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상사(Alltagsgeschichte)는 1960년대 사회 및 정치적 변화 속에서 발전한 역사 연구 방법론으로,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 경험과 사회적 변화의 연관성을 탐구한다. 이는 미시사적 접근 방식을 취하며, 독일의 정치적 변화와 함께 사회사에서 문화사로의 전환을 겪었다. 주요 지지자로는 폴 베인, 미셸 루셰, 피터 카 등이 있으며, 알프 뤼트케, 한스 메딕, 데틀레프 포이케르트 등은 일상사 연구의 선구자로 꼽힌다. 오스트리아 다큐멘터리 시리즈 "Alltagsgeschichte"는 일상사가 대중 문화의 일부가 된 사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사학 - 역사주의
역사주의는 19세기 초 독일에서 시작되어 낭만주의와 결합, 다양한 사상에 영향을 미치고 새로운 학문 분야를 탄생시켰으나, 결정론과 전체론 비판 및 신역사주의 등장으로 재해석되는 다의적 개념의 사상이다. - 역사학 - 시민 혁명
시민 혁명은 봉건주의 또는 절대주의 체제에 대항하여 시민의 자유와 권리를 옹호하는 사회적, 정치적 운동으로, 마르크스주의, 배링턴 무어 주니어, 닐 데이비슨 등의 이론적 관점에서 다양하게 해석되며, 영국, 프랑스, 미국 혁명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지만 서구 중심적 관점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사례도 존재하며, 민족주의, 민주주의, 자유주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일상사 |
---|
4. 주요 저서
- 알프 뤼트케 편, 나종석 역, 《일상사란 무엇인가》, 청년사, 2002.
- 데틀레프 포이케르트, 김학이 역, 《나치 시대의 일상사》, 개마고원, 2003.
- 알프 뤼트케(Alf Lüdtke), 《일상사》(The History of Everyday Life).
- 알프 뤼트케(Alf Lüdtke), 〈Alltagsgeschichte - ein Bericht von unterwegs〉, 《역사 인류학 11호》(Historische Anthropologie 11), 2003.
- 폴 베인(Paul Veyne) 편집, 《사생활의 역사: 이교 로마에서 비잔틴까지》(A History of Private Life: From Pagan Rome to Byzantium), Éditions du Seuil, 1985.
- 피터 카(Peter Carr), 《포르타보: 아일랜드 타운랜드와 그 사람들》(Portavo: An Irish Townland and Its Peoples), 1부와 2부, White Row, 2003년 및 2005년.
- 폴 스테게(Paul Steege), 앤드루 버거슨(Andrew Bergerson), 모린 힐리(Maureen Healy), 패멀라 E. 스위트(Pamela E. Swett), 〈일상사의 역사: 두 번째 장〉(The History of Everyday Life: A Second Chapter), 《현대사 저널》(The Journal of Modern History) 80호, 2008년 6월.
- 토마스 린덴베르거(Thomas Lindenberger)와 알프 뤼트케(Alf Lüdtke) 편집, 코르넬리아 콘찰(Kornelia Kończal) 편집, 안토니 고르니(Antoni Górny), 코르넬리아 콘찰(Kornelia Kończal), 미로스와바 질린스카(Mirosława Zielińska) 번역, 《Eigen-Sinn. Życie codzienne, podmiotowość i sprawowanie władzy w XX w. [Eigen-Sinn. Alltagspraxis, Subjektivität und Herrschaft im 20. Jahrhundert]》, 포즈난: Wydawnictwo Nauka i Innowacje, 2018.
- 〈Eigen-Sinn und Alltagsgeschichte. Ein Gespräch von Kornelia Kończal mit Alf Lüdtke und Thomas Lindenberger〉, 《알프 뤼트케(Alf Lüdtke, 1943-2019)의 "Eigen-Sinn" 개념에 대한 이론 블로그》(Theory blog on Alf Lüdtke's (1943-2019) concept of "Eigen-Sinn"), 2021년 12월 10일, https://eigensinn.hypotheses.org/#_ftn1.
5. 대중 문화 속 일상사
오스트리아의 다큐멘터리 시리즈 "Alltagsgeschichte"(1985-2006)는 유럽에서 일상사가 대중 문화의 일부가 된 사례이다. 이 시리즈는 엘리자베스 T. 스피라가 제작했으며,[4] 60편이 넘는 에피소드를 통해 오스트리아 사람들의 일상과 이야기를 기록했다.[4]
참조
[1]
논문
Alltagsgeschichte – ein Bericht von unterwegs
https://www.degruyte[...]
2003
[2]
논문
Alltagsgeschichte: A New Social History "From Below"?
1989
[3]
논문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A Second Chapter
2008
[4]
웹사이트
Alltagsgeschichte
https://der.orf.at/u[...]
2019-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