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화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화는 경제, 사회, 문화,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지칭한다. 경제적으로는 장기 불황, 저성장, 디플레이션 등 일본 경제의 침체와 유사한 현상을 겪는 것을 의미하며, 사회적으로는 일본어 학습자 증가와 재일 한국인의 동화 정책, 문화적으로는 일본 대중문화의 세계적인 유행, 정치적으로는 지도력 부재와 일처리의 지연을 비유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하위문화 - 오타쿠
    오타쿠는 특정 대상에 집착적인 관심을 보이는 사람을 뜻하는 일본어로, 과거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아키하바라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문화를 지칭하기도 한다.
  • 일본의 하위문화 - 카와이
    카와이는 일본어로 '귀엽다'라는 뜻에서 유래하여 '사랑스럽다'는 의미로 확장되었으며, 일본 대중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문화적 아이콘이다.
  • 문화 동화 - 외래어
    외래어는 다른 언어에서 유입되어 특정 언어에 정착한 단어 또는 표현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발음, 의미, 형태 등이 변화하고 외국어, 차용어, 부분 바꿈, 번역 차용, 신조어, 뜻 차용 등의 형태로 수용되면서 원래 의미와 다르게 사용되기도 하며, 각 언어는 외래어 수용에 대한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외래어 순화 운동을 통해 사용을 제한하기도 한다.
  • 문화 동화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일본의 문화 - 친일
    친일은 일본에 대한 긍정적 감정이나 일본 관련 동향에 대한 긍정적 해석을 의미하며, 일제강점기 친일반민족행위자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며, 국가 간 관계, 문화적 교류, 경제적 영향 등 다양한 요소가 친일 감정 형성에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 일본의 문화 - 오타쿠
    오타쿠는 특정 대상에 집착적인 관심을 보이는 사람을 뜻하는 일본어로, 과거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아키하바라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문화를 지칭하기도 한다.
일본화 (문화)

2. 경제

경제 분야에서 일본화는 주로 장기 불황과 디플레이션, 저성장, 고령화, 청년층의 경제적 어려움 등을 의미하며, 잃어버린 20년으로 대표되는 일본 경제의 침체와 유사한 현상을 겪는 것을 말한다. 문화적 정의 외에도, 경제학자들은 경제가 일본의 단계를 따르는 것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일본화'라고 묘사한다. 이는 잃어버린 20년을 초래한 것과 같은 수요 붕괴로 인한 디플레이션 함정에 빠지는 것을 의미한다.[2] 리먼 쇼크 이후, 미국, 영국 및 기타 국가들이 일본의 버블 경제 붕괴와 장기 불황과 비슷한 경제적 문제들을 겪으면서 '일본병'이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되었다.[17][18]

경제 자문가인 존 리는 일본화에 대하여 일본 젊은이들이 경제문맹으로 꿈이 없다고 지적하며, 그들의 꿈이 세븐일레븐에서 일하는 것이라고 예를 들고 있다. 또한 한국이 일본다음으로 경제문맹이라며 이러한 일본화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한다.[20] 폴 크루그먼뉴욕 타임스 기고문에서 스웨덴 중앙은행의 과도한 긴축 정책을 비판하며, 스웨덴이 '일본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19]

2. 1. 경제 문제

문화적 정의 외에도, 경제학자들은 경제가 일본의 단계를 따르는 것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일본화'라고 묘사한다. 이는 잃어버린 20년을 초래한 것과 같은 수요 붕괴로 인한 디플레이션 함정에 빠지는 것을 의미한다.[2] 리먼 쇼크 이후, 미국, 영국 및 기타 국가들이 일본의 버블 경제 붕괴와 장기 불황과 비슷한 경제적 문제들을 겪으면서 '일본병'이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되었다.[17][18] 폴 크루그먼뉴욕 타임스 기고문에서 스웨덴 중앙은행의 과도한 긴축 정책을 비판하며, 스웨덴이 '일본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19]

3. 사회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일본 사회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일본어를 배우는 학생과 개인의 수가 증가했다. 인기가 절정에 달했을 때,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 대학에서 일본어 등록 학생 수가 10.3% 증가했는데, 2006년에는 66,605명이었고 2009년에는 73,434명이었다.[3] 그러나, 국제교류기금의 통계에 따르면, 일본어능력시험(JLPT) 응시자 수는 2009년 정점을 찍은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4]

2000년대 후반 일본 만화애니메이션의 인기가 일본어 학습자 수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기도 했다. "2009년 국제교류기금에서 설문조사한 일본어 학습자의 50% 이상이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읽는 법을 배우고 싶어 일본어를 공부하는 주요 이유로 꼽았다."[3] 그러나 스캔본(scanlation, 불법 스캔 및 번역본)의 증가 등으로 인해 일본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인기가 감소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일본 디지털 만화 협회는 "일본 디지털 만화 협회의 36개 출판사와 몇몇 미국 출판사들이 팬들이 번역하거나 합법적인 영어판에서 직접 스캔하여 만든 만화의 불법 디지털 사본인 스캔본의 '만연하고 증가하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연합을 결성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7]

3. 1. 재일 한국인의 일본화

일본에서는 일제 강점기 식민 통치 정책이자, 해방 이후 재일 한인을 일본 사회로 동화, 편입시키려는 정책을 '''동화정책'''(同化政策일본어)이라고 하였다. 동화 정책은 식민 본국 또는 지배 민족이 식민지와 식민지인들을 자신의 통치 체제나 문화에 편입시키는 정책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일제 강점기 동화 정책은 식민지 조선뿐만 아니라 재일 한인 사회에도 적용되었다.

일제 강점기 재일 조선인 사회에는 상애회와 협화회 같은 친일 단체들이 조직되어 동화 정책을 수행했다. 상애회는 인류 상애의 정신과 공존 공영의 본의에 입각한 일선 융화 등을 내걸었으나, 실제로는 일제 당국에 의해 재일 조선인의 민족 운동 억압이나 일본에서의 노동 쟁의를 탄압하는 데 이용되었다. 협화회는 재일 조선인 실업자를 구제하여 일본인화하고자 하였다.

동화 정책은 해방 이후에도 이어졌다. 1948년 재일 한인 학교 강제 폐쇄는 일본 정부의 동화 의지를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1952년 강화조약 발효 이후에는 구 식민지 출신자들에게 일본 국적을 일방적으로 박탈하였고, 귀화 시에는 일본명 사용을 권장했다. 1965년 한일기본조약 이후에는 재일 한인 어린이의 취학에 대해 의무 교육 대상이 아닌, 은혜의 의미를 부여했다.

일본 정부는 식민지 지배 정책의 일환으로 해방 이후에도 외국인 등록원표 등에 일본명을 남겨, 재일 조선인에 관한 공문서를 일본명으로 작성하는 것을 허용했다. 이는 민족명(본명)을 사용하면 차별을 받았기 때문에 재일 사회에서 암묵적으로 일본명을 사용하는 경향을 낳았다.

동화 정책은 일제 강점기에 시행된 식민 정책이었지만, 해방 이후 현재까지도 재일 한인 사회에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일본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혐한류와 헤이트스피치는 동화 정책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료 후, 일본에 남은 평화 조약 국적 이탈자가 된 사람의 일족은 그 자손도 특별영주자로서 세대를 거듭할수록 외국 국적을 유지한 채 일본화, 일본인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일본화가 진행되어 조국에서의 생활에 어려움을 느끼게 된 재일 한국·조선인 특별영주자 사이에서는 종종 정체성 문제로 다루어지며, 한국인도 일본인도 아닌 "재일인"으로서의 자신에게 정체성을 찾는 움직임도 있다.[12][13][14][15]

4. 문화

세계적으로 일본의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헬로 키티나 마이 멜로디와 같은 산리오 캐릭터, 그 외에 음악이나 영화 등의 대중문화, 스시와 같은 일본 요리가 유행하고 있다.[1]오타쿠 문화는 일본인 특유의 문화라고 생각되었으나, 2010년대에 들어서 세계국가의 일부 국민에게 정착되었고, 세계로 수출되는 몇 안 되는 일본의 현대 문화가 되었다.[9][10][11] 영향력은 서방 세계를 넘어 확대되어, 일본 여성 성우가 러시아에서 라이브를 열었더니 대성황이었다는 사례도 있으며,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열리고 있는 "애니메이션・페스티벌・아시아(AFA)"는 매번 인기를 끌고 있다.

4. 1. 미국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일본 문화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배한 이후, 그리고 미국의 아이들이 처음으로 고질라와 같은 일본 대중문화를 접하게 된 1950년대 초부터 미국 대중문화에 강력한 영향을 미쳐왔다.[1] 젯 셋 라디오와 같은 인기 비디오 게임에도 일본 만화와 그래픽 노블의 영향이 나타났다.

일본이 어린이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추세는 도라에몽, 아톰, 세일러 문, 드래곤볼 Z, 원피스, 포켓몬스터, 헬로 키티와 같은 아이콘으로 이어진다.[1] 일본 미디어는 일반적으로 카와이이로 묘사된다.[1] 레이젠 아키히코는 가정보다 일을 중시하는 점, 진심으로 사과하는 점, 탤런트 후보, 어린이용 애니메이션도 선악 이원론에서 가치의 상대화로 변화하는 점 등의 예를 들어 미국이 일본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8]

4. 2. 타이완의 하리즈

타이완에서는 일본 문화에 열광하는 사람들을 '하리즈'(하일족)라고 부른다.[1] 이 용어는 타이완의 만화가인 하리 교코(하리 교코)의 필명에서 유래되었다.[1] 1996년에 발매된 그녀의 첫 만화 ''굿모닝 재팬''은 일본에 대한 집착을 "''하리'' 병"이라고 묘사했다.[1] '하리'의 '리'는 일본을 뜻하며, '하'는 무언가를 끔찍하게 사랑한다는 뜻의 타이완어 용어(哈得要死중국어)에서 따온 것이다.[1]

5. 정치

정치가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일을 미루는 것을 "일본화"라고 표현한다.[16] 2011년 7월 말 영국 신문 이코노미스트, 미국 신문 포브스 등은 표지에 기모노 차림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그림을 싣고, 리더십 부족이라는 "일본화"를 비판하는 기사를 게재했다.[16]

참조

[1] 논문 The Japanification of Children's Popular Culture: From Godzilla to Miyazaki
[2] 뉴스 Japan Goes From Dynamic to Disheartened 2010-10
[3] 웹사이트 Demand for Japanese language instruction in U.S. skyrocketing http://www.japantoda[...] Japan Today 2013-10-02
[4] 웹사이트 Changes in number of examinees (1984-2013) http://www.jlpt.jp/e[...] Japan Statistics 2014-06-02
[5] 웹사이트 Decade in Review: Trends & Tops of the '00s http://www.comicbook[...] 2014-06-02
[6] 웹사이트 More on the rise and fall of manga http://comicsbeat.co[...] 2014-06-02
[7] 웹사이트 U.S., Japanese Publishers Unite Against Manga Scan Sites http://www.animenews[...] 2014-06-02
[8] 웹사이트 「日本化するアメリカ」 http://www.jmm.co.jp[...] JMM 2007-06-02
[9] 문서 オタク文化論 https://ssk.econfn.c[...]
[10] 뉴스 声優にロシアっ子熱狂=上坂すみれさん、ライブで文化外交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3-11-25
[11] 뉴스 Anime Festival Asia sees tens of thousands of fans attend http://www.straitsti[...] The Strait Times 2012-11-11
[12] 뉴스 白佳和「韓国と在日は違う」/男子ゴルフ https://www.nikkansp[...] ニッカンスポーツ 2011-08-20
[13] 뉴스 在日の仲間に守られた<脱北2> http://osaka.yomiuri[...] 読売新聞大阪版 2009-11-21
[14] 뉴스 李忠成が一石投じる、迫られる在日政策の転換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11-02-02
[15] 서적 <在日>という生き方 講談社選書メチエ 1999-11
[16] 뉴스 【産経抄】9月14日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17] 웹사이트 米国経済の「日本化(japanization)」 http://www.nochuri.c[...] 金融市場 2011年2月号 2014-02-08
[18] 뉴스 格下げ、ゼロ金利―米国に忍び寄る「日本化」の影 http://jp.wsj.com/Ec[...] 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 2011-08-14
[19] 뉴스 「スウェーデンの日本化」論争勃発 http://jbpress.ismed[...] JBpress 2014-05-09
[20] 웹인용 존리생각_ 일본의 경제보복과 주식시장 https://www.youtube.[...] 2021-05-22
[21] 문서 현재는 일본 군국주의로 명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