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렉트로어쿠스틱 음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렉트로어쿠스틱 음악은 테이프 레코더를 활용한 구체 음악의 기술을 발전시킨 음악 장르이다. 테이프 음악은 미리 녹음된 소리를 변형하고 조작하는 기법을 사용하며, 초기에는 할림 엘답의 작품에서 그 모습을 드러냈다. 이후 존 케이지의 작품과 1949년부터 1951년까지 헤르베르트 아이메르트와 베르너 마이어-에플러가 개척한 전자 음악의 등장으로 발전했다.

일렉트로어쿠스틱 음악은 테이프 음악 외에도 다양한 전자 음향 악기를 활용하며, 밀턴 배빗, 루치아노 베리오, 존 케이지,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 등 여러 작곡가들의 주요 작품이 존재한다. 이 음악은 국제 컴퓨터 음악 컨퍼런스,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 등 다양한 단체와 행사를 통해 소개되고 있으며, 캐나다 전기 음향 커뮤니티, 미국 전기 음향 음악 협회 등 여러 국가 협회가 이 예술 형태를 홍보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한국전자음악협회와 서울국제컴퓨터음악제를 통해 전자 음악이 발전해왔으며, 민주화 운동 시기에는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험 음악 장르 - 익스페리멘털 팝
    익스페리멘털 팝은 팝 음악의 형식에 실험적인 사운드, 구조, 융합, 개념적 접근을 더한 장르로, 실험 재즈와 전위 음악의 영향을 받아 등장하여 여러 아티스트와 다양한 장르와의 융합을 거치며 발전해왔고 현대에는 다양한 음악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전자 음악 장르 - 일렉트로니카
    일렉트로니카는 1990년대 중반 영국에서 시작된 전자 음악의 한 종류로, 다양한 전자 악기와 기술의 발전에 영향을 받아 여러 장르와 융합하며 현대 미디어에서도 활용된다.
  • 전자 음악 장르 - 트립합
    트립합은 1990년대에 등장한 음악 장르로, 저음 강조 드럼 비트와 힙합 비트 샘플을 사용하며 사이키델릭하고 멜랑콜리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매시브 어택 등이 대표적인 아티스트이다.
일렉트로어쿠스틱 음악
일렉트로어쿠스틱 음악
EMS 신시 100
일렉트로어쿠스틱 음악은 전자 악기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스타일의 기원1950년대
문화적 기원프랑스
독일
일반적인 악기테이프
컴퓨터
신시사이저
전자 악기
악기
Musique concrète
소리
사운드 디자인
샘플링
DSP
파생 형태전자 음악
사운드 아트
글리치
노이즈 음악
실험 음악
전자 팝
앰비언트 음악
미디어 아트
하위 장르
주요 형태무지크 콘크레트
테이프 음악
라이브 일렉트로어쿠스틱 음악
컴퓨터 음악
사운드 스케이프 구성
전기 음향 시
라디오 드라마
확성기 오케스트라
소리 설치

2. 테이프 음악의 역사와 발전

테이프 음악은 구체 음악에서 파생된 장르로, 자연의 소리나 일상의 소음을 녹음하여 편집, 변형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테이프 음악은 테이프 레코더를 중심적인 음악적 소스로 사용하며, 미리 녹음된 음향 조각과 루프 생성을 활용하고 편집 및 재생 속도 조절과 같은 기술을 통해 변경하고 조작할 수 있다.

2. 1. 초기 발전

테이프 음악은 테이프 레코더를 음악의 중심으로 사용하는 구체 음악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미리 녹음된 음의 조각이나 편집 및 재생 속도 조작같은 기술로 변형하고 조작할 수 있는 루프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 할림 엘다브의 작품은 테이프 음악의 가장 초창기 예시로 꼽힌다. 엘다브의 ''자르의 표현''은 1944년 이집트 카이로에서 처음 발표되었으며, 같은 기간 파리에서 개발된 것과 유사한 구체 음악과 같은 기술을 사용한 초기 작품이었다. 엘다브는 나중에 컬럼비아-프린스턴 전자 음악 센터에서의 작업으로 더 유명해졌는데, 1959년 그곳에서 그는 영향력 있는 작품 ''레이라와 시인''을 작곡했다.

작곡가 존 케이지의 ''윌리엄스 믹스'' 조립은 테이프 음악의 엄격함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먼저 케이지는 192페이지의 악보를 만들었다. 1년 동안 600개의 소리가 모이고 녹음되었다. 각 소리의 각 발생에 대한 잘린 테이프 세그먼트가 악보에 축적되었다. 그런 다음 잘린 세그먼트는 8개의 테이프 중 하나에 연결되었고, 작업은 1953년 1월 16일에 완료되었다. 4분 15초 작품의 초연(실현)은 1953년 3월 21일,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이루어졌다.

2. 2. 전자 음악의 등장과 발전

쾰른의 작곡가 헤르베르트 아이메르트와 물리학자 베르너 마이어-에플러는 1949년부터 1951년까지 전자적으로 생성된 (합성된) 사운드, 특히 사인파만을 기반으로 한 ''일렉트로니셰 무지크(elektronische Musik)''를 개척했다. 전자 음악의 발달은 1906년 진공관의 발명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이메르트는 스튜디오에서 제공하는 정밀한 제어를 통해 "단일 음표의 마지막 요소까지" 모든 것을 시리얼 순열에 종속시킬 수 있었고, 그 결과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소리를 작곡하게 되었다"고 생각했다. 스튜디오에서는 음색이나 다이내믹스와 같은 요소에 시리얼 연산을 적용할 수 있었다. 두 학파의 공통점은 인간 연주자 없이 스피커를 통해 음악이 녹음되고 연주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전자 음향 작품은 녹음된 사운드와 합성 또는 처리된 사운드를 조합하여 사용하며, 샤퍼와 아이메르트의 접근 방식 사이의 분열은 극복되었다. 그 주요 사례는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의 1955~56년 작 ''Gesang der Jünglinge''이다.

3. 테이프 음악의 주요 기법

테이프 음악은 테이프 레코더를 활용하여 구체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테이프 음악은 미리 녹음된 소리들을 편집하고 재생 속도를 조작하여 변형하거나, 반복되는 루프를 만들 수 있었다. 초기 테이프 음악으로는 할림 엘답의 작품이 꼽힌다. 1944년 이집트 카이로에서 발표된 엘답의 《The Expression of Zaar》는 파리에서 만들어진 초기 구체 음악과 비슷한 기술을 사용했다. 엘답은 1959년 컬럼비아-프린스턴 일렉트로닉 뮤직 센터에서 제작한 《Leiyla and the Poet》로 더 널리 알려졌다.

4. 테이프 음악의 주요 작품

테이프 음악은 테이프 레코더를 음악의 중심으로 사용하는 구체 음악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미리 녹음된 음의 조각이나 편집 및 재생 속도 조작같은 기술로 변형하고 조작할 수 있는 루프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 할림 엘답은 테이프 음악의 초기 음악가로 꼽히며, 1944년 이집트 카이로에서 발표된 《The Expression of Zaar》는 파리에서 만들어진 것과 비슷한 구체 음악 기술을 사용한 초기 작품이다. 엘답은 이후 1959년 컬럼비아-프린스턴 일렉트로닉 뮤직 센터에서 만든 《Leiyla and the Poet》로 더 유명해졌다.

테이프 음악은 여러 작곡가들에 의해 실험적인 작품들이 많이 만들어졌다. 다음은 주요 작품들이다.

작곡가작품명발표 연도
요한나 바이어Music of the Spheres1938년
콘라드 뵈머Aspekt1964년–66년
콘라드 뵈머Apocalipsis cum figuris1984년
피에르 불레즈레퐁1981년–84년
마리오 다비도브스키싱크로니즘 6번 (피아노와 전자 사운드를 위한)1970년
카럴 후이바르츠넘버 5 메트 쥐베레 토넨1953년
팀 헤커처녀들2013년
장미셸 자르Deserted Palace1972년
필 클라인언사일런트 나이트1992년
고트프리트 미하엘 쾨니히Project 11964년
고트프리트 미하엘 쾨니히Project 21966년
알빈 루셔나는 방에 앉아 있다1969년
이보 말렉Triola, ou Symphonie pour moi-même1977년–78년
루이지 노노La fabbrica illuminata1964년
루이지 노노A floresta é jovem e cheia de vida1966년
루이지 노노콘트라푸토 디알레티코 알라 멘테1968년
루이지 노노코모 우나 올라 데 푸에르사 이 루스1971년–72년
폴린 올리베로스Sonic Meditations, "Teach Yourself to Fly"1961년
엘스 마리 파드Symphonie Magnétophonique1958년
앙리 푸세르스캄비1957년
앙리 푸세르Trois Visages de Liège1961년
앙리 푸세르Paraboles-Mix1972년
앙리 푸세르Seize Paysages planétairesl2000년
스티브 라이히추 시계 음악1968년
피에르 셰페르5개의 소음 연구1948년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믹스투어1964년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미크로포니 I & II1964년 및 1965년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텔레뮤지크1966년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힘넨1966년–67년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옥토포니1991년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코스믹 펄스2006년–2007년
제임스 테니앤을 위하여 (상승)1969년
찰스 워리넌시간의 찬가1969년


4. 1. 해외 주요 작품


  • 밀턴 배빗 – ''필로멜''(1964)
  • 루치아노 베리오 – ''테마 (조이스에게 바치는 오마주)''(1958–59)
  • 존 케이지 – ''상상의 풍경 1번''(1939)
  • 할림 엘-다흐 – ''레이라와 시인''(1961)
  •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 – ''젊은이의 노래''(1955–56), ''콘탁테''(1958–60)
  • 에드가 바레즈 – ''전자 시''(1958)
  • 야니스 크세나키스 – ''페르세폴리스''(1971)

5. 전자 음향 악기

테이프 음악 외에도 다양한 전자 음향 악기가 개발되어 현대 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다음은 전자 음향 악기 목록이다.

악기명개발 연도개발자
바이로트론1974데이브 비로
부클라 100 및 200 시리즈1960년대~70년대돈 부클라
부클라 라이트닝 I1991돈 부클라
부클라 라이트닝 II1995돈 부클라
켐바폰1951하랄트 보데
챔벌린1946
클라비넷1964
클라비올린1950년대 초하랄트 보데
콘서트 클라비올린1953하랄트 보데
클라비복스, 서클 머신, 베이스 라인 제너레이터, 리듬 모듈레이터, 반디토 더 봉고 아티스트, 일렉트로니움1950년대~60년대레이먼드 스콧
DX71983야마하
일렉트로니움 (독일어)
EMS 신시 AKS1972
페어라이트 CMI1978
그래비코드1986로버트 그라위
크라크도스 / 크래클박스1960년대~70년대미셸 와이스비츠
멜로트론1960년대
멜로코드1947–49하랄트 보데
멜로디움1938하랄트 보데
무그 신시사이저1965로버트 무그
온디오린1939조르주 제니
옵티건1971
오케스트론1975바코 신시사이저
폴리코드1950하랄트 보데
폴리코드 III1951하랄트 보데
전자 색버트1945휴 르 케인
샘플러 (악기)
싱클라비어1975존 애플턴, 시드니 A. 알론소 및 캐머런 존스
텔하모니움1897타데우스 케이힐
테레민1928레온 테레민
투티복스1953하랄트 보데
UPIC1977야니스 크세나키스 및 CEMAMu
워보 포르망트 오르간1937하랄트 보데


6. 관련 단체 및 행사

전 세계적으로 일렉트로어쿠스틱 음악 관련 연구 및 작곡 센터가 존재하며, 이 예술 형태를 홍보하는 여러 국가 협회들이 활동하고 있다. 호주 및 뉴질랜드의 호주-아시아 컴퓨터 음악 협회(Australasian Computer Music Association), 영국의 사운드 앤 뮤직(Sound and Music, 이전의 소닉 아트 네트워크(Sonic Arts Network)) 등이 그 예이다. ''컴퓨터 음악 저널(Computer Music Journal)''과 ''Organised Sound''는 전기 음향 연구를 다루는 주요 학술지로, 여러 국가 협회에서 발행하는 간행물과 함께 이 분야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6. 1. 해외 단체 및 행사

국제 컴퓨터 음악 컨퍼런스(International Computer Music Conference), 음악 표현을 위한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대한 국제 컨퍼런스, 전기 음향 음악 연구 컨퍼런스 및 아르스 일렉트로니카(Ars Electronica) 페스티벌(오스트리아 린츠) 등 전기 음향 음악을 선보이는 다양한 컨퍼런스와 페스티벌이 있다.

캐나다의 캐나다 전기 음향 커뮤니티(Canadian Electroacoustic Community, CEC), 미국의 미국 전기 음향 음악 협회(Society for Electro-Acoustic Music in the United States, SEAMUS) 등 여러 국가 협회에서 이 예술 형태를 홍보하고 있다.

이러한 행사에서는 논문 발표, 워크숍, 세미나와 더불어 참석자들이 제작하거나 컨퍼런스/심포지엄 주제와 관련된 콘서트 공연 또는 사운드 설치 작품을 선보이기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