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민호 (배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민호는 대한민국의 배우로, 연극,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황해도 신천 출신으로, 1945년 해방 후 월남하여 조선배우학교를 연수한 뒤 국립극단에서 연기 활동을 시작했다. '예술무대'의 《모세》를 시작으로, 《햄릿》, 《성웅 이순신》, 《북벌》 등 연극 무대에서 활약했으며, 1947년 중앙방송국 전속 성우로 입사하여 방송에서도 활동했다. 1996년 SBS 드라마 《아까딴유》로 한국방송대상 남자 탤런트 최고령 수상 기록을 세웠으며, 2012년 폐기흉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 - 권성덕
    권성덕은 대한민국의 배우로, 드라마, 영화,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최우수 예술인상 등을 수상했다.
  •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 - 김동훈 (배우)
    김동훈은 서울 출신으로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실험극장'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배우로서 주목받았으며, 연극 「아들을 위하여」, 「포기와 베스」, 「다리에서의 조망」, 「안도라」, 「무익조」, 「세일즈맨의 죽음」, 「롤러스케이트를 타는 오뚝이」, 「심판」, 「에쿠우스」, 「햄릿」, 「피가로의 결혼」 등에 출연하고 「오셀로」와 「피가로의 결혼」 등을 연출한 다재다능한 배우이자 연출가이다.
  • 호암 예술상 수상자 - 진은숙
    진은숙은 서울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죄르지 리게티를 사사한 대한민국의 작곡가로, 베를린 필하모닉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다수의 권위 있는 상 수상, 그리고 서울시향 상임작곡가 및 통영국제음악제 예술감독 역임 등 한국 현대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 호암 예술상 수상자 - 박경리
    박경리는 1926년 통영에서 태어나 한국 전쟁 중 남편과 아들을 잃는 아픔을 겪었으며, 소설가 김동리의 추천으로 등단하여 《김약국의 딸들》, 대하소설 《토지》 등 개인적인 경험과 시대적 아픔을 담은 작품을 발표하고, 말년에 폐암으로 투병하다 2008년 사망한 소설가이다.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김기진
    김기진은 팔봉이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문학평론가, 소설가, 시인으로, KAPF에서 활동하며 경향파 문학 이론을 이끌었으나 친일 행적을 보였고 광복 후에는 반공주의 문인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구상 (시인)
    구상(1919-2004)은 서울 출생으로 원산에서 성장하여 니혼 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종군 기자, 언론 운동, 영남일보 편집장 등을 거쳐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시집 《초토의 시》 등을 발표했으며, 프랑스 문부성에서 세계 200대 시인으로 선정되었고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장민호 (배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장민호
장민호
이름장민호
출생일'1927년 9월 29일'
출생지황해도
국적대한민국
사망일'2012년 11월 2일'
활동 기간'1947년 ~ 2012년'
경력
경력'1966년~1995년 한국성우협회 이사장, 명예회장'

2. 생애

황해도 신천 출신으로, 황해도 재령 명신고등보통학교(명신중학교)를 졸업하였다.[3] 1945년 해방 후 월남하여 조선배우학교를 연수하고, 1953년 국립극단의 전신인 극단 신협에 들어가 연기 활동을 시작했다. ‘예술무대’의 첫 공연인 《모세》, 드라마센터 첫 공연 《해믈리트》에서 햄릿의 삼촌 왕, 장충동 국립극장 첫 공연 《성웅 이순신》에서 이순신, 세종문화회관 첫 공연 《북벌》에서 효종 역을 연기하였다.[4] 1947년 중앙방송국 전속 성우로 입사하여 1958년 제1회 방송문화연기상을 수상하였다.[5] 2012년 폐기흉으로 사망하였다.[6]

한편, SBS 드라마 <아까딴유>로 역대 한국방송대상 남자탤런트 최고령 수상(23회 남자 탤런트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7] <아까딴유>에서 며느리 역은 23회 한국방송대상 여자 탤런트상 수상자[8] 나문희가 맡았고,[9] 효녀 외동딸 역은 23회 한국방송대상 3관왕(대상, TV작가상, 여자탤런트상)을 차지한 《바람은 불어도》에서 큰며느리 역을 맡았던 박성미가 연기했다.[10]

2. 1. 초기 생애 및 연기 활동 시작

황해도 신천 출신으로, 황해도 재령 명신고등보통학교(명신중학교)를 졸업하였다.[3] 1945년 해방 후 월남하여 조선배우학교를 연수하고, 1953년 국립극단의 전신인 극단 신협에 들어가 연기활동을 시작했다. ‘예술무대’의 첫 공연인 《모세》에 참여하였고, 드라마센터 첫 공연 《해믈리트》에서 햄릿의 삼촌 왕, 장충동 국립극장 첫 공연 《성웅 이순신》에서 이순신, 세종문화회관 첫 공연 《북벌》에서는 효종 역을 연기하였다.[4] 1947년에 중앙방송국 전속 성우로 입사하여, 1958년에는 제1회 방송문화연기상을 수상하였다.[5]

2. 2. 주요 경력

기간경력
1966년~1995년한국성우협회 이사장, 명예회장
1968년~1991년한국연극협회 이사, 부이사장
1968년중앙국립극장 부단장
1977년~1984년한국방송연기자협회 명예회장
1978년~1991년국립극단 단장
1986년~2012년대한민국예술원 회원
1996년연극배우협회 이사


3. 대표 작품 및 평가

장민호는 연극 《파우스트》에서 뛰어난 연기를 보여 '파우스트 장'이라고 불렸다.[11] 연극,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3. 1. 연극

장민호는 연극 무대에서 수십 편에 걸쳐 저력 있는 연기를 선보이며 한국 연극계의 과묵한 무대 연기자로 인정받았다.[5] 특히 《파우스트》에서의 뛰어난 연기로 '파우스트 장'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11]

장민호의 주요 연극 출연작은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비고
1947년《모세》
1955년《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햄릿》
《오델로》
《학의 다리로 서다》
1997년《파우스트》연기생활 50주년 기념공연
2006년《우리읍내》
2009년《맹진사댁 경사》명동예술극장 개관 기념공연
2011년《삼월의 눈》백성희장민호극장 개관기념 공연


3. 2. 드라마

3. 3. 영화

4. 수상 및 서훈

연도
1982년국민훈장 목련장
1996년보관문화훈장
1996년제23회 한국방송대상 남자 탤런트상
1996년SBS 연기대상 공로상
1997년한국연극배우협회 올해의 배우상
1999년제21회 동랑 유치진연극상
2010년은관문화훈장
2010년제20회 이해랑연극상 특별상
2012년제48회 동아연극상 특별상


5. 기타

2011년 2월 재단법인으로 독립한 국립극단은 극장을 새로 개관하면서 장민호와 백성희의 이름을 따 '백성희장민호극장'으로 명명했다.[12] 장민호는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대한민국 예술상, 동랑연극상, 호암예술상 등을 받았다.[12]

참조

[1] 문서 호적 신고 과정에서 1924년생으로 잘못 기재되기도 했다.
[2] 뉴스 張民虎(장민호)씨는 누구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97-11-10
[3] 백과사전 장민호 http://100.nate.com/[...]
[4] 신문기사 演劇에 산다 〈15〉 국립극단團長 張民虎 동아일보 1979-07-26
[5] 백과사전 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신극/신극의 배우/장민호
[6] 뉴스 연극계 '살아있는 전설' 배우 장민호 별세 https://n.news.naver[...] 머니투데이 2012-11-02
[7] 뉴스 올방송대상 K1 '바람은 불어도' https://www.bigkinds[...] 헤럴드경제 1996-08-12
[8] 뉴스 한국방송대상 수상자-수상작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96-04-28
[9] 뉴스 [새 프로] 5월이라 더 심금울린 「아까딴유」 https://news.kmib.co[...] 국민일보 1996-04-28
[10] 뉴스 [새 프로] 5월이라 더 심금울린 「아까딴유」 https://news.kmib.co[...] 국민일보 1996-04-28
[11] 신문기사 무대50년 기념공연 장민호씨 영혼의 연기 50년'파우스트 張' 경향신문 1997-10-04
[12] 뉴스 굿바이 장민호, 연극계 전설 지다 http://www.hani.co.k[...] 뉴시스 2012-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