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짧은꼬리박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짧은꼬리박쥐는 일본 고유종으로 몸길이 5.5-6.8cm의 작은 박쥐이다. 일본 이시카와현, 기후현 등지에서 발견되며, 짙은 검은 갈색 털과 황금색 갈색 깃털을 특징으로 한다. 야행성으로 나무 구멍 등에서 휴식을 취하며, 100마리 이상의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등재되었으며, 서식지 파괴와 훼손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3년 기재된 포유류 - 갈라파고스바다사자
    갈라파고스바다사자는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며 캘리포니아바다사자와 유사하지만 더 작고 성적 이형성을 보이는 강치과의 동물로, 엘니뇨 현상, 포식자, 인간 활동 등으로 위협받고 있지만 보호받고 있다.
  • 1953년 기재된 포유류 - 우드중와플라이쥐
  • 일본의 고유종 포유류 - 일본산양
    일본산양은 일본 고유종으로 혼슈, 시코쿠, 큐슈에 서식하는 소과에 속하는 반추동물이며, 숲의 살아있는 국보라고도 불리며 남획으로 개체수가 감소했으나 보호 노력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개체수 감소에 대한 우려가 있다.
  • 일본의 고유종 포유류 - 날다람쥐
    날다람쥐는 다람쥐과 포유류로, 앞뒷다리 사이의 비막을 이용하여 활공하며, 일본 고유종으로 혼슈, 시코쿠, 큐슈의 숲에 서식하고, 야행성 수목 생활을 하며, 다양한 수목의 잎, 씨앗, 열매 등을 섭취하고, 족제비, 담비, 맹금류 등이 천적이며, 일본 문화 속에서 다양한 상징으로 나타나고, 현재는 조수보호법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
  • 문둥이박쥐속 - 큰갈색박쥐
    큰갈색박쥐는 북아메리카와 카리브해 등지에 분포하며 곤충을 먹고 농업 해충을 잡아먹는 박쥐의 일종이다.
  • 문둥이박쥐속 - 고바야시박쥐
일본짧은꼬리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Eptesicus japonensis
명명자Imaizumi, 1953
상태취약
IUCNhttp://www.iucnredlist.org/details/136823/0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박쥐목
아목양박쥐아목
애기박쥐과
아과애기박쥐아과
문둥이박쥐속
일본짧은꼬리박쥐 (E. japonensis)
일반 정보
일본어 이름クビワコウモリ (Kubiwa kōmori)
영어 이름Japanese northern Bat

2. 분포

일본 고유종[4][5]이다. 종소명 japonensis|야포넨시스lat는 "일본산의"라는 뜻이다.

이 종은 일본 전역에 드물게 분포하며 희귀한 것으로 여겨진다.[1] 주로 북알프스 주변, 지치부 인근 산악 지역, 오제 국립공원 등 해발 7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발견되며, 오래된 나무의 구멍에서 둥지를 튼다.[1]

현재까지 발견된 지역은 다음과 같다.[6]



1989년 나가노현의 노리쿠라 고원에서 번식 집단이 발견되었으며[4], 노마고개 주변에서도 번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6]

3. 형태

몸길이는 5.8cm에서 6.8cm 사이이며[2], 전완장은 3.8cm에서 4.3cm[2][4][5], 꼬리 길이는 3.5cm에서 4.3cm[2][4][5], 발 길이는 8.7mm에서 11.5mm[2], 귀 길이는 13mm에서 16.5mm[2]이다. 몸무게는 8g에서 13g 정도인 작은 박쥐이다[4][5].

털은 짧고 부드러우며 윤기가 난다[2]. 등 쪽은 짙은 검은 갈색[2] 또는 흑갈색[4]이고, 배 쪽은 황갈색[2] 또는 노란색이 도는 갈색[2]을 띤다. 털 끝은 엷은 갈색이나 흰색인 경우도 있으며, 금속 광택이 있는 개체도 발견된다[4]. 귀 뒤쪽부터 가슴까지 이어지는 황금색 갈색 목덜미가 특징적이다[2]. 목 부위의 털 색깔이 다른 부위보다 다소 엷아 고리 모양처럼 보이는데, 이것이 일본 이름 ワモンコウモリ|와몬코우모리일본어(고리박쥐)의 유래가 되었다[7].

콧구멍은 두드러지며, 콧구멍 양쪽에 두 개의 선 덩어리가 있어 주둥이가 넓어 보인다[2]. 날개 막은 넓고 두꺼우며 불투명하고, 엄지발가락의 중족골 기저부에 붙어 있다[2]. 꼬리 끝은 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대퇴막을 약간 넘어선다[2].

4. 생태

야행성이며, 해 질 녘에 비행하여 먹이를 찾고 해 뜨기 전에는 은신처로 돌아간다.[4] 낮에는 나무 구멍, 벽판 아래나 다락방 등에서 휴식을 취하며[4], 고목의 구멍에서 둥지를 틀기도 한다.[1] 노리쿠라 고원의 가옥에서 발견된 번식 집단은 100마리 이상의 무리를 형성하고 있었다.[4][5] 겨울철 관찰 사례는 없지만, 늦가을부터 겨울잠을 자는 것으로 생각된다.[4]

암컷만으로 무리를 형성하여 출산과 보육을 한다.[4] 초여름에 한 번에 1마리의 새끼를 낳는 것으로 생각되며[5], 새끼는 생후 1개월이면 비행할 수 있게 된다.[4]

5. 분류

1951년에 처음, 1953년에 두 번째 개체가 모두 나가노현에서 채집된 이후, 1970년에 후지산에서 채집될 때까지 한동안 채집 사례가 없었다. 1979년에도 후지산에서 채집된 사례가 있다.

6. 보전 상태

이 종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며, 일본 전역에 걸쳐 드물게 분포하는 희귀종으로 여겨진다.[1] 현재까지 5000km2 미만의 지역에서만 관찰되었기 때문에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있다.[1] 주요 위협 요인은 서식지 파괴 및 훼손이며, 특히 삼림 벌채나 습지 개발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5] 이 박쥐는 주로 고목이나 썩은 나무 구멍에서 둥지를 트는데,[1] 삼림 벌채는 이러한 서식지의 손실로 이어져 박쥐가 건물 등에서 서식하게 만들고, 이는 인간 활동으로 인한 방해에 더욱 취약하게 만드는 결과를 낳는다.[1]

참조

[1] 간행물 "''Eptesicus japonensis''" 2020
[2] 논문 A Systematic Study of the Japanese Chiroptera http://ci.nii.ac.jp/[...]
[3]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
[4] 서적 日本の哺乳類【改訂2版】 学校法人東海大学出版会 2008
[5] 웹사이트 環境省 自然環境局 生物多様性センター https://www.biodic.g[...]
[6] 논문 長野県におけるコヤマコウモリ''Nyctalus furvus''とクビワコウモリ''Eptesicus japonensis''の採集記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08
[7] 논문 シリーズ 日本の哺乳類 種名検討編, 日本産翼手目(コウモリ類)の和名再検討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997
[8] 웹사이트 環境省 https://www.env.go.j[...]
[9] 웹인용 Eptesicus japonensis http://www.iucnredli[...]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3.1 2013-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