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구 (중화인민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의 자치구는 중국 내 소수 민족의 자치를 위해 설치된 행정 구역이다. 1947년 내몽골 자치구를 시작으로, 1955년 신장 위구르 자치구, 1958년 광시 좡족 자치구와 닝샤 후이족 자치구, 1965년 티베트 자치구가 차례로 설치되었다. 1984년 제정된 중화인민공화국 민족구역자치법은 자치구의 분리 독립을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현재 내몽골 자치구, 광시 좡족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등 5개의 자치구가 존재하며, 각 자치구는 특정 소수 민족을 주체 민족으로 한다. 자치구는 소수 민족에게 공공 서비스 및 교육 등에서 혜택을 제공하지만, 인권 문제와 분리 독립 움직임에 대한 비판과 논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단위 - 성 (행정 구역)
성은 중국에서 수나라 시대부터 사용된 행정 구역 명칭으로, 원나라 시대에 1급 지방 행정 구획으로 자리 잡았으며 현재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모두 1급 행정 구획 단위로 사용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단위 - 부성급시
부성급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성급 행정 구역에 준하는 권한을 갖는 도시로, 1994년에 16개 지급시가 부성급시로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15개가 존재하고, 성도 또는 경제·사회적으로 중요한 도시가 지정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타이완성 (중화인민공화국)
타이완성(중화인민공화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자국 영토의 일부로 주장하는 행정구역이나, 하나의 중국 원칙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통치권은 행사하지 못하고 중화민국이 지배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향 (행정 구역)
향은 동아시아 국가에서 사용된 행정 구역 명칭으로, 한국 고려 시대에는 천민 거주 지역을 의미했으나 조선 시대에 철폐되었고, 중국에서는 진나라 시대부터 현재까지 존속하며,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 율령제 하에 지방 행정의 최하위 단위로 사용되었다.
자치구 (중화인민공화국) | |
---|---|
개요 | |
유형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관할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현황 | 5개 자치구 |
위치 | 중국의 특정 소수민족 밀집 지역 |
구성 | |
자치구 목록 | 광시 좡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
인구 범위 | 110,879,058명 |
면적 범위 | 4,380,000 km2 |
정부 | 자치구 인민정부, 중앙 인민 정부 |
하위 행정 구역 | 지급시 지구 맹 부성급 자치주 자치주 |
역사 | |
설립 배경 | 중화인민공화국 내 소수민족 거주 지역 |
설립 목적 | 소수민족의 자치 권한 보장 및 발전 도모 |
특징 | |
자치 권한 | 자치 법규 제정 민족 언어 사용 및 교육 경제, 문화 발전 정책 수립 |
중앙 정부의 역할 | 재정 지원 인프라 건설 지원 국가 전체의 발전 전략과 조화 |
현황 및 과제 | |
경제 발전 격차 | 동부 연안 지역과의 경제 발전 격차 존재 |
민족 갈등 | 일부 지역에서 민족 갈등 발생 |
환경 문제 | 자원 개발로 인한 환경 문제 심화 |
기타 | |
관련 항목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중화인민공화국의 성급 행정구역 경제특구 국가급 신구 |
2. 역사
중국 공산당은 국공 내전 시기에 소수 민족의 지지를 얻기 위해 자치구 제도를 도입하였다. 1947년 중국 해방구 최초의 자치구인 내몽골 자치구가 설립되었다.[2]
2. 1. 자치구 성립 과정
1947년 중국 공산당은 국공 내전 와중에 최초의 자치구인 내몽골 자치구를 설립하였다.[2]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55년에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가 설치되었고, 1958년에는 광시 좡족 자치구와 닝샤 후이족 자치구가 자치구로 지정되었다.[2] 티베트는 1951년 중화인민공화국에 병합된 후, 1965년에 자치구로 선포되었다.[2] 광시와 닝샤를 각각 좡족과 후이족 자치구로 지정한 것에 대해 각 지역 인구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지역 한족들이 격렬하게 항의했으나, 내몽골 자치구에서조차 적은 비율을 차지하는 몽골족은 그 뒤에 벌어진 국공 내전으로 인해 항의할 기회를 거의 얻지 못했다.[2]2. 2. 한족의 반발
광시 좡족 자치구와 닝샤 후이족 자치구를 각각 좡족과 후이족 자치구로 지정한 것에 대해, 각 지역 인구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한족들이 격렬하게 항의했다.3. 법적 권리
중국의 자치구는 소련과 달리 분리 독립할 법적 권리가 없다. 1984년에 제정된 ''중화인민공화국 민족구역자치법''은 "모든 민족 자치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불가분 부분"이며 "어떤 형태의 ... 분리주의 ...도 절대 금지된다"고 명시하고 있다.[3][4][5]
3. 1. 자치권의 제한
소련과 달리 중국의 자치구는 분리 독립할 법적 권리가 없다. 1984년에 제정된 ''중화인민공화국 민족 자치법''은 "모든 민족 자치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불가분 부분"이며 "어떤 형태의 ... 분리주의 ...도 절대 금지된다"고 명시하고 있다.[3][4][5]4. 공공재 및 서비스
중국 정부는 소수 민족 지역의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분리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이들 지역에 대한 공공재 및 서비스 제공을 확대하고 있다.[6]
4. 1. 교육 관련 지출
일반적으로 중국 소수 민족 지역은 다른 공공재 및 서비스와 함께 1인당 교육 관련 정부 지출이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6] 이러한 지역에 공공재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지역 불평등을 줄이고, 분리주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경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의 일환이다.[6]5. 5개 자치구
중국에는 현재 5개의 자치구가 있다.
5. 1. 목록
병음(언어)
(呼和浩特|후허하오터중국어; ᠬᠥᠬᠡᠬᠣᠲᠠ|후허하오터mn)
(; Nanzningz|Nanzningzza)
(; ལྷ་ས།|라싸bo)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