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구보건복지협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구보건복지협회는 모자보건법에 근거하여 보건복지부 산하에 설립된 비영리공익법인으로, 1961년 4월 1일 대한가족계획협회로 시작했다. 인구 변화, 모자 보건, 출산 지원에 관한 조사, 연구, 교육, 홍보 사업을 수행하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세상"을 비전으로, 개인과 가족의 건강과 돌봄을 지원하는 파트너를 미션으로 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국민 인식 개선,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건강한 성문화 조성, 청소년 성교육 등이 있으며, 전국 지회를 통해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단법인 (보건복지부 소관) - 대한노인회
    대한노인회는 노인 권익 보호와 복지 증진을 위해 설립된 단체로, 1969년 설립 이후 여러 회장을 거쳐 현재까지 활동하며, 관련 법률에 의해 지원받는다.
  • 사단법인 (보건복지부 소관) -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는 의료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치과의사 단체로, 대의원총회를 최고 의결기구로 두고 치과 의료 관련 정책 및 사업을 수행한다.
  • 1961년 설립된 단체 - 비동맹 운동
    비동맹 운동은 1961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창설된 국제기구로, 특정 강대국 블록에 가담하지 않고 독립적인 국가들의 모임이며, 제국주의, 식민주의 등에 반대하며 주권과 영토 보전을 목표로 한다.
  • 1961년 설립된 단체 - 경제협력개발기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유럽 경제 협력 기구(OEEC)에서 출발하여 미국, 캐나다, 일본 등의 가입을 통해 글로벌 기구로 재편되었으며, 현재 38개 회원국이 경제 성장, 개발 지원, 무역 활성화, 국제 조세 규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은 1987년 국민연금법에 의해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국민의 노후, 사망, 장애에 대비한 연금 지급과 복지 사업을 통해 국민 복지 증진을 목표로 하며, 세계 3대 연기금으로 성장하여 기금 운용, 노후 설계 서비스 제공, 장애 심사 등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 대한노인회
    대한노인회는 노인 권익 보호와 복지 증진을 위해 설립된 단체로, 1969년 설립 이후 여러 회장을 거쳐 현재까지 활동하며, 관련 법률에 의해 지원받는다.
인구보건복지협회
기본 정보
이름인구보건복지협회
영어명Korea Population Health and Welfare Association
약칭인구보건복지협회
KoPHWA
모토함께하는 건강 가족, 지속 가능한 행복 세상
설립
설립 근거제16조에 근거한 보건복지부 산하 비영리공익법인
설립일1961년 4월 1일
전신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
위치
소재지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6가 121-146
경영진
회장이삼식
사무총장박기남
웹사이트
웹사이트인구보건복지협회 웹사이트

2. 설립 근거 및 목적

모자보건법 제16조에 따라 보건복지부 산하 비영리 공익법인으로 1961년 4월 1일에 설립되었다. 인구 변화, 모자 보건, 출산 지원에 관한 조사, 연구, 교육 및 홍보 업무를 수행한다.[1]

2. 1. 설립 근거

모자보건법 제16조에 근거한 보건복지부 산하 비영리 공익법인이다.

2. 2. 설립 목적

인구보건복지협회는 1961년 4월 1일에 설립된 비영리 공익법인으로, 인구 변화, 모자 보건, 출산 지원에 관한 조사, 연구, 교육 및 홍보 업무를 수행한다.[1] 협회의 비전은 '함께하는 건강 가족, 지속 가능한 행복 세상'이며, 미션은 '개인과 가족의 건강과 돌봄을 지원하는 파트너'이다.[1]

3. 연혁


  • 1961년 4월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 창립[1]
  • 1961년 6월 국제가족계획연맹(IPPF) 가입[1]
  • 1962년 10월 협회 시도지부 설립[2]
  • 1963년 1월 가족계획요원 및 시술의사 훈련
  • 1965년 8월 시도지회 부속의원 설치
  • 1966년 8월 세 자녀 갖기 운동
  • 1968년 8월 월간 가정의 벗 창간
  • 1971년 1월 둘 낳기 운동 전개
  • 1973년 1월 1일 모자보건법 시행령 제정 공포[1]
  • 1975년 10월 지역사회 중심 파임보급사업(CBD) 실시[1]
  • 1976년 11월 청사 건립 (국제가족계획연맹(IPPF)의 지원)[1]
  • 1980년 5월 가족계획 방송모니터제 실시
  • 1982년 1월 산업장 청소년상담실 개설[1]
  • 1984년 4월 스튜디오운영반 신설
  • 1985년 6월 청소년 성상담 전화 개통 (2634-2300)[1]
  • 1986년 3월 임산부 교육 실시[1]
  • 1986년 11월 IPPF 자원개발 특별상 수상[1]
  • 1988년 1월 인구증가율 1% 조기 달성, 정부 공식 발표[1]
  • 1989년 12월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회원 가입[1]
  • 1990년 3월 스튜디오운영반을 영상교재개발원으로 확대 발족
  • 1991년 10월 21세기를 향한 가족계획시범사업추진단 발족
  • 1992년 9월 청소년 성교육(상담) 전문가 양성 훈련 착수
  • 1993년 3월 모자보건수첩 제작 보급
  • 1994년 3월 보건복지부로부터 선천성대사이상 검사 정보관리사업 수임
  • 1994년 5월 학교 청소년 성교육/성상담 교원 연수기관 지정
  • 1995년 1월 대한불임시술협회 흡수 통합 및 교육훈련부 신설
  • 1995년 6월 여성용 콘돔 "페미돔" 보급 실시
  • 1996년 1월 피임시술요청 및 확인서 관리기관 지정
  • 1996년 5월 아가사랑후원회 사업 착수
  • 1996년 7월 한국성문화연구소 개소
  • 1997년 1월 재가노인 복지사업 착수
  • 1997년 6월 성폭력상담소 개소
  • 1997년 7월 가정보건복지종합상담실 개설
  • 1998년 6월 가족계획과 생식보건 국제훈련
  • 1998년 10월 초등학교 성교육 사업 (한국P&G 협찬)
  • 1999년 2월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로 명칭 변경
  • 1999년 8월 '엄마젖 최고!' 대국민 홍보사업
  • 2000년~2010년 주요 활동은 아래 표와 같다.


연도주요 활동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인구보건복지협회로 명칭 변경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제주특별자치도지회 가족보건의원 개원


3. 1. 1960년대: 가족계획사업 주도

1961년 4월,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창립되었다.[1] 같은 해 6월에는 국제가족계획연맹(IPPF)에 가입하였다.[1] 1962년 10월, 협회는 전국 시도에 지부를 설립하여 사업을 확장했다.[2]

1963년 1월부터 가족계획요원 및 시술 의사를 대상으로 훈련을 시작했고, 1965년 8월에는 시도지회 부속 의원을 설치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 1966년 8월, 협회는 '세 자녀 갖기 운동'을 시작하며 출산율 조절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1968년 8월에는 월간 '가정의 벗'을 창간하여 가족계획 관련 정보를 제공했다.

3. 2. 1970년대: 모자보건사업으로 확장

1973년 1월 1일, 모자보건법 시행령이 제정 공포되었다.[1] 1975년 10월에는 지역사회 중심 파임보급사업(CBD)을 실시하였다.[1] 1976년 11월에는 국제가족계획연맹(IPPF)의 지원을 받아 청사를 건립하였다.[1]

3. 3. 1980년대: 청소년 및 여성 건강 증진

1980년대에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청소년과 여성 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시작했다. 1982년 1월 산업장 청소년상담실을 개설했고,[1] 1985년 6월에는 청소년 성상담 전화(2634-2300)를 개통했다.[1] 1986년 3월 임산부 교육을 실시하기 시작했다.[1] 이러한 노력으로 1986년 11월 IPPF(국제가족계획연맹)로부터 자원개발 특별상을 받았다.[1] 1988년 1월 한국의 인구증가율이 1%로 낮아졌다는 정부 공식 발표가 있었다.[1] 1989년 12월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에 가입하여 청소년 관련 활동을 더욱 확대하였다.[1]

3. 4. 1990년대: 성교육 및 상담 전문화

1990년대에 인구보건복지협회(당시 대한가족계획협회)는 성교육 및 상담 분야를 전문화했다.

연도내용
1992년 9월청소년 성교육(상담) 전문가 양성 훈련 시작
1994년 5월학교 청소년 성교육/성상담 교원 연수기관 지정
1996년 7월한국성문화연구소 개소
1997년 6월성폭력상담소 개소
1998년 10월한국P&G 협찬 초등학교 성교육 사업 실시


3. 5. 2000년대: 저출산 대응 및 국제협력 강화

2000년대에 들어서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저출산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국제협력을 강화하는 데 힘썼다.

연도주요 활동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인구보건복지협회로 명칭 변경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제주특별자치도지회 가족보건의원 개원


4. 주요 사업


  • 국민 인식 개선, 일·가정 양립 실천, 결혼·출산·보육 정보 제공
  • 모자보건, 예방접종, 이동 검진 보건 의료 서비스
  • 노인 세대 삶의 질 향상과 건강한 성문화 조성
  •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 및 성상담, 성 가치관, 결혼관 정립
  • 인구교육 전문가 양성, 인구교육 자료 제작 및 정보 제공
  • 개발도상국 인구·보건·의료 활동, 에이즈 예방 홍보
  • 임신·출산·육아 상담

5. 조직

현재 제공된 자료에는 인구보건복지협회의 조직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5. 1. 회장

인구보건복지협회 문서의 회장 섹션은 원본 소스에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1. 1. 사무총장

(인구보건복지협회 문서의 사무총장 섹션은 원본 소스에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지회(가족보건의원)


7. 정원

인구보건복지협회에는 회장, 사무총장, 본부, 지회에 약 410명이 근무하고 있다.[1]

인구보건복지협회 본부

참조

[1] 뉴스 손숙미 인구보건복지협회 회장 전북지회 방문 http://www.domin.co.[...] 전북도민일보 2014-02-20
[2] 뉴스 인구보건복지협회, '인구학사전 한국어판' 발간 http://www.ibabynews[...] 베이비뉴스 2013-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