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청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시청역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구월동에 있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이다. 1994년 역명으로 결정되었으며, 1999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2016년 2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1호선은 상대식 승강장, 2호선은 1호선 위에 건설된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다. 역 주변에는 인천광역시청, 인천광역시교육청, 인천중앙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남동구의 전철역 - 간석역
인천 남동구 간석동에 위치한 간석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환승역으로, 1994년 개업 후 수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 기능을 강화했으며, 주변에 여러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인천 남동구의 전철역 - 운연역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종착역인 운연역은 서창이라는 부역명을 가지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반지하역으로, 개통 초기 이용률이 저조했으나 도로 개통 및 버스 노선 확충으로 이용률이 증가했다. -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역 - 주안역
주안역은 인천 남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환승역으로, 경인선 보통역으로 시작해 1호선, 2호선 개통을 거치며 성장했고, 다양한 시설 접근성이 좋으며 2024년 역명 변경 예정이다. -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역 - 석남역
석남역은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에 위치한 인천 도시철도 2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으로, 2016년 인천 2호선 개통 후 2021년 서울 7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향후 2028년에는 서울 7호선이 연장되어 중간역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부평구청역
부평구청역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으로, 1999년 1호선 개통 후 2012년 7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2022년부터 인천교통공사가 7호선 구간을 운영하고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부평구청 등 주요 시설과 인접해 있다.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부평역
부평역은 인천 부평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환승역으로,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해 전철역 기능 추가 및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부평역사쇼핑몰, 부평지하상가와 연결되어 다양한 상업 및 편의시설이 인접한 지역 중심지이자 영화 촬영지로도 알려져 있다.
인천시청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주소 | 인천광역시 남동구 예술로 지하 264 (간석동 927) |
운영 기관 | 인천교통공사 |
다른 이름 | 연세와병원, 21세기병원 |
노선 | |
승강장 | 2 |
선로 | 2 |
구조 | 지하 |
개업일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 |
노선 정보 | |
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역 번호 | 인천 1호선: I124 인천 2호선: I221 |
승강장 정보 (인천 1호선) | |
승강장 형태 | 상대식 승강장 |
이전 역 | I123 간석오거리역 |
다음 역 | I125 예술회관역 |
역간 거리 | 간석오거리역: 1.4 km 예술회관역: 1.0 km |
승강장 정보 (인천 2호선) | |
승강장 형태 | 상대식 승강장 |
이전 역 | I220 석바위시장역 |
다음 역 | I222 석천사거리역 |
역간 거리 | 석바위시장역: 0.74 km 석천사거리역: 0.84 km |
통계 | |
승차 인원 (2014년) | 6,949명 |
2. 연혁
- 1994년 3월 19일: '''인천시청역'''으로 역명 결정[5]
- 1999년 10월 6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6]
- 2009년 6월 1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송도국제도시 구간 연장으로 인천시청행 폐지
- 2016년 7월 30일: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7]
3. 역 구조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 당시부터 인천 도시철도 2호선과의 환승을 대비하여 건설되었다. 2호선 역은 기존 1호선 역에 증설되는 형태로 건설되어 출입구와 대합실 일부를 공유한다.
개찰구는 1호선이 지하 1층, 2호선이 지하 3층에 있고, 지하 2층에는 환승 통로가 있다. 승강장은 1호선이 지하 2층, 2호선이 지하 4층에 있다.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층 | 구분 | 내용 |
---|---|---|
지상 | 출구 | |
지하 1층 | 대합실 | 개찰구, 매표기, 역무실 |
지하 2층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상대식 승강장 |
환승 통로 | ||
지하 3층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개찰구 |
지하 4층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상대식 승강장 |
3. 1. 인천 1호선 승강장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상행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부평, 부평구청, 계양 방면 |
---|---|---|
하행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원인재, 동막,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
3. 2. 인천 2호선 승강장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은 상대식 승강장으로 2면 2선의 지하역이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2016년에 개통한 2호선 승강장은 1999년에 개통한 1호선 승강장 위에 있다.승강장 | 노선 | 행선 |
---|---|---|
상행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주안, 검암, 검단오류 방면 |
하행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운연 방면 |
4. 역 주변
구월중학교
인천석천초등학교
인천광역시 중앙도서관
가천길병원
인천광역시 중앙도서관
가천길병원
CGV
홈플러스
동인천중학교
인천중앙공원
인천중앙공원
인천중앙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