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아령성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작은아령성운은 메시에 천체 중 하나로, 어두운 행성상 성운이다. 1780년 피에르 메샹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구경 8cm 망원경으로 희미한 타원, 10cm 망원경으로 작은 아령 모양으로 관측된다. 윌리엄 허셜은 이중 성운으로 인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0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75
메시에 75는 밀도가 높고 밝게 보이는 구상 성단으로, 은하계 내 메시에 천체 중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1780년 피에르 메생에 의해 발견된 후 여러 천문학자들에 의해 관측되었다. - 1780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72
메시에 72는 피에르 메샹이 발견하고 샤를 메시에가 목록에 추가한 물병자리의 구상성단으로, 태양으로부터 약 54,570광년 떨어져 있으며 약 95억 년 된 것으로 추정된다. - 페르세우스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팔
페르세우스자리 방향에 위치한 우리 은하의 주요 나선팔 중 하나인 페르세우스자리 팔은 길이 6만 광년 이상, 폭 약 1천 광년으로, 게 성운과 여러 산개 성단들을 포함하며, BeSSeL 조사와 VERA 프로젝트 등을 통해 상세한 구조가 연구되고 있고, 태양계가 속한 오리온-백조자리 팔의 일부일 가능성이 있다. - 페르세우스자리 - 알골
페르세우스자리의 삼중성계 알골은 주성 알골 A와 반성 알골 B가 서로를 가리는 식쌍성으로 주기적인 밝기 변화를 보이며, 세 번째 별 알골 C가 이 쌍성계를 공전하고, 예로부터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을 뿐 아니라 항성 진화 이론에서 '알골 역설'을 야기하는 천체로 알려져 있다. - 오리온자리 팔 - 플레이아데스 성단
플레이아데스 성단(M45)은 황소자리에 위치한 밝은 산개성단으로, 1000개 이상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 1억 년 정도의 나이를 가지고 있고, 주변에는 반사성운이 존재하며, 약 44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다양한 문화권에서 고유한 명칭과 신화를 가지고 있다. - 오리온자리 팔 - 오리온 성운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밝은 확산 성운인 오리온 성운(M42)은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하며, 중심부에는 트라페지움 성단이 존재하고, 수많은 어린 별과 원시행성계 원반을 포함하는 활발한 별 생성 영역이다.
작은아령성운 | |
---|---|
기본 정보 | |
![]() | |
형태 | 행성상 성운 |
별칭 | M76 NGC 650/651 |
위치 | 페르세우스자리 |
거리 | 2,500 광년 |
겉보기 등급 | +10.1 |
시직경 | 2.7 × 1.8 각분 (′) |
반지름 | 0.617 광년 |
명칭 | |
다른 이름 | 작은 아령 성운 작은 아령 성운 Little Dumbell Nebula Barbell Nebula Cork Nebula |
발견 정보 | |
발견일 | 1780년 9월 5일 |
발견자 | 피에르 메샹 |
발견 방법 | 망원경 관측 |
위치 정보 | |
기준점 | J2000.0 |
시선 속도 | -23.6km/s |
고유 운동 (적경) | 2.586 밀리초/년 |
고유 운동 (적위) | -2.959 밀리초/년 |
적색 편이 | -0.000079 |
중심별 정보 | |
중심별 이름 | M76-WhiteDwarf |
중심별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
중심별 겉보기 등급 | +16.6 |
중심별 분광형 | D |
중심별 표면 온도 | 60,000 K |
2. 특징
작은아령성운은 메시에 천체 중에서 가장 어두운 목표 중 하나이다. 구경 8cm의 망원경으로 희미한 타원으로 보인다. 구경 10cm의 망원경으로 보면, 매끄러운 표면의 매듭이 서로 붙어있는 작은 아령 모양으로 보인다. 구경 20cm에서는 사각형으로 보이지만, 중앙의 잘록한 부분이 차츰 보이게 된다. 행성상 성운은 하늘 상태가 다소 나빠도 고배율에서도 흐려지지 않고 즐길 수 있는 천체가 많은데, 이 천체도 그렇다.
1780년 9월 5일 피에르 메샹이 작은아령성운을 처음 발견했으며, "별을 포함하지 않는다. 작고 미약하다"라고 기록했다. 같은 해 샤를 메시에는 "안드로메다 오른쪽 발의 성운은 1780년 9월 5일 메샹이 관측하고 있다. 그는 색차 보정 망원경으로 찾아 성운상 물질을 포함하는 작은 성단으로 보였다"라고 기록했다. 윌리엄 허셜은 "분해되지 않는 이중 성운"으로 인식하여 두 개의 천체(NGC 650, NGC 651)로 보았다. 웹은 "푸르스름한 푸른 구름으로 이중이다. M27의 기묘한 미니어처"라고 묘사했다. 로스 경은 "소용돌이 모양. 연속된 융기. 낫 모양 같다"라고 기록했고, 페렌베르크는 "대구경 사진에서는 코르크 마개 같다. NGC 목록에서 어째서 2개로 나뉘어 있는지 모르겠다"라고 언급했다.
[1]
웹사이트
M 76 – Planetary Nebula
http://simbad4.cfa.h[...]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0-01-25
3. 관측사
4. 갤러리
참조
[2]
웹사이트
Messier 76
http://messier.obspm[...]
The SEDS Messier Catalog Webpages
2010-01-25
[3]
논문
The visual and mid-infrared properties of the bipolar planetary nebula NGC 650-1
2008
[4]
웹사이트
A Herschel study of NGC 650
https://www.aanda.or[...]
2013-11-28
[5]
논문
The distances of highly evolved planetary nebulae
2005
[6]
논문
The Distances of Planetary Nebulae: A Scale Based upon Nearby Sources
2002
[7]
논문
The Distances of Planetary Nebulae: A Scale Based upon Nearby Source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