  • 경기문화재단 자문위원과 《교수신문》 서평위원을 역임하였다.

5. 저서

문화 비평, 인문학,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그의 저서는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제목출판사출판 연도
《들뢰즈의 극장에서 그것을 보다》갈무리2002년
《한국 문화의 음란한 판타지》이후2002년
《영단어 인문학 산책》난장이2010년
《인문좌파를 위한 이론 가이드》글항아리2010년
《인상파 파리를 그리다》아트북스2011년
《이것이 문화비평이다》자음과모음2011년
《99% 정치》마티2012년
《마녀 프레임》자음과 모음2013년
《인생론》북노마드2014년
《박근혜는 무엇의 이름인가》시대의창2014년


6. 관련 기사


  • 롭 엔슬린(Rob Enslin). [https://web.archive.org/web/20170824093816/http://asnews.syr.edu/newsevents_2012/releases/taek_gwang_lee.html SU Humanities Center hosts lectures by renowned cultural critic] (저명한 문화 평론가 초청 강연). Inside SU영어. 2012년 3월 26일.
  • 존 R. 에퍼제시(John R. Eperjesi). [http://www.huffingtonpost.com/john-r-eperjesi/communists-meet-gangnam-style_b_4047098.html Communists Meet Gangnam Style: Alain Badiou and Slavoj Žižek in South Korea] (공산주의자, 강남스타일을 만나다: 알랭 바디우와 슬라보예 지젝, 한국을 방문하다). Huffpost영어, 2013.
  • 케시 노박(Kathy Novak). [http://money.cnn.com/2015/10/04/news/south-korea-men-cosmetics/ Why South Korea's men are buying tons of cosmetics] (한국 남성들이 화장품을 많이 사는 이유). CNN영어, 2015.
  • 케이트 서튼(Kate Sutton). [https://www.artforum.com/diary/id=63363 Seoul Cycle]. Artforum영어,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