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학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학역은 1999년 10월 6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역이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출구는 4곳이다. 주변에는 계산택지, 병방시장,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계양 나들목 등이 위치해 있다. 역명은 과거 이 지역에 숲과 백로가 많았던 데서 유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계양구의 전철역 - 귤현역
귤현역은 인천광역시 계양구 귤현동에 있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지상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 2층 건물이며, 1999년 개통 이후 귤현택지지구 개발로 이용객 수 변동이 있고, 접근성 개선을 위한 추가 출입구 설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인천 계양구의 전철역 - 계양역
계양역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위치한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의 환승역으로, 2007년 개통 이후 환승역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검단 연장선 개통으로 중간역이 될 예정이다.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부평구청역
부평구청역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으로, 1999년 1호선 개통 후 2012년 7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2022년부터 인천교통공사가 7호선 구간을 운영하고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부평구청 등 주요 시설과 인접해 있다.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부평역
부평역은 인천 부평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환승역으로,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해 전철역 기능 추가 및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부평역사쇼핑몰, 부평지하상가와 연결되어 다양한 상업 및 편의시설이 인접한 지역 중심지이자 영화 촬영지로도 알려져 있다. - 1999년 개업한 철도역 - 나고야역
나고야역은 JR 도카이, 나고야 임해고속철도, 나고야시 교통국 노선이 접속하고, 메이테쓰 및 긴테쓰와 환승이 가능하며, 도카이도 신칸센의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나고야 지역 교통의 중심지이자 '메이에키'라 불리는 번화가이다. - 1999년 개업한 철도역 - 서면역
부산 도시철도 서면역은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으로, 1985년 1호선 개통 후 1999년 2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현재 부산 도시철도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 중 하나이고 롯데백화점, 롯데호텔 등과 연결되어 부산의 주요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임학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명 | 임학역 |
한자 표기 | 林鶴驛 |
로마자 표기 | Imhangnyeok |
주소 | 인천광역시 계양구 장제로 지하 878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인천교통공사 |
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역 번호 | I113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상대식 2면 2선 |
역사 | |
개업일 | 1999년 10월 6일 |
인접역 | |
이전 역 | 박촌역 |
다음 역 | 계산역 |
2. 역사
1994년 3월 19일 역명이 '''임학역'''으로 결정되었고,[1] 1999년 10월 6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2] 2014년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2. 1. 연혁
3. 역 구조
임학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곳이며, 1번 출구와 2번 출구 사이에는 인근 상가와 연결된 통로가 있다. 직선 도로 아래에 위치하지만, 인근 임학사거리 아래에 곡선 구간이 있어 완화곡선을 삽입하기 위해 승강장이 곡선으로 건설되었으며, 승강장과 열차 사이 간격이 넓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승강장 벽면에는 학을 표현한 특이한 형상의 그림이 있다.[1]
3. 1.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곳이며, 1번 출구와 2번 출구 사이에 인근 상가와 연결된 통로가 있다. 직선 도로 아래에 위치하나, 인근 임학사거리 아래에 곡선 구간이 있기 때문에 완화곡선을 삽입하기 위하여 승강장이 곡선으로 건설되었으며, 승강장과 열차사이 간격이 넓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승강장의 벽면에는 특이한 형상의 그림이 있는데, 이는 학을 표현한 것이다.[1]
4. 역명 유래
5. 역 주변
계산택지, 병방시장,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계양 나들목, 인천병방초등학교, 임학중학교, 계양구청, 계양체육관, 학마을서해아파트, 용종마을, 용종음식문화시범거리, 영남,서원,한진,서해아파트, 계양농협임학지소, 계양병원, 계양어린이집, 서해종합상가, 길주초등학교, 계양고등학교, 신대진,두산,쌍용,중앙아파트, 북부노동지방사무소, 계산여자고등학교, 계산제일교회, 계양경찰서, 계양등기소, 계양우체국, 그랜드마트, 작전초등학교, 임학지구대, 계양2동행정복지센터, 국민은행, 청소년수련회관, 용정,유호,한국아파트, 진달래,한일,중원아파트, 삼우,아주,인우아파트, 새마을금고가 주변에 있다.
6. 이용객 변동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임학역의 이용객 변동은 아래 표와 같다.[4]
연도 | 승차 (명/일) | 하차 (명/일) | 승하차 (명/일) |
---|---|---|---|
2003년 | 7,332 | 6,730 | 14,063 |
2004년 | 6,924 | 6,294 | 13,253 |
2005년 | 6,550 | 5,844 | 12,394 |
2006년 | 6,715 | 6,050 | 12,766 |
2007년 | 6,390 | 5,784 | 12,174 |
2008년 | 6,241 | 5,766 | 12,008 |
2009년 | 6,093 | 5,674 | 11,767 |
2010년 | 6,333 | 5,977 | 12,310 |
2011년 | 7,328 | 7,504 | 14,832 |
2012년 | 7,842 | 7,305 | 15,147 |
2013년 | 8,422 | 7,986 | 16,408 |
2014년 | 8,567 | 8,164 | 16,731 |
2015년 | 8,432 | 7,999 | 16,431 |
2016년 | 8,340 | 7,919 | 16,259 |
2017년 | 8,493 | 8,118 | 16,611 |
6. 1. 연도별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승차 | 7,332 | 6,924 | 6,550 | 6,715 | 6,390 | 6,241 | 6,093 | 6,333 | 7,328 | 7,842 | [4] |
하차 | 6,730 | 6,294 | 5,844 | 6,050 | 5,784 | 5,766 | 5,674 | 5,977 | 7,504 | 7,305 | ||
승하차 | 14,063 | 13,253 | 12,394 | 12,766 | 12,174 | 12,008 | 11,767 | 12,310 | 14,832 | 15,147 | ||
노선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승차 | 8,422 | 8,567 | 8,432 | 8,340 | 8,493 | ||||||
하차 | 7,986 | 8,164 | 7,999 | 7,919 | 8,118 | |||||||
승하차 | 16,408 | 16,731 | 16,431 | 16,259 | 16,611 |
7. 인접한 역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
박촌역 (I112) | 계산역 (I114) |
참조
[1]
간행물
인천직할시고시 제94-35호
1994-03-19
[2]
간행물
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공고 제1999-54호
1999-10-04
[3]
웹사이트
지명의 유래
http://www.gyeyang.g[...]
[4]
웹인용
인천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일반 자료실
https://web.archive.[...]
2016-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