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벤션은 짧은 제시부, 더 긴 발전부, 때로는 짧은 재현부로 구성되는 기악곡 형식이다. 푸가와 유사하게 대위법적인 형식을 사용하지만, 푸가와 달리 주제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이 형식을 발전시켰으며, 특히 그의 《인벤션과 신포니아》가 유명하다. 인벤션은 2성 또는 3성으로 작곡되며, 바흐의 인벤션은 제시부에 전조를 포함하고 소나타 형식의 맹아를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악곡의 형식 - 돌림노래
돌림노래는 동일 멜로디를 여러 성부가 시간차를 두고 부르는 형식으로, 중세부터 존재했으며 "Sumer is icumen in" 같은 초기 영어 노래와 노트르담 악파의 라틴어 노래가 있고, 멜로디 블록 구조와 화음으로 가능하며, 클래식 작곡가도 사용했고, 한국의 "개구리 합창" 등도 있다. - 악곡의 형식 - 코랄
코랄은 독일 종교 개혁에서 유래한 독일어 찬미가를 지칭하며, 마르틴 루터의 예배 운동으로 촉발되어 다성부 형태로 발전, 바흐 등의 작곡가들에 의해 다양한 음악 형식으로 창작되었고 현재까지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 널리 사용된다. - 음악 용어 - 리듬
리듬은 음악, 무용,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패턴으로, 음악에서는 펄스, 비트, 마디 등의 시간 단위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언어학에서는 강세, 음절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 음악 용어 - 오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는 소스에서 스피커 또는 녹음 장치로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흐르는 신호이며, 대역폭, 레벨 등의 매개변수로 특징지어지고 다양한 형태로 전송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인벤션 | |
---|---|
기본 정보 | |
종류 | 건반 악기를 위한 작품 |
악기 | 하프시코드 클라비코드 오르간 |
조성 | 다수 (15개) |
작곡가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시대 | 바로크 |
작품 번호 | BWV 772-786 (2성 인벤션), BWV 787-801 (3성 신포니아) |
구성 | |
성부 | 2성 또는 3성 |
형식 | 대위법 (콘트라푼크투스) |
특징 | |
주요 특징 | 짧은 동기 사용, 모방 기법, 엄격한 대위 규칙 준수 |
교육적 목적 | 건반 악기 연주 및 작곡 기법 훈련 |
관련 용어 | |
신포니아 | 3성 인벤션의 다른 명칭 |
대위법 | 독립적인 멜로디 선율들의 조화 |
2. 형식
인벤션은 푸가와 유사하지만, 보다 단순한 형태를 띤다. 짧은 제시부와 비교적 긴 발전부, 그리고 때로는 짧은 재현부로 구성된다. 인벤션과 푸가의 주요 차이점은, 인벤션은 푸가와는 달리 주제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2성 인벤션과 3성 인벤션은 모두 대위법 양식으로 작곡된다.[1]
2. 1. 제시부 (Exposition)
인벤션은 모방 양식이 채택된 기악곡으로, 짧은 제시부와 비교적 긴 전개부로 구성되며, 일부 곡에서는 짧은 재현부로 닫힌다.[1] 바흐의 인벤션은 제시부에 전조를 포함하며, 장조 작품에서는 속조로, 단조 작품에서는 나란한조로 진행하며, 종종 전조 후 새로운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소나타 형식의 맹아가 보인다는 의견도 있다.[3]제시부에서 짧은 모티브가 으뜸음조에서 한 성부에 의해 제시된다.[2] 이것을 '''주제'''라고도 한다.[2] 그런 다음 주제는 두 번째 성부에서 으뜸음조로 반복되는 동안 첫 번째 성부는 대주제를 연주하거나 대위법으로 자유롭게 연주한다.[2]
2. 2. 발전부 (Development)
모방 양식이 채택된 기악곡으로, 짧은 제시부와 비교적 긴 전개부로 구성되며, 일부 곡에서는 짧은 재현부로 닫힌다.[1] 푸가와 교향곡과 달리 주제의 응답에 딸림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바흐의 인벤션에서는 제시부에 전조를 포함해, 장조 작품은 딸림조로, 단조 작품에서는 나란한조로 이동하여, 종종 전조하고 새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거기에 소나타 형식의 맹아를 보는 의견도 있다.전개부는 작품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여기에서 작곡가는 변주를 쓰거나 선율적 또는 화성적으로 주제를 발전시킨다. 이는 일반적으로 푸가의 전개와 유사하게 주제의 진술과 에피소드의 교체를 포함한다. 단조 및 장조 형식의 인벤션에서 주제는 일반적으로 각각 상대 장조와 속음으로 다시 진술된다. 새로운 조성은 에피소드를 통해 도달하며, 에피소드는 일반적으로 5도권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마지막 에피소드는 원래 조성에서 반 종지로 끝나며, 주제가 다시 나타날 때 특별하게 들리도록 강조되는 경우가 많다. 바흐(Bach)의 많은 인벤션, 특히 BWV 775와 BWV 782가 이 계획을 따른다.
2. 3. 재현부 (Recapitulation)
인벤션에서 재현부는 매우 짧은 경향이 있으며, 때로는 단 두 마디 또는 네 마디에 불과하다. 작곡가는 윗성부에서 주제를 반복하고 곡을 끝낸다. 주제의 반복은 원래 주제에 대한 변화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아랫성부는 일반적으로 대주제를 연주하며, 만약 대주제가 없다면 자유 대위법으로 연주한다.3. 역사
인벤션은 주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인벤션은 이탈리아의 대위법적 즉흥 연주에서 유래했는데, 특히 작곡가 프란체스코 안토니오 본포르티의 형식에서 비롯되었다. 바흐는 이 형식을 오늘날 정식 인벤션으로 여겨지는 형태로 개작하고 수정했다. 바흐는 아들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를 위한 연습곡으로 15개의 인벤션(BWV 772–786)을 작곡했다. 이후 바흐는 15개의 3성 인벤션 세트를 작곡했는데, 이는 신포니아(BWV 787–801)라고 불린다.
3. 1.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인벤션
인벤션은 짧은 제시부와 약간 긴 전개부로 구성된 모방 양식의 기악곡이며, 일부 곡에서는 짧은 재현부로 닫히기도 한다. 푸가나 교향곡과 달리 주제의 응답에 딸림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바흐의 인벤션은 제시부에 전조를 포함하여, 장조 작품은 딸림조로, 단조 작품은 나란한조로 이동하며, 종종 전조와 새로운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소나타 형식의 맹아를 엿볼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작품이 주로 인벤션으로 알려져 있다. 인벤션은 이탈리아의 대위법적 즉흥 연주에서 유래했으며, 특히 작곡가 프란체스코 안토니오 본포르티의 형식에서 비롯되었다. 바흐는 이 형식을 개작하고 수정하여 오늘날 정식 인벤션으로 불리는 형태로 만들었다. 그는 아들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를 위한 연습곡으로 15개의 인벤션(BWV 772–786)을 작곡했으며, 이후 15개의 3성 인벤션 세트인 신포니아(BWV 787–801)를 작곡했다.
가장 유명한 작품은 바흐의 『인벤션과 신포니아』 전반부이다. 바흐의 인벤션은 연주회에서 연주되는 경우는 드물고, 주로 피아노 학습자의 교재로 이용된다. 하지만, 그 예술성을 인정하는 많은 쳄발로 및 피아노 연주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녹음을 남기고 있다. 바흐 외에 알반 베르크의 오페라 『보체크』 속 인벤션도 유명하다.
바흐는 아들 빌헬름 프리데만의 음악 학습을 위해 『인벤션과 신포니아』를 작곡했다[2]。 그는 이 작품들을 통해 건반 악기 초심자나 애호가가 다성부를 깨끗하게 연주하고 선율을 노래하듯이 연주하는 법, 그리고 작곡의 전 단계로서 뛰어난 곡상과 그 전개 방식을 익힐 수 있도록 돕고자 했다.
3. 1. 1. 명칭의 유래
인벤션(Invention)이라는 명칭은 프란체스코 안토니오 본포르티(1672년 - 1749년)가 작곡한 통주 저음을 동반하는 다성적인 Invenzione a violino soloit 작품 10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1] 인벤션이란 "창의·궁리"를 의미하며, 이후 비발디의 협주곡집 작품 8에는 화성과 창의의 시도it라는 명칭이 붙여졌다.[1] 이처럼 인벤션은 바흐가 인벤션과 신포니아de의 서문에서도 언급했듯이, 원의(原義)를 떠나 탐구·발견되어야 할 곡상 정도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1]참조
[1]
웹사이트
Figuring out Melody
http://www.calvin.ed[...]
2012-01-04
[2]
서적
インヴェンション
https://dl.ndl.go.jp[...]
音楽之友社
[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