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릿수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릿수근은 양의 정수의 각 자릿수를 더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한 자리 수가 될 때까지 얻는 값으로 정의된다. 10진법에서 자릿수근은 9로 나눈 나머지(나머지가 0일 경우 9)와 같으며, 어떤 숫자의 자릿수근이 9일 경우 그 숫자는 9의 배수이다. 자릿수근은 덧셈, 뺄셈, 곱셈 연산에 대한 성질을 가지며, 다른 진법에서도 정의될 수 있다. 자릿수근은 계산 오류 검증, 게임 메커니즘, 사회적 현상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론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수론 - 최소공배수
    최소공배수는 둘 이상의 정수들의 공배수 중 가장 작은 양의 정수로서, 소인수분해나 최대공약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분수 통분이나 기어 회전 수 계산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 위키백과 특수 효과용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위키백과 특수 효과용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자릿수근
개요
정의어떤 자연수의 각 자릿수를 모두 더한 값인 자릿수 합을 반복하여 한 자릿수가 될 때까지 계산하는 것
다른 이름디지털 루트
반복 자릿수 합
예시65536의 자릿수근은 6 + 5 + 5 + 3 + 6 = 25 -> 2 + 5 = 7 이므로 7이다.
특징
계산법임의의 양의 정수를 n이라 하자.
n이 10보다 작으면 n이 자릿수근이다.
n이 10보다 크거나 같으면 n의 각 자릿수를 모두 더한 값을 n에 대입하고 2단계부터 반복한다.
활용수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사용
점성술에서 특정 수의 의미를 해석하는 데 사용
관련 개념모듈러 연산
자릿수 합
수학적 표현
공식dr(n) = n ≡ sum(digits) ≡ sum(dr(digits)) (mod 9)
설명여기서 dr(n)은 n의 자릿수근을 의미하며, sum(digits)는 n의 자릿수 합을 의미한다.

2. 정의

wikitext

양의 정수의 각 자릿수를 모두 더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한 자리 수가 나올 때까지 반복하여 얻어지는 값을 자릿수근이라고 정의한다. 10진법에서 자릿수근은 9로 나눈 나머지와 같으며 (나머지가 0일 경우는 9), 이는 10 \equiv 1\pmod{9}이기 때문이다.

어떤 숫자의 자릿수근이 정확히 9일 경우, 그 숫자는 9의 배수이다. 예를 들어 11의 자릿수근은 2인데, 11은 9보다 2만큼 큰 수이다. 2035의 자릿수근은 1이므로, 2035 - 1 = 2034는 9의 배수이다.

S(n)n의 자릿수들의 합을 나타낸다고 하고, S(n)의 합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S^{1}(n)=S(n),\ \ S^{m}(n)=S\left(S^{m-1}(n)\right),\ \text{for}\ m\ge2

수열 S^{1}(n),S^{2}(n),S^{3}(n),\dotsb는 결국 한 자리 수가 된다. S^{*}(n) (n의 자릿수합)이 한 자리 수를 나타낸다고 할 때, 이 수열이 한 자리 수로 수렴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n=d_1+10d_2+\dotsb+10^{m-1}d_m이고, 모든 i에 대한 d_i는 0보다 크거나 같고 10보다 작은 정수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S(n)=d_1+d_2+\dotsb+d_m이다. n이 한 자리 수가 아니라면, 즉 d_2,d_3,\dotsb,d_m 중 0이 아닌 값이 존재한다면 S(n)이다. 따라서 S(n) 함수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n이 한 자리 수가 될 때까지 값이 계속 감소하고, 한 자리 수가 되면 S(d_1)=d_1이므로 그 값은 변하지 않는다.

10진법에서 양의 정수 n의 자릿수근(dr(n))은 바닥 함수\lfloor x\rfloor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operatorname{dr}(n)=n-9\left\lfloor\frac{n-1}{9}\right\rfloor


합동식에 의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operatorname{dr}(n) = \begin{cases}0 & \mbox{if}\ n = 0, \\ 9 & \mbox{if}\ n \neq 0,\ n\ \equiv 0\pmod{9},\\ n\ {\rm mod}\ 9 & \mbox{if}\ n \not\equiv 0\pmod{9}\end{cases}

또는,

: \mbox{dr}(n) = 1\ +\ ((n-1)\ {\rm mod}\ 9)

밑이 ''b''인 경우로 일반화하면 다음과 같다.

: \operatorname{dr}_{b}(n) = \begin{cases} 0 & \mbox{if}\ n = 0, \\ b - 1 & \mbox{if}\ n \neq 0,\ n\ \equiv 0 \pmod{(b - 1)},\\ n \bmod{(b - 1)} & \mbox{if}\ n \not\equiv 0 \pmod{(b - 1)} \end{cases}

또는,

: \operatorname{dr}_{b}(n) = \begin{cases} 0 & \mbox{if}\ n = 0, \\ 1\ +\ ((n-1) \bmod{(b - 1)}) & \mbox{if}\ n \neq 0. \end{cases}

자릿수근이 (b - 1) 모듈로 값을 갖는 이유는 b \equiv 1 \pmod{(b - 1)}이므로 b^i \equiv 1^i \equiv 1 \pmod{(b - 1)}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숫자 d_i의 위치 i에 관계없이 d_i b^i\equiv d_i \pmod{(b-1)}이며, 이것이 숫자를 의미 있게 더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

다른 숫자 ''n''에 대한 모듈러 값을 얻기 위해, i번째 숫자에 대한 가중치가 b^i \bmod{m}의 값에 해당하는 가중 합을 취할 수 있다. 10진법에서 이것은 m=2, 5,\text{ and }10에 대해 가장 간단하며, 이는 2, 5, 10에 대한 십진수의 배수 판정법은 마지막 숫자로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과 대응한다.

2. 1. 공식

10진법에서 양의 정수 n의 자릿수근(dr(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operatorname{dr}(n)=n-9\left\lfloor\frac{n-1}{9}\right\rfloor


바닥 함수\lfloor x\rfloor 를 사용했다.

합동식에 의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operatorname{dr}(n) = \begin{cases}0 & \mbox{if}\ n = 0, \\ 9 & \mbox{if}\ n \neq 0,\ n\ \equiv 0\pmod{9},\\ n\ {\rm mod}\ 9 & \mbox{if}\ n \not\equiv 0\pmod{9}\end{cases}

또는,

: \mbox{dr}(n) = 1\ +\ ((n-1)\ {\rm mod}\ 9)

어떤 숫자의 자릿수근이 정확히 9일 경우, 그 숫자는 9의 배수이다. 예를 들어 11의 자릿수근은 2인데, 11은 9보다 2만큼 큰 수이다. 2035의 자릿수근은 1이므로, 2035 - 1 = 2034는 9의 배수이다.

밑이 ''b''인 경우로 일반화하면 다음과 같다.

: \operatorname{dr}_{b}(n) = \begin{cases} 0 & \mbox{if}\ n = 0, \\ b - 1 & \mbox{if}\ n \neq 0,\ n\ \equiv 0 \pmod{(b - 1)},\\ n \bmod{(b - 1)} & \mbox{if}\ n \not\equiv 0 \pmod{(b - 1)} \end{cases}

또는,

: \operatorname{dr}_{b}(n) = \begin{cases} 0 & \mbox{if}\ n = 0, \\ 1\ +\ ((n-1) \bmod{(b - 1)}) & \mbox{if}\ n \neq 0. \end{cases}

10진법에서 자릿수근은 9로 나눈 나머지와 같다. 10 \equiv 1\pmod{9}이고 10^k \equiv 1^k \equiv 1\pmod{9}이므로, 위치에 관계없이 9로 나눈 나머지가 같기 때문이다.

다른 수 ''n''에 대한 모듈러 값을 구하기 위해, i번째 숫자에 대한 가중치가 b^i \bmod{m}의 값에 해당하는 가중 합을 취할 수 있다. 10진법에서 이것은 m=2, 5,\text{ and }10에 대해 가장 간단하며, 이는 2, 5, 10에 대한 십진수의 배수 판정법은 마지막 숫자로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과 대응한다.

6진법에서 11의 자릿수근은 2인데, 이는 11이 5 다음 두 번째 숫자임을 의미한다.

2. 2. 예시

1853의 자릿수근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1 + 8 + 5 + 3 = 17 → 1 + 7 = 8

12진법에서 3110의 자릿수근을 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3110 (10진법) = 1972 (12진법) → 1 + 9 + 7 + 2 = 19 (12진법) = 17 (12진법)→ 1 + 7 = 8

3. 성질

0의 자릿수근은 0이다. 9의 배수의 자릿수근은 9이다.(0 제외) 3 또는 6의 배수의 자릿수근은 3, 6, 9 중 하나이다. 제곱수의 자릿수근은 1, 4, 7, 9 중 하나이다. 세제곱수의 자릿수근은 1, 8, 9 중 하나이다. 3을 제외한 소수의 자릿수근은 1, 2, 4, 5, 7, 8 중 하나이다. 2의 거듭제곱의 자릿수근은 1, 2, 4, 5, 7, 8 중 하나이다. 6을 제외한 짝수 완전수의 자릿수근은 1이다. 삼각수의 자릿수근은 1, 3, 6, 9 중 하나이다. 6! 이상의 계승의 자릿수근은 9이다.

피보나치 수의 자릿수근은 1, 1, 2, 3, 5, 8, 4, 3, 7, 1, 8, 9, 8, 8, 7, 6, 4, 1, 5, 6, 2, 8, 1, 9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루카스 수의 자릿수근은 2, 1, 3, 4, 7, 2, 9, 2, 2, 4, 6, 1, 7, 8, 6, 5, 2, 7, 9, 7, 7, 5, 3, 8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3과 5를 제외한 쌍둥이 소수의 곱의 자릿수근은 8이다. (3과 5의 곱은 6)

'''덧셈 지속성'''은 숫자의 자릿수를 더하는 과정을 몇 번 반복해야 디지털 근에 도달하는지 횟수를 계산한다.[1] 예를 들어, 10진법에서 숫자 2718의 덧셈 지속성은 2이다. 먼저 2 + 7 + 1 + 8 = 18이고, 그 다음 1 + 8 = 9이다.

a + b의 자릿수근은 a의 자릿수근과 b의 자릿수근의 합의 자릿수근이다.

a - b의 자릿수근은 a의 자릿수근에서 b의 자릿수근을 뺀 값과 모듈러 9에서 합동이다.

a × b의 자릿수근은 a의 자릿수근과 b의 자릿수근을 곱한 값의 자릿수근이다.

4. 자릿수근의 추상곱셈

10진법 구구단의 자릿수근을 나타낸 표는 베다 사각형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패턴대칭을 보인다.[3] 9를 곱한 결과의 자릿수근은 항상 9이다.[3]

dr123456789
1123456789
2246813579
3369369369
4483726159
5516273849
6639639639
7753186429
8876543219
9999999999



9번째 행/열을 제외하면 반군 {J/(9), X}이 나타난다. J/(9)는 9를 법으로 하는 잉여류로 나뉜 정수의 집합이며, X는 이 반군 위의 원 사이의 추상 곱셈을 의미한다. ''a''와 ''b''가 {J/(9), X}의 원일 때, ''a''X''b''는 mod (''a''x''b'', 9)이고, ''a''x''b''는 일반적인 곱셈을 나타낸다. ''a''x''b''의 자릿수근은 ''c''이며, (a,b)는 모두 J와 {J/(9), X}의 원이다.[3]

5. 다른 진법에서의 자릿수근

십진법이 아닌 다른 진법에서 자릿수근은 그 수를 밑-1로 나눈 나머지와 같다. 예를 들어 12진법에서 어떤 수의 자릿수근은 그 수를 11로 나눈 나머지와 같다(Ɛduod). 1972duod는 1 + 9 + 7 + 2 = 19 = 17duod이고 1 + 7 = 8이나, 십진법으로 나타낸 같은 수(3110)의 자릿수근은 5이다.

기수 ''b''가 다른 위치 기수법의 숫자근에서는, 위의 식의 9를 ''b'' - 1로 바꾸면 된다.

6. 활용

자릿수근은 숫자의 계산 오류를 검증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체크섬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 비주얼 노벨 게임 9시간 9명 9개의 문에서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등장한다. 한국 사회는 다양한 진영 간의 갈등(자릿수)을 넘어, 조화와 통합(자릿수근)을 추구하는 민주주의를 지향하며, 이는 자릿수근 개념에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On the additive persistence of a number in base p https://www.academia[...] Preprint
[2] 문서 余りが 0 の場合は数字根は 9 である。
[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