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민화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민화보는 1950년 창간된 중화인민공화국의 월간 잡지이다.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기관지인 인민일보의 자매지이며, 중국어와 한국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로 발행된다. 1950년대 후반에는 스웨덴어 번역이 이루어졌으며, 문화 대혁명 기간에도 발행이 중단되지 않았다. 2001년 말에는 중국 정기간행물로 선정되었으며, 2002년 10월에는 한국어판을 발간했다. 인민화보는 국가 정기간행물 상을 여러 차례 수상했으며, 2018년에는 전국 100대 신문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창간 - 코리아타임스
    코리아타임스는 한국 전쟁 중 창간되어 이승만 정권과의 관계 속에서도 비판적 보도를 이어갔으며,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 쟁점들을 다루고 한국 문학 발전에도 기여한 영어 일간지이다.
  • 1950년 창간 - 전북일보
    전북일보는 1950년 창간되어 전북신문으로 제호가 변경되었다가 다시 전북일보로 변경되었으며, 정의, 봉사, 도민을 사시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역 신문이다.
  • 국영 매체 - 프랑스 24
    프랑스 정부 소유의 프랑스 24는 프랑스 메디아 몽드 산하 국제 뉴스 채널로, 프랑스어, 영어, 아랍어, 스페인어로 전 세계에 뉴스와 시사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프랑스의 관점을 반영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국영 매체 - 한국교육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는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는 대한민국의 공영 교육 방송사로, 지상파 TV, 라디오, 케이블/위성/IPTV 채널을 운영하며 본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다.
인민화보
기본 정보
인민화보 1951년 7월 표지
인민화보 1951년 7월 표지
창간1950년
폐간2018년
언어중국어
본사중국 베이징
발행인중국외문출판발행사업국
웹사이트인민화보 공식 웹사이트
역사
이전 이름중국 화보 (1950년 – 1957년)
인민 중국 (1957년 – 1964년)

2. 역사

《인민화보》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기관지인 《인민일보》의 자매지로, 1950년 9월 13일에 창간되었다. 월간 발행 부수는 150만 부가 넘는다. 중국어한국어로 발행되며, 표지 사진은 정치적 사안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대외용 화보로서, 내부 재질이 좋으며 컬러 사진을 싣는다.

1950년 창간호 표지, 마오쩌둥 초상화


2005년 6월부터 한국어로 발행하는 대외용 화보 잡지 '중국'을 창간하였다.

2. 1. 창간 이전 (1948년)

1948년 5월, 《진차지 화보(晋察冀画报)》와 《인민 화보(人民画报)》가 합병하여 《화북 화보(华北画报)》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

2. 2. 창간과 발전 (1950년대 ~ 2000년대)

1950년 6월, 마오쩌둥은 잡지 제목을 《인민 화보(人民画报)》로 변경했다.[2][4] 1950년 7월에 《인민 화보(人民画报)》라는 이름으로 창간되어 처음 출판되었다. 1950년대 후반, 스톡홀름에 있는 스웨덴-중국 협회 회원인 닐스 홀름베리(Nils Holmberg)는 중국 당국의 요청으로 잡지 내용을 스웨덴어로 번역했다.[5]

창간 이후 잡지는 단 한 번도 발행을 중단한 적이 없으며, 문화 대혁명 기간에도 평소와 다름없이 발행되었다.[6]

2001년 말, 《인민 화보(人民画报)》는 국가 신문 출판 관리국의 평가에서 "중국 정기간행물 Phalanx"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사회적, 경제적 이익에 이중 효과를 가진 정기간행물"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2. 3. 한국어판 발행과 수상 경력 (2002년 ~ 현재)

2002년 10월, 《인민화보》는 한국어판을 발간하여 한국 독자들에게 중국을 소개하기 시작했다.[7]

2003년, 《인민화보》는 중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에서 실시한 경쟁에서 두 번째 국가 정기간행물 상을 수상했다. 2005년에는 세 번째 국가 정기간행물 상을 수상했다.

2018년, 중국 국가 라디오 텔레비전 총국의 신문 및 출판 부서에 의해 전국 "100대 신문"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7]

3. 특징

인민일보》의 자매지인 《인민화보》는 1950년 9월 13일에 창간된 대외용 화보로, 내부 지질이 좋으며 컬러 사진을 싣는다.[1]

3. 1. 발행 현황

《인민화보》는 월간 발행부수가 150만 부 이상이다.[1] 중국어한국어로 발행되며, 표지 사진은 정치적 사안에 따라 바뀔 수 있다.[1]

2005년 6월부터 한국어로 발행하는 대외용 화보잡지 '중국'을 창간하였다.[1]

3. 2. 내용 구성

人民画报중국어는 대외용 화보로서, 내부 지질이 좋으며 컬러 사진을 싣는다. 중국의 정치, 사회, 문화, 경제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룬다. 표지 사진은 정치적 사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2]

4. 한국과의 관계

인민화보는 1950년대부터 한국에 소개되기 시작했다. 당시 인민화보는 한국 전쟁 직후 북한의 주요 대남 선전 매체 중 하나였다. 북한은 인민화보를 통해 자신들의 체제 우월성과 경제 발전을 선전하고, 남한 사회의 불안과 불만을 조장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4. 1. 한국어판 발행

2005년 6월부터 한국어로 발행하는 대외용 화보잡지 '중국'을 창간하였다.

4. 2. 한국 독자 대상 홍보

《인민화보》는 2005년 6월부터 한국어로 발행하는 대외용 화보잡지 '중국'을 창간하였다. 《인민화보》는 중국어한국어로 발행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A Natural Place for Nationalism: The Wanglang Nature Reserve and the Emergence of the Giant Panda as a National Icon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China Pictorial http://www.chinacult[...] 2008-08-08
[3] 웹사이트 现代中国画报 http://www.thegreatw[...] 长城小站 2007-12-11
[4] 서적 Europa World Year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5] 서적 Saluting the Yellow Emperor: A Case of Swedish Sinography https://doi.org/10.1[...] Brill
[6] 웹사이트 人民画报社辉煌历程 http://www.rmhb.com.[...] 2007-12-11
[7] 웹사이트 2017年全国"百强报刊"推荐名单开始公示 http://www.ce.cn/cul[...] Economic Daily 中国经济网 2018-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