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천시 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시 을은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68년 인천시에 구가 설치되면서 인천 남구, 인천 북구 선거구가 설치됨에 따라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곽상훈이 2대부터 5대까지, 김은하가 6대와 7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역대 선거 결과로는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곽상훈이 당선되었으며, 이후 곽상훈은 3대, 4대, 5대 선거에서도 당선되었다. 6대 선거에서는 김은하가 당선되었고, 7대 선거에서도 김은하가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1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인천시 갑
    인천시 갑은 1950년 신설되어 류승원, 김정렬 등이 당선되었으나 1968년 중구와 동구가 설치되며 폐지된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인천광역시의 정치 - 인천광역시의회
    인천광역시의회는 인천광역시의 입법, 예산 심의, 행정 감시 역할을 수행하며, 의장 1명, 부의장 2명, 상임위원회 6개, 특별위원회 2개로 구성되고 사무처를 산하에 둔다.
  • 인천광역시의 정치 - 인천시 갑
    인천시 갑은 1950년 신설되어 류승원, 김정렬 등이 당선되었으나 1968년 중구와 동구가 설치되며 폐지된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갑 (서울)
    중구 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를 통해 원세훈, 윤치영, 주요한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주요한은 민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선거구)
    1949년 청주부에서 개칭된 청주시를 기반으로 신설되어 1963년 청원군 사주면을 편입하며 확장되었으나, 1973년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인천시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인천시 을
의회국회
큰 지도경기도
연도1950
폐지1971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인천부 갑
인천부 을
인천시 병 (1963년 일부 편입)
이후 선거구인천시 남구
인천시 북구
의원수1인

2. 역사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인천시 지역 선거구가 개편되면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인천시 병 선거구 일부 지역을 편입했다.

1968년 1월, 인천시에 구제가 실시되면서 남구와 북구가 설치됨에 따라, 제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인천시 남구, 인천시 북구 선거구가 설치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변천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인천시 지역 선거구가 개편되면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인천시 병 선거구 일부 지역을 편입했다. 1968년 1월, 인천시에 구제가 실시되면서 남구와 북구가 설치됨에 따라, 제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인천시 남구, 인천시 북구 선거구가 설치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인천시 을의 역대 국회의원은 다음과 같다.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곽상훈 후보가 당선되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곽상훈 후보가,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곽상훈 후보가,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곽상훈 후보가 각각 당선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정당 김은하 후보가,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 김은하 후보가 각각 당선되었다.

4.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곽상훈 후보가 제2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곽상훈무소속9,95731.88
김선근무소속7,86725.19
김성국대한국민당4,71415.09
방준경민주국민당3,79512.15
하상훈무소속3,0079.62
김무영무소속1,0623.40
박경용무소속8262.64
총 득표수31,228


4. 2.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곽상훈 후보가 61.39%의 득표율로 재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곽상훈무소속18,51261.39%
김종섭자유당10,16433.70%
홍용환무소속1,4764.89%
김홍렬무소속00%


4. 3.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곽상훈 후보가 74.32%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3선에 성공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곽상훈민주당28,09774.32%
문병관자유당9,70525.67%
합계37,802


4. 4.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곽상훈 후보가 85.3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곽상훈민주당35,59485.35
함효영기타단체4,1679.99
최수정무소속1,9404.65
합계41,701100


4. 5.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김은하 후보가 37.3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은하민정당24,65837.30
김숙현민주공화당18,65428.22
김훈민주당196317,17925.99
허리복자유민주당19632,1143.19
백창섭정민회2,0433.09
신응섭보수당1,4502.19
합계66,098100.00


4. 6.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김은하 후보가 45.8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은하신민당41,48345.85
김숙현민주공화당41,12745.46
김훈민주당5,5656.15
조남두대중당1,2421.37
정명한국독립당1,0441.15
합계90,46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