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폐인 대상 학교폭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폐인 대상 학교폭력은 자폐 학생이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취약성으로 인해 학교폭력에 노출되기 쉽고, 학교폭력 발생 시 인지 및 대처에 어려움을 겪어 피해가 심각해지는 문제이다. 학교폭력은 신체적, 언어적, 관계적, 사이버 폭력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폐 학생들은 비장애 학생에 비해 학교폭력 피해 경험률이 높다. 학교는 자폐 학생의 사회적 기술 향상과 자폐에 대한 인식 개선을 통해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자폐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사회적으로는 장애 학생 인권 보호를 위한 지원 체계가 마련되어 있으며, 학교폭력 피해 자폐인이 가스라이팅으로 인해 2차 피해를 입거나 학교 부적응을 겪는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2. 원인

2. 1. 취약성

자폐인을 비롯한 장애 학생들은 신체적, 인지적 손상으로 인해 학교폭력에 취약하다.[1] 타인조망능력 부족으로 인해 사회적 처신에 어려움을 겪거나,[1] 갈등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자신을 옹호하거나 저항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학교폭력의 표적이 되기도 한다.[1]

일반 학교에서의 배치가 늘면서 통합 교육 환경에서 비장애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이 증가함에 따라 폭행과 따돌림 등 학교폭력 피해자가 될 가능성 역시 높아지고 있다.[1] 지적장애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이 괴롭히더라도 보복이 적고 또래 상호작용에서 이질감을 느끼기 때문에 학교폭력에 더 쉽게 노출된다.[4] 또한, 폭행을 당해도 의사 표현과 전달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폭력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기도 한다.[4]

일부 장애 학생들은 기질적, 정서행동적 특징으로 인해 당면한 문제를 공격적인 방법으로 표출하여 학교폭력 가해자로 지목되는 경우도 있다.[2] 통합교육에 참여하는 장애 학생이 비장애 학생보다 학교폭력 노출 정도가 높다는 점[3] 또한 간과할 수 없다.

2. 2. 학교폭력 인지 어려움

자폐 학생들은 시간 흐름이나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싸움의 원인을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5] 또한 학교폭력을 자신에 대한 관심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5] 이러한 이유로 학교폭력 인지가 늦어져 피해가 심각해지는 경우가 많다.[5]

자폐 학생들은 스스로 학교폭력에서 벗어나는 능력이 부족하며,[5] 진술의 일관성, 신빙성, 구체성이 결여되어 피해 사실이 축소되거나 정확한 욕구 파악이 어려울 수 있다.[5]

3. 폭력의 종류

자폐인에 대한 학교폭력은 크게 신체·물리적 폭력, 언어적 폭력, 관계에 의한 폭력, 사이버 폭력이 있다. 피해 자폐인 학생들은 언어적 폭력은 58%, 관계에 의한 폭력은 36%, 신체·물리적 폭력은 30%, 사이버 폭력은 87%를 경험한다.

언어적 폭력 및 사회적 폭력 이외에도 고의로 자폐인을 소외 시키는 폭력도 존재한다.[6]

자폐스펙트럼을 겪고 있는 학생들은 학교폭력을 겪고 있으며, 그 중 한 가지 논문에 따르면 자폐 아동의 절반은 상호 관계를 바탕으로 한 관계가 형성되었다는 사실이 있다. 학교 내 교사 보고서에 따르면 학교에서 사회적으로 '덜' 손상된 자폐 아동들은 사회적인 다른 피해를 경험한 아동보다 더 '높은 수준의 피해'를 경험했다.[7]

3. 1. 신체적/물리적 폭력

자폐인에 대한 학교폭력은 신체·물리적 폭력, 언어적 폭력, 관계에 의한 폭력, 사이버 폭력이 있으며, 피해 자폐인 학생들은 신체·물리적 폭력은 30%를 경험한다.

3. 2. 언어적 폭력

자폐인에 대한 학교폭력 유형에는 언어적 폭력, 관계에 의한 폭력, 신체·물리적 폭력, 그리고 사이버 폭력이 있다. 피해 자폐인 학생들은 언어적 폭력을 58% 경험한다. 언어적 폭력 및 사회적 폭력 이외에도 고의로 자폐인을 소외 시키는 폭력도 존재한다.[6]

3. 3. 관계적 폭력

관계에 의한 폭력은 따돌림, 고의적인 소외 등 관계 형성을 방해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자폐인에 대한 학교폭력에서 관계에 의한 폭력은 36%를 차지한다. 학교 내 교사 보고서에 따르면, 사회적으로 '덜' 손상된 자폐 아동들은 사회적인 다른 피해를 경험한 아동보다 더 '높은 수준의 피해'를 경험했다.

3. 4. 사이버 폭력

자폐인에 대한 학교폭력에는 사이버 폭력이 있으며, 피해 자폐인 학생들은 87%가 사이버 폭력을 경험한다. 온라인 상에서의 괴롭힘, 명예훼손, 협박 등을 포함한다.

4. 발생 빈도

트런들 박사의 공동 연구팀이 자폐인 폭력 경험률을 메타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자폐인의 44%가 학교폭력의 피해자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박인환 연구팀의 분석에 따르면 67%가 피해자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피해 비율은 같은 세대의 비장애 학생이 10% 가량만 경험하는 것에 비하여 4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8] 스티븐 쇼어는 자폐 스팩트럼으로 진단된 사람이 학교를 다닐 때 겪은 폭력의 상황을 "괴롭힘과 사회적 소외"라고 표현한다고 밝혔다.[9] 미국의 경우, 대략 63%의 자폐 스팩트럼 당사자가 다른 사람으로부터 괴롭힘을 당하였다.[10]

이탈리아 재단 'Bambini e autism'이 시행한 설문에 따르면, 유치원초등학교 학령기에는 학교 폭력 피해를 받는 경우가 비교적 적지만 상위 학령기에는 흔하다.[13] 모하마드 가지우딘에 따르면, 이러한 학교폭력은 중학교부터 심각해진다(9세와 13세 사이).[12]

5. 대처

5. 1. 학교의 대처

자폐인 학교 폭력 문제에 대한 학교의 대처 방안은 매우 다면적으로 접근해야 한다.[14] 자폐인의 사회적 기술 및 이해 개발을 위한 직접적 개입뿐만 아니라, 학교 시스템과 관행 역시 포괄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자폐인과 전형인(비장애 학생)을 분리하는 환경은 장기적으로 자폐인을 사회적으로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장애 지원 직원이 자폐인을 지원하는 경우 학교 폭력 노출과 예방에는 도움이 되지만,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향상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자폐인과 사회 사이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14] 따라서 전형인과 자폐 학생이 적절히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는 자폐에 대한 교육을 통해 전형인 학생들의 자폐 인식 개선을 유도할 수 있다.[14] 자폐에 대한 기본 정보뿐만 아니라, 적절한 감독 하에 또래끼리 토론하는 모임을 조성하면 자폐인에 대한 공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교육은 빠를수록 좋으며, 장기적으로 개입할수록 효과적이다.[14]

학교 폭력 문제는 교사의 태도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14] 학교 폭력에 대한 교사의 신념은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적극적으로 맞서도록 조언하는 '적극적 그룹', 괴롭힘이 사회 발달의 자연스러운 부분이며 지속적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다고 보는 '규범적 그룹', 가능한 위험 상황을 회피하도록 하는 '회피 그룹'으로 나뉜다. 이러한 차이는 학교 폭력 예방 전략에 영향을 미친다. 교사-학생 사이가 긍정적일수록 학교 폭력 사건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으며, 관용, 수용, 차이, 개성을 격려하고 자폐인에 대해 존중과 공감하는 태도를 보이는 교사의 자질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4]

결론적으로, 자폐인에 대한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적절한 학교 문화 개발이 가장 중요하다.[14] 이는 자폐 아동을 보호하는 핵심 자원이며, 자폐뿐만 아니라 모든 형태의 다양성과 차이에 대한 존중을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학교는 자폐 친화적인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자폐인들이 취약한 불안을 유발하는 물리적 환경을 조절하면 자폐 아동들이 전형인들에게 긍정적으로 보이는 사회적 환경이 자연스럽게 조성될 수 있다.[14]

5. 2. 사회의 대처

대한민국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에서는 대한민국 권역에서 장애학생 인권보호 지원센터[15] 및 장애학생 인권침해 신고센터[16]를 운영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장애 학생 인권 보호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6. 지속되는 문제

6. 1. 가스라이팅

피해를 당한 자폐인이 마치 폭력의 원인을 제공하여 문제가 있다고 가스라이팅을 당하는 경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대처는 폭력을 행사한 가해자 뿐만 아니라 자폐인의 보호자인 부모나 교사에 의해서도 나타나는데, 폭력에 적극적으로 대항하거나 하지 말고 자리를 피하라는 식의 훈육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자폐인은 자신이 받은 피해의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생각하거나 위축되어 스스로에 대한 자긍심마저 줄어들게 된다.

6. 2. 학교 부적응

자폐인 학생들은 학교폭력 피해로 인해 등교 거부, 전학 요구, 사회성 기술 퇴보 등의 어려움을 겪는다.

참조

[1] 논문 장애인 대상 학교폭력의 경찰관 현장 활용 패킷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2015
[2] 서적 학교폭력 예방과 상담 학지사 2006
[3] 논문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괴롭힘 특성에 관한 연구 2010
[4] 학위논문 지적 장애 청소년의 학교폭력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중학교 일반교사의 인식: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5] 문서 발달장애학생 학교폭력 사건을 처리한 경찰관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6] 저널 Bullying Experiences Among Children and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2023-06-17
[7] 저널 The experience of friendship, victimization and bullying in children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Associations with child characteristics and school placement 2023-06-17
[8] 저널 Bullying Involvement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Bullying Involvement Among Adolescents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s://jamanetwork.[...] 2023-06-17
[9] 서적 Comprendre l'autisme pour les nuls Éditions First 2015-03
[10] 웹인용 Bullying and Students on the Autism Spectrum http://www.iidc.indi[...] 2023-06-17
[11] 웹인용 Autism & Safety Facts https://nationalauti[...] 2016-06-02
[12] 문서 2005
[13] 웹인용 La violence dans la vie sociale de la personne autiste https://sites.google[...] 2023-06-17
[14] 문서 자폐 스펙트럼 질환이 있는 아동 및 청소년에 대한 괴롭힘: '현황' 검토 https://www.tandfonl[...]
[15] 웹인용 장애학생 인권보호 지원센터 https://www.nise.go.[...] 2023-06-17
[16] 웹인용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https://www.nise.go.[...] 2023-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