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토 도모히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토 도모히코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골키퍼로 활약했다. 1978년 오사카부에서 태어났으며, 1997년 나고야 SC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벤포레 고후, 쇼난 벨마레, 세레소 오사카를 거쳐 2006년 쇼난 벨마레로 복귀하여 2009년 은퇴했다가, 2010년 선수로 복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포레 고후의 축구 선수 - 아키요시 다이스케
    아키요시 다이스케는 1985년 구마모토현에서 태어난 일본 축구 선수로, SK 슈투름 그라츠 리그 우승 기여를 포함해 불가리아, 오스트리아, 싱가포르, 일본 등 다양한 프로 축구팀에서 활동했다.
  • 방포레 고후의 축구 선수 - 후지타 마사토
    후지타 마사토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J리그 여러 구단에서 활약하며 2013년 J리그컵 우승에 기여했고 현재는 가시와 레이솔 U-18팀 감독으로 지도자 생활을 하고 있다.
  • 오사카부 출신 축구 선수 - 유구치 에이조
    유구치 에이조는 1945년 오사카 출생으로 얀마 디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1968년 하계 올림픽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고, 킨키 대학 축구부 감독을 역임하다가 2003년 위암으로 사망했다.
  • 오사카부 출신 축구 선수 - 마쓰시타 가즈마
    마쓰시타 가즈마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아로즈 기타리쿠와 카타레 토야마에서 프로 선수로 활동했으며, 아로즈 기타리쿠에서는 리그 우승에 기여하고 주장을 맡았으며, 카타레 토야마에서는 2008시즌 12경기 1골을 기록했고 은퇴 후에는 스포츠 의류 회사나 요식업에 종사했다.
  • 세레소 오사카의 축구 선수 - 유구치 에이조
    유구치 에이조는 1945년 오사카 출생으로 얀마 디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1968년 하계 올림픽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고, 킨키 대학 축구부 감독을 역임하다가 2003년 위암으로 사망했다.
  • 세레소 오사카의 축구 선수 - 황선홍
    황선홍은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의 핵심 공격수로 활약하며 4회 연속 월드컵에 출전하고 2002년 월드컵 4강에 기여했으며, J리그 득점왕, K리그 구단 감독, 아시안 게임 금메달, 국가대표팀 임시 감독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 대표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이토 도모히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전체 이름Ito Tomohiko
카타카나 표기Ito Tomohiko
알파벳 표기ITO Tomohiko
선수 정보
출생일1978년 5월 28일 ()
출생지오사카부
187cm
포지션골키퍼
주발오른발
클럽 경력
유소년 클럽 연도1994-1996
유소년 클럽주쿄 대학 부속 주쿄 고등학교
클럽 연도1997-1998
클럽나고야 SC
클럽 연도1999-2000
클럽방포레 고후
출장44
득점0
클럽 연도2001-2002
클럽쇼난 벨마레
출장1
득점0
클럽 연도2003-2005
클럽세레소 오사카
출장23
득점0
클럽 연도2006-2010
클럽쇼난 벨마레
출장30
득점0
통산 출장98
통산 득점0
국가대표 경력
감독 경력
수상
세레소 오사카
준우승2003년 천황배

2. 선수 경력

이토는 1978년 5월 28일 오사카부에서 태어났다.[1] 고등학교 졸업 후 1997년 지역 리그 클럽 나고야 SC에 입단했다.[1] 1999년, 그는 새롭게 J2 리그로 승격된 벤포레 고후로 이적했다.[1] 사카모토 다케히사에 밀려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지만, 1999년 후반부터 주전 골키퍼가 되었다.[1] 그러나 클럽은 2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다 (1999년, 2000년).[1] 2001년에는 J2 클럽 쇼난 벨마레로 이적했다.[1] 그러나 이토 유지와 스즈키 마사히토에 밀려 거의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1] 2003년에는 J1 클럽 세레소 오사카로 이적했다.[1] 그러나 2003년에는 시모카와 세이고와 타다 다이스케에 밀려 전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1] 2004년에는 주전 골키퍼로 많은 경기에 출전했다.[1] 그러나 2005년에는 새로운 멤버인 요시다 모토히로에 밀려 거의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1] 2006년에는 4년 만에 J2 클럽 쇼난 벨마레로 이적했다.[1] 2006년에는 주전 골키퍼로 많은 경기에 출전했지만, 2007년부터 신입 선수인 김영기에 밀려 전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고, 2009 시즌 말에 은퇴했다.[1] 그러나 많은 골키퍼가 부상을 입어 2010년에 선수로 복귀했다.[1] 하지만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고, 2010 시즌 말에 은퇴했다.[1]

주쿄 대학 부속 주쿄 고등학교 1학년 때 팀은 제73회 전국 고등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지만, 본인의 출전 기회는 없었다.[1] 고등학교 졸업 후 1997년 도카이 사회인 리그(당시)의 나고야 축구 클럽에 입단했다.[1] 일반적으로 J리그 클럽에 입단하는 경우가 많았기에 사회인 팀 입단은 이례적이었다.[1] 1999년에는 J2리그의 반포레 고후에 입단했다.[1] 입단 첫해에는 사카모토 타케히사의 백업 선수였지만 2000년에는 사카모토를 제치고 주전 자리를 꿰차 38경기에 출전했다.[1] 하지만 그해를 마지막으로 고후를 퇴단하고 2001년 쇼난 벨마레로 이적했다.[1] 그러나 이토 유지와 스즈키 마사토에 밀려 2년간 리그 경기 1경기 출전에 그쳤다.[1] 2003년에는 세레소 오사카로 완전 이적했다.[1] 처음에는 시모카와 세이고·타다 다이스케에 이은 3번째 골키퍼였지만, 시모카와가 가와사키 프론탈레로 이적한 2004년에는 타다를 제치고 23경기에 출전했다.[1] 하지만 2005년에는 감바 오사카에서 이적한 요시다 무네히로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고 그해를 마지막으로 세레소를 퇴단했다.[1]

2006년에는 한때 주전 자리를 다퉜던 스즈키와 교체되는 형태로 4년 만에 쇼난에 복귀했다.[1] 그해에는 주전으로 기용되어 30경기에 출전했다.[1] 하지만 2007년에는 김영기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고 이후 출전 기회는 없었다.[1] 2009년을 끝으로 현역 은퇴를 발표하고 2010년 쇼난의 골키퍼 코치로 취임했다.[1] 그러나 골키퍼진의 잇따른 부상 이탈로 인해 급하게 현역 복귀를 했다.[1] 이 해에는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서 임대 영입한 츠즈키 류타가 주로 기용되었기 때문에 출전 기회는 없었지만 시즌 종료까지 선수 등록이 되어 있었다.[1]

2. 1. 초기 경력

이토 도모히코는 1978년 5월 28일 오사카부에서 태어났다.[1] 고등학교 졸업 후 1997년 지역 리그 클럽 나고야 SC에 입단했다.[1] 주쿄 대학 부속 주쿄 고등학교 1학년 때 팀은 제73회 전국 고등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지만, 본인의 출전 기회는 없었다.[1] 일반적으로 J리그 클럽에 입단하는 경우가 많았기에 사회인 팀 입단은 이례적이었다.[1]

1999년, J2 리그로 승격된 벤포레 고후로 이적했다.[1] 입단 첫해에는 사카모토 다케히사의 백업 선수였지만, 1999년 후반부터 주전 골키퍼가 되었다.[1] 2000년에는 사카모토를 제치고 주전 자리를 꿰차 38경기에 출전했지만, 클럽은 2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다 (1999년, 2000년).[1]

2001년에는 J2 클럽 쇼난 벨마레로 이적했지만, 이토 유지와 스즈키 마사히토에 밀려 2년간 리그 경기 1경기 출전에 그쳤다.[1] 2003년에는 J1 클럽 세레소 오사카로 완전 이적했다.[1] 처음에는 시모카와 세이고·타다 다이스케에 이은 3번째 골키퍼였지만, 시모카와가 가와사키 프론탈레로 이적한 2004년에는 타다를 제치고 23경기에 출전했다.[1] 그러나 2005년에는 감바 오사카에서 이적한 요시다 모토히로에 밀려 거의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고 그해를 마지막으로 세레소를 퇴단했다.[1]

2006년에는 한때 주전 자리를 다퉜던 스즈키와 교체되는 형태로 4년 만에 쇼난에 복귀, 그해에는 주전으로 기용되어 30경기에 출전했다.[1]

2. 2. 반포레 고후 (1999-2000)

이토 도모히코는 1999년 J2 리그로 승격된 반포레 고후로 이적했다.[1] 입단 초기에는 사카모토 다케히사에 밀려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지만, 1999년 후반부터 주전 골키퍼로 활약했다.[1] 하지만, 팀은 1999년과 2000년 2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다.[1] 2000년에는 사카모토를 제치고 주전 자리를 꿰차 38경기에 출전했지만, 그해를 마지막으로 고후를 퇴단했다.[1]

2. 3. 쇼난 벨마레 (2001-2002)

이토 도모히코는 2001년 J2 리그 클럽 쇼난 벨마레로 이적했다.[1] 그러나 이토 유지와 스즈키 마사히토에 밀려 거의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1] 2년간 리그 경기 1경기 출전에 그쳤다.[1]

2. 4. 세레소 오사카 (2003-2005)

이토는 2003년 J1 클럽 세레소 오사카로 이적했다.[1] 2003년에는 시모카와 세이고와 타다 다이스케에 밀려 전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지만,[1] 시모카와가 가와사키 프론탈레로 이적한 2004년에는 타다를 제치고 주전 골키퍼로 23경기에 출전했다.[1] 그러나 2005년에는 감바 오사카에서 이적한 요시다 모토히로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고 그해를 마지막으로 세레소를 퇴단했다.[1]

2. 5. 쇼난 벨마레 복귀 (2006-2010)

이토는 2006년 4년 만에 J2 클럽 쇼난 벨마레로 복귀했다.[1] 그해에는 주전으로 기용되어 30경기에 출전했다.[1] 하지만 2007년에는 김영기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고 이후 출전 기회는 없었다.[1] 2009년을 끝으로 현역 은퇴를 발표하고 2010년 쇼난의 골키퍼 코치로 취임했다.[1] 그러나 골키퍼진의 잇따른 부상 이탈로 인해 급하게 현역 복귀를 했다.[1] 이 해에는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서 임대 영입한 츠즈키 류타가 주로 기용되었기 때문에 출전 기회는 없었지만, 시즌 종료까지 선수 등록이 되어 있었다.[1]

3. 클럽 통계

클럽 기록리그천황배J리그컵합계
시즌클럽리그출장출장출장출장
1999반포레 고후J2리그60200080
20003804020440
2001쇼난 벨마레J2리그10000010
20020000-00
2003세레소 오사카J1리그00000000
20042301040280
200500100010
2006쇼난 벨마레J2리그30000-300
20070000-00
20080000-00
20090000-00
2010쇼난 벨마레J1리그00000000
통산98080601120


4. 소속 클럽

이토 도모히코는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주고쿠 대학교 부속 주쿄 고등학교 축구부에서 활동했다. 1997년부터 1998년까지는 나고야 클럽 소속이었다. 1999년부터 2000년까지는 반포레 고후에서, 2001년부터 2002년까지, 그리고 2006년부터 2010년까지는 쇼난 벨마레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세레소 오사카 소속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honan Bellmare http://www.bellmare.[...]
[2] 웹사이트 伊藤友彦選手 再登録のお知らせ http://www.bellma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