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건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건재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촬영 감독, 편집자, 제작자, 그리고 배우이다. 그는 1998년 단편 영화 《학교 다녀왔습니다》로 데뷔하여, 《회오리바람》(2009), 《잠 못 드는 밤》(2012), 《한여름의 판타지아》(2014) 등 다양한 작품의 각본과 연출을 맡았다. 또한, 2009년 프로듀서 김우리와 함께 독립 영화 제작사 모쿠슈라를 설립하여 여러 작품을 제작했다. 그는 《5시부터 7시까지의 주희》로 2023년 한국독립영화협회 올해의 독립영화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 경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영화 프로듀서 - 김종학
김종학은 1970년대 후반 MBC 입사 후 《수사반장》, 《여명의 눈동자》, 《모래시계》 등 1980-90년대 대표 드라마들을 연출하고 김종학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태왕사신기》, 《베토벤 바이러스》 등 여러 작품을 제작한 대한민국의 드라마 연출가이자 제작자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프로듀서 - 김기덕 (1960년)
김기덕은 독창적인 연출과 사회 비판으로 국내외 주목을 받았으며 세계 3대 영화제에서 수상하고 《피에타》로 베니스 국제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으나, 성폭력 의혹으로 활동에 어려움을 겪다 2020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 - 이윤택
이윤택은 대한민국의 연극 연출가이자 극작가, 시인으로 연희단거리패를 창단하여 한국 연극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미투 운동으로 성폭력 가해 사실이 드러나 연극계에서 퇴출되었으며, 문재인 전 대통령을 지지하여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오르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 - 유지태
유지태는 1998년 영화 《바이 준》으로 데뷔하여 《올드보이》 등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인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마이 라띠마》를 연출한 영화 감독으로, 배우 김효진과 결혼하여 사회 활동과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유지태
유지태는 1998년 영화 《바이 준》으로 데뷔하여 《올드보이》 등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인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마이 라띠마》를 연출한 영화 감독으로, 배우 김효진과 결혼하여 사회 활동과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봉준호
봉준호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로, 《플란다스의 개》로 데뷔하여 《살인의 추억》, 《괴물》, 《기생충》 등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연출하며 세계적인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장건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장건재 |
로마자 표기 | Jang Geon-jae |
한글 | 장건재 |
한자 | 張建宰 |
출생일 | 1977년 11월 26일 |
출생지 | 대한민국 |
배우자 | 김우리 |
직업 | 영화 감독 각본가 촬영 감독 |
활동 기간 | 알 수 없음 |
종교 | 알 수 없음 |
학력 |
2. 참여 작품
장건재 감독은 영화와 드라마를 넘나들며 각본, 감독, 촬영, 편집, 제작, 출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연도 | 역할 | 작품명 | 비고 |
---|---|---|---|
2000 | 조연 |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 |
2002 | 메이킹 필름 | 피도 눈물도 없이 | |
2004 | 스틸 사진 | 연기 맛 나는 인생 (단편 영화) | |
2006 | 배우 | 심술 | |
2007 | 배우 | 그놈 목소리 |
2. 1. 감독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98 | 학교 다녀왔습니다 | 각본/감독 | 단편 |
2002 | 진혼곡 | 각본/감독 | 단편 |
2003 | 싸움에 들게 하지 마소서 | 각본/감독 | 단편 |
2007 | 꿈속에서 | 각본/감독 | 단편 |
2007 | 천국의 시간 | 감독 | 단편 |
2009 | 회오리바람 | 각본/감독 | |
2010 | 이제 난 용감해질거야 | 각본/감독 | |
2010 | 열여덟 | 감독 | |
2012 | 잠 못 드는 밤 | 각본/감독 | |
2014 | 한여름의 판타지아 | 각본/감독 | |
2020 | 달이 지는 밤 | 공동 감독 | |
2022 | 괴이 (드라마) | 감독 | |
2022 | 5시부터 7시까지의 주희 | 각본/감독 | |
2023 | 한국이 싫어서 (영화) | 각본/감독 | |
2024 | 극장의 시간 | 각본/감독 | 단편 |
2. 2. 각본
연도 | 작품명 |
---|---|
1998 | 학교 다녀왔습니다 (단편) |
2002 | 진혼곡 (단편) |
2003 | 싸움에 들게 하지 마소서 (단편) |
2007 | 꿈속에서 (단편) |
2009 | 회오리바람 |
2010 | 이제 난 용감해질거야 |
2010 | 열여덟 |
2012 | 잠 못 드는 밤 |
2014 | 한여름의 판타지아 |
2022 | 5시부터 7시까지의 주희 |
2023 | 한국이 싫어서 (영화) |
2024 | 극장의 시간 (단편) |
2. 3. 촬영
- 〈히치하이킹〉 (2005, 단편)
- 나 나 나: 여배우 민낯 프로젝트 (2011) 촬영 수퍼바이저
- 〈영재의 기다림〉 (단편 영화, 2005) - 촬영 감독
- 〈누가 현관문을 두드리는가?〉 (2007) - 촬영부
- 〈나의 얼굴: 배우 노 메이크업 프로젝트〉 (2012) - 촬영 감독
- 〈주희, 5시부터 7시까지〉 (2022) - 촬영 감독
2. 4. 편집
-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2000) - 배우
- ''연기 맛 나는 인생'' (단편 영화, 2004) - 스틸 사진
- ''열여덟'' (2010) - 편집자
- ''잠 못 드는 밤'' (2013) - 편집자
- ''한여름의 판타지아'' (2015) - 편집자
- ''주희, 5시부터 7시까지'' (2022) - 편집자
2. 5. 제작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98 | 학교 다녀왔습니다 | 각본/감독 | 단편 |
2002 | 진혼곡 | 각본/감독 | 단편 |
2003 | 싸움에 들게 하지 마소서 | 각본/감독 | 단편 |
2007 | 꿈속에서 | 각본/감독 | 단편 |
2007 | 천국의 시간 | 감독 | 단편 영화 |
2009 | 회오리바람 | 각본/감독 | |
2010 | 이제 난 용감해질거야 | 각본/감독 | |
2010 | 열여덟 | 감독, 제작 총괄, 시나리오 작가, 편집자 | |
2012 | 잠 못 드는 밤 | 각본/감독 | |
2013 | 잠 못 드는 밤 | 감독, 제작 총괄, 시나리오 작가, 편집자, 카메라 기사 | |
2014 | 한여름의 판타지아 | 각본/감독 | |
2015 | 한여름의 판타지아 | 감독, 프로듀서, 시나리오 작가, 편집자 | |
2020 | 바람아 안개를 걷어가다오 | 총괄 프로듀서 | |
2020 | 달이 지는 밤 | 공동 감독 | |
2020 | 엄마의 노래 | 제작 총괄 | |
2020 | 흔적 | 공동 감독 | |
2022 | 괴이 (드라마) | 감독 | |
2022 | 5시부터 7시까지의 주희 | 각본/감독 | |
2022 | 주희, 5시부터 7시까지 | 감독, 제작 총괄, 시나리오 작가, 편집자, 촬영 감독 | |
2023 | 한국이 싫어서 (영화) | 각본/감독 | |
2023 |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 | |
2024 | 극장의 시간 | 각본/감독 | 단편 |
2. 6. 출연
-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2000)
- 그놈 목소리 (2007)
3. 수상
연도 | 상 | 작품 | 비고 |
---|---|---|---|
2023년 | 한국독립영화협회 올해의 독립영화상 | 5시부터 7시까지의 주희 | |
2015년 | 한국독립영화협회 올해의 독립영화상 | 한여름의 판타지아 |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 한여름의 판타지아 | 각본상[10] | |
아시아티카영화제 최우수작품상 | 한여름의 판타지아 | [10] | |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국제비평가협회상 | 한여름의 판타지아 | [10] | |
무주산골영화제 전북영화비평포럼상 | 한여름의 판타지아 | [10] | |
무주산골영화제 뉴비전상 | 한여름의 판타지아 | [10] | |
제16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 한여름의 판타지아 | ||
2014년 | 서울독립영화제 심사위원특별언급상 | 한여름의 판타지아 | [10] |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영화감독조합상 | 한여름의 판타지아 | [10] | |
2013년 | 홍콩-아시안필름파이낸싱포럼 우터바렌드렉상 | 한여름의 판타지아 | |
2012년 |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장편 대상 | 잠 못 드는 밤 | |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장편 관객상 | 잠 못 드는 밤 | ||
에든버러 국제 영화제 학생비평가상 | 잠 못 드는 밤 | ||
낭트 3대륙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언급상 | 잠 못 드는 밤 | ||
2010년 | 에너하임국제영화제 최우수작품상 | 회오리바람 | |
페사로국제영화제 뉴시네마 대상 | 회오리바람 | ||
2009년 | 서울독립영화제 독립스타상-배우부문 | 회오리바람 | |
밴쿠버 국제 영화제 용호상 | 회오리바람 | ||
2016년 | 들꽃영화상 | 한여름의 판타지아 | 촬영상[10] |
4. 개인사
장건재는 한국영화아카데미에서 영화 연출을 전공했으며, 중앙대학교에서 영화 및 영상 제작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09년, 프로듀서이자 아내인 김우리와 함께 독립 영화 제작사 모쿠슈라를 설립했으며, 《열여덟》(2010), 《잠 못 자는 밤》(2013), 한여름의 판타지아(2015), 《엄마의 노래》(2020), 《흔적》(2020), 《주희의 5시부터 7시까지》(2022) 등의 영화를 제작했다.
참조
[1]
웹사이트
INTERVIEW: Filmmaker Jang Kun-jae's Impressionist Landscapes
http://enkr.blouinar[...]
2013-10-29
[2]
웹사이트
https://librarian.nl[...]
2024-08-00
[3]
웹사이트
Interview: Jang Kun-jae Talks SLEEPLESS NIGHT
http://screenanarchy[...]
2012-11-30
[4]
웹사이트
Eighteen Wins Top Prize at Vancouver
http://www.koreanfil[...]
2009-10-16
[5]
웹사이트
3rd Wildflower Film Awards Unveil Nominees
http://www.koreanfil[...]
2016-03-23
[6]
웹사이트
JANG Kun-jae
http://www.koreanfil[...]
[7]
웹사이트
MOCUSHURA
http://www.koreanfil[...]
[8]
웹사이트
A Midsummer's Fantasia
http://www.indiestor[...]
[9]
웹사이트
The 28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election List
https://www.biff.kr/[...]
2023-09-05
[10]
웹사이트
A MIDSUMMER'S FANTASIA Scoops Best Korean Indie Prize
http://www.koreanfil[...]
2016-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