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롱드낮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롱드낮도마뱀붙이는 모리셔스 북북동쪽 일롱드 섬에 서식하는 낮도마뱀붙이로, 현존하는 낮도마뱀붙이 중 가장 큰 편에 속한다. 회색 또는 회갈색 바탕에 암갈색 줄무늬를 가지며, 곤충, 거미, 과일 등을 먹는 잡식성이다. 과거에는 모리셔스 전역에 분포했으나, 외래종 유입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난생이며, 암컷은 한 해에 최대 4쌍의 알을 낳는다. 개체 수 증가를 위한 보호 대책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5년 기재된 파충류 - 줄장지뱀
    줄장지뱀은 동아시아에 서식하며, 중국 동부, 대한민국, 러시아 동부에서 발견되는 장지뱀의 일종으로, 한국에서는 전국 각지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난생 동물이다.
  • 1885년 기재된 파충류 - 마다가스카르땅거북
    마다가스카르 북서부 멜라키 지역에 서식하는 희귀종인 마다가스카르땅거북은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여러 단체에서 서식지 보호와 개체 수 증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조르주 알베르 불랑제가 명명한 분류군 - 우단도마뱀붙이속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4종의 도마뱀붙이로 이루어진 우단도마뱀붙이속은 도마뱀붙이목에 속하며, 각 종은 명명자에 따라 학명이 부여되고 일부 철자가 수정되었다.
  • 조르주 알베르 불랑제가 명명한 분류군 - 장님도마뱀과
    장님도마뱀과는 사지 퇴화로 뱀과 유사한 형태를 띠며 멕시코의 *Anelytropsis*속과 동남아시아의 *Dibamus*속으로 구성된 뱀목의 도마뱀 과로, 뱀목 내에서 가장 원시적인 형태 중 하나로 추정된다.
  • 낮도마뱀붙이속 - 바버낮도마뱀붙이
    바버낮도마뱀붙이는 미국의 파충류학자 토머스 바버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진 낮도마뱀붙이속의 일종으로, 마다가스카르 앙카라트라 산맥 고지대에서 발견되는 중간 크기의 육상 도마뱀붙이이며, 곤충과 무척추동물을 먹고 암컷은 돌 밑에 알을 낳아 번식한다.
  • 낮도마뱀붙이속 - 공작낮도마뱀붙이
    공작낮도마뱀붙이(Phelsuma quadriocellata)는 밝은 녹색 바탕에 붉은 반점과 검은 반점을 가진 도마뱀붙이의 일종이며, 세 개의 아종으로 분류되고, 식물이 풍부한 테라리움에서 사육하며 곤충을 먹는다.
일롱드낮도마뱀붙이
기본 정보
귄터힐야모리
귄터힐야모리
학명Phelsuma guentheri
명명자불랑제, 1885
영명Round Island day gecko
상태VU (취약종)
상태 기준IUCN3.1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
파충류
뱀목
아목도마뱀붙이하목
도마뱀붙이과
아과도마뱀붙이아과
힐야모리속
귄터힐야모리

2. 학명

종명 ''guentheri''는 독일 출신 영국 파충류학자 알버트 귄터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2]

3. 형태

일롱드낮도마뱀붙이는 현존하는 낮도마뱀붙이 중 제일 큰 편이다. 수컷은 꼬리까지 30cm에 이르기도 하지만, 보통은 이보다는 훨씬 작다. 암컷은 보통 수컷보다 훨씬 작다.[5] 몸은 회색, 회갈색을 띄며, 암갈색 줄무늬가 콧구멍에서 귓구멍 위로 뻗쳐있다. 등에는 짙은 점이 나있을 수도 있다. 어떤 개체들은 다리와 발가락에 연노랑색 줄무늬가 나있다. 배는 흰색이나 노란색을 띈다. 유체의 배 쪽 체색은 노란색이다.[6]

4. 분포

과거에는 모리셔스 전역에 분포했으나, 오늘날에는 모리셔스 북북동쪽 22km 지점에 위치한 일롱드에서만 서식한다.[5][6] 쥐, 고양이[5] 등 외래종 유입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5. 서식지

일롱드낮도마뱀붙이는 과거에는 야자나무로 이루어진 건조림에 주로 서식했으나, 현재는 암반 지역에서도 서식한다.[5][6] 술병야자(:en:Hyophorbe lagenicaulis), 부채야자류(:en:fan palms)에 속한 일롱드라타니아나무(:en:Latania loddigesii), 쐐기야자류(:en:Pandanus)에서 흔히 발견되었으나, 열대성 사이클론으로 인해 나무들이 대부분 파괴되어 바위 틈새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게 되었다. 수목 생활을 하지만 먹이를 찾아 지표면에서 활동하기도 하며,[5][6] 황혼 박명성 또는 야행성이고,[6] 낮에는 수관이나 덤불 속에서 쉰다.[5]

6. 생태

6. 1. 식성

일롱드낮도마뱀붙이는 동물성 경향이 강한 잡식성이다.[5] 곤충, 거미, 파충류 등을 먹으며, 동족 포식을 한 예도 있다.[5] 다양한 곤충 따위의 무척추동물[5], 부드럽고 달달한 과일, 꽃가루, 꽃꿀도 섭취한다.[5][6] 사육 하에서는 과실을 먹은 예도 있다.[6]

6. 2. 번식

일롱드낮도마뱀붙이는 난생이다.[5][6] 암컷은 해마다 최대 4쌍의 알을 낳는다. 보통 6월에 산란하지만 2월에서 11월 사이에 낳기도 한다.[5][6] 수관, 수피나 바위 틈에 한 번에 1-2개의 알을 낳는다.[5][6] 알은 58–104 일 뒤에 부화하며, 막 태어난 유체는 꼬리까지 75 mm 에 이른다.

7. 인간과의 관계

인위적으로 이입된 토끼염소에 의한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했다.[5][6] 이전에는 모리셔스나 프랑스령 레위니옹에도 분포했지만, 롱드 섬의 개체군을 제외하고는 멸종했다.[5] 토끼나 염소의 구제 및 그에 따른 야자나무 숲의 회복, 저지 섬에서 사육 하에 번식한 개체의 재도입 등 보호 대책이 진행되어 개체수는 증가 추세에 있다.[5][6] 1975년의 개체수는 1,800마리, 1982년의 개체수는 200마리 이하로 추정된다.[5][6]

일롱드낮은 멸종위기에 처해있으며, 1999년까지 더렐 야생동물원(:en:Durrell Wildlife Park)의 더렐 야생동물 보전 신탁(:en:Durrell Wildlife Conservation Trust)에서 사육하여 번식시켰다. 모리셔스 밖에는 공공 소유의 표본이 존재하지 않는다.

참조

[1] 간행물 "''Phelsuma guentheri ''" 2018
[2]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3] 웹사이트 CITES homepage http://www.cites.org[...]
[4]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
[5]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8 太平洋、インド洋 講談社 2001年
[6] 서적 "『絶滅危惧動物百科4 カザリキヌバネドリ―クジラ(シロナガスクジラ)』" 朝倉書店 2008年
[7] 간행물 Phelsuma guentheri https://dx.doi.org/1[...] 2018
[8]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