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웨이수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웨이수이는 청나라 시대에 태어나 타이완 의학 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타이베이에서 의사로 활동하며 타이완 민권 운동에 헌신한 인물이다. 그는 타이완 의회 설치 청원 운동과 타이완 문화협회 설립에 참여했으며, 《치안경찰법》 위반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었다. 1927년 타이완 문화협회가 분열되자 타이완 민중당을 설립하여 지방 자치와 언론의 자유를 옹호했으나, 1931년 당이 해산되고 같은 해 장티푸스로 사망했다. 그의 사후에는 장웨이수이를 기리는 다양한 행사가 열렸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고속도로와 기념 공원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혁명가 - 황원슝 (활동가)
황원슝은 일제강점기 대만에서 태어나 미국 유학 시절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하고 장징궈 암살 미수 사건에 연루되어 도주 생활을 했으며, 귀국 후에는 인권 운동가 및 정책 자문으로 활동하며 상반된 평가를 받는 사회 운동가이다. - 대만의 혁명가 - 스밍더
대만의 정치인이자 민주화 운동가인 스밍더는 가오슝 사건의 주요 인물이며 대만 독립을 주장하다 여러 차례 투옥되었고 민진당 핵심 인물로 활동하며 입법위원을 역임했으나 사생활 논란과 중국 정부와의 관계로 논란이 되기도 했으며 2024년 간암으로 사망했다. - 대만의 의사 - 커원저
커원저는 국립 타이완 대학 의과대학 졸업 후 의사로 활동하며 타이베이 시장을 역임하고 대만 민중당을 창당하여 총통 선거에 출마하기도 한 대만의 정치인이자 의사이다. - 대만의 의사 - 천스중
천스중은 타이베이 출신의 치과의사이자 정치인으로, 의료보험 총액제 도입에 기여하고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중앙유행전염병지휘센터 지휘관으로서 방역을 이끌었으며, 민주진보당 타이베이 시장 후보로 출마하기도 했다. - 이란현 출신 - 진안 (농구 선수)
진안은 2013년 한국 국적을 취득하고 WKBL 최초 귀화 선수 드래프트 진출 기록을 세운 대한민국 여자 농구 선수로, 2024년 부천 하나원큐와 FA 계약을 맺었으며 WKBL 퓨처스리그 MVP를 2회 수상했다. - 이란현 출신 - 궈싱춘
중화민국의 아메이족 출신 역도 선수 궈싱춘은 여자 58kg급과 59kg급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아시안 게임, 유니버시아드 등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고, 특히 2020년 하계 올림픽 여자 59kg급에서는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선수로 인정받았다.
장웨이수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장웨이수이 |
출생일 | 1890년 8월 6일 |
출생지 | 청나라 타이완 성 이란현 (현재의 타이완 성) |
사망일 | 1931년 8월 5일 |
사망지 | 일본 타이호쿠 주 |
국적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직업 | 정치인 |
활동 기간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알려진 업적 | 타이완 문화 협회 및 타이완 민중당 창립 |
이름 (중국어) | |
정체자 | 蔣渭水 |
간체자 | 蒋渭水 |
병음 | Jiǎng Wèishǔi |
백화자 | Chiúⁿ Ūi-súi |
웨이드-자일스 | Chiang Wei-shui |
일본어 (한자) | 蔣渭水 |
일본어 (로마자) | Shō Isui |
소속 정당 | |
학력 | |
출신 학교 | 타이완 총독부 의학교 |
2. 생애
장웨이수이는 이란에서 청나라 시대에 태어나, 1915년 대만총독부 의학교(현재의 국립 타이완 대학교 의학부)를 졸업하고 타이베이시에 다안의원을 개설했다. 1920년부터 타이완 의회 설치 청원 운동에 참가했고, 1921년에는 타이완 문화협회를 설립하며 타이완의 민권 운동을 주창했다. 1923년 《치안경찰법》 위반으로 금고 4개월 형을 선고받는 등(치안 경찰 사건) 수십 회에 걸쳐 체포되었다.[3][1]
1927년 타이완 문화협회가 좌우 대립으로 분열되자 장웨이수이는 타이완 민중당을 설립하고 중앙상무위원 겸 재정부장에 취임했다. 1931년 타이완 민중당은 타이완 총독부의 해산 명령을 받았고, 장웨이수이는 같은 해 40세로 숨졌다.[3]
2. 1. 초기 생애 (1891년 ~ 1915년)
장웨이수이는 이란에서 청나라 시대에 태어났다.[3][1] 10세에 유교 학자 장징광에게서 배우기 시작했고, 이후 장마오차이에게서 배웠다. 이란 공학교를 거쳐 1915년 대만총독부 의학교(현재의 국립 타이완 대학교 의학부)를 졸업하여 현대 의학과 근대 문명을 익혔으며, 이는 장웨이수이가 훗날 사회 운동에 참여하는 기초가 되었다.[3] 1915년 당시 국립 타이완 대학교 의과대학인 타이완 의학 전문학교를 졸업하고, 1919년경 천톈과 결혼했다.2. 2. 의사 활동과 사회 참여 (1915년 ~ 1920년)
1915년 국립 타이완 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인 타이완 총독부 의학교를 졸업한 후, 장웨이수이는 타이베이시에 다안의원(大安醫院)을 개설했다.[2] 그는 병원에 동료 지식인들을 초대하여 시사 문제를 논의했다.1917년에는 의사나 학생들을 비롯한 뜻있는 사람들과 춘펑더이루를 조직하여 대만 사회의 문제와 사회 개혁 방법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1920년부터 타이완 의회 설치 청원 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했다.[2] 1921년에는 타이완 문화협회를 설립하여 타이완의 민권 운동을 주창했다.[3] 그러나 1923년 치안경찰법 위반으로 4개월 금고형을 선고받았고(치안 경찰 사건),[3] 1925년에도 다시 금고형을 선고받는 등 수십 차례 체포되었다.[3]
2. 3. 민족 운동과 투옥 (1920년 ~ 1927년)
1920년부터 장웨이수이는 타이완 의회 설치 청원 운동에 참여했다.[3][1] 1921년에는 타이완 문화협회를 설립하여 타이완의 민권 운동을 이끌었다.[3][1] 1923년에는 《치안경찰법》 위반으로 4개월 금고형을 선고받았고(치안 경찰 사건),[3][1] 1925년에도 다시 금고 4개월을 선고받는 등 수십 차례 체포되었다.[3]1927년 타이완 문화협회가 좌우 이념 대립으로 분열되자, 장웨이수이는 타이완 민중당을 설립하고 중앙상무위원 겸 재정부장을 맡았다.[3][1] 타이완 민중당은 지방 자치와 언론의 자유 획득을 목표로 했다. 장웨이수이는 1928년 타이완 공우 총연맹과 타이완 농민 협회에도 참여하여 계급 투쟁 중심의 사회 운동을 조직했다.[3][1] 그러나 이러한 운동 방식은 당내 우파의 반발을 샀고, 1930년에는 린셴탕, 차이페이후오, 예룽중 등이 탈당하여 타이완 지방자치연맹을 결성했다.
타이완 민중당은 국제 연맹에 타이완 총독부의 아편 판매와 무사 사건을 호소하는 등 타이완 문제를 국제 사회에 알리려 노력했다.[3][1] 또한, 쑨원의 삼민주의를 당 이념으로 삼아 농민 운동과 노동자 운동을 전개했다.
2. 4. 대만 민중당 창당과 활동 (1927년 ~ 1931년)
1927년 타이완 문화협회가 좌우 대립으로 분열되자, 장웨이수이는 타이완 민중당을 설립하고 스스로 중앙상무위원 겸 재정부장에 취임했다.[3][1] 타이완 민중당은 지방 자치와 언론의 자유 획득을 목표로 했다. 1928년에는 대만 공우 총연맹과 대만 농민 협회에 참여하여 계급 투쟁을 중심으로 한 사회 운동을 조직했다.[1]그러나 이러한 운동 방침은 당내 우파의 반발을 야기했고, 1930년에는 린셴탕, 차이페이후오 등이 탈당하여 대만 지방 자치 연맹을 조직했다. 타이완 민중당은 국제 연맹에 타이완 총독부의 아편 판매와 무사 사건을 호소하는 등, 타이완 문제를 국제 사회에 알리는 활동을 했다.[1]
타이완 민중당은 쑨원의 삼민주의를 당의 이념으로 삼아 농민 운동, 노동자 운동으로 전환해 갔다. 그 결과 1931년 타이완 총독부에 의해 해산 명령을 받았고, 장웨이수이도 같은 해 "동포는 단결해야 한다, 단결이야말로 힘이다"라는 유언을 남기고 4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같은 해 8월 23일 시민 장례식이 거행되어 5천 명이 참석했다.[4]
2. 5. 사망 (1931년)
1931년, 타이완 민중당은 타이완 총독부의 해산 명령을 받고 해산되었다.[3] 장웨이수이는 그 해 40세(전통적인 중국식 나이로는 41세)의 나이로 장티푸스로 사망했다.[3] 그는 "동포는 단결해야 한다, 단결이야말로 힘이다"라는 유언을 남겼다.[1] 1931년 8월 23일, 그의 사후 3주 만에 5,000명 이상의 조문객이 다다오청에서 圓山|Yuanshan (mountain)|위안산중국어까지 행진하여 그를 매장했다.[4] 린셴탕과 楊肇嘉|양자오자중국어가 주최한 타이중에서의 행진을 포함하여, 장웨이수이를 기리는 작은 행진들이 대만 전역에서 열렸다.[4]3. 유산과 평가
장웨이수이의 활동은 대만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국도 5호선은 '''장웨이수이 고속도로'''로 명명되었으며, 타이베이시의 진시 공원도 장웨이수이 기념공원으로 개칭되어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2010년 8월, 대만에서 장웨이수이를 도안으로 한 기념 주화가 발행되었다.[10]
3. 1. 가족
蔣渭川|장웨이촨중국어은 형 장웨이수이의 죽음 이후에도 민주화 운동을 계속 이어나갔다. 그의 동생 장웨이는 일본 통치 시기였던 1939년 지방 선거에서 타이호쿠 시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중국 국민당이 타이완에 들어온 후에는 국민당에 합류했다.[6] 1947년 2·28 사건 이후에는 천이가 이끄는 정부와 국민 사이의 협상에 힘썼다. 그러나 천이는 장웨이촨이 공동 설립한 타이완 인민 협회를 타이완 성 정치 건설 협회로 이름을 바꾸고 해산하라고 명령했고, 장웨이는 이후 1년 동안 은신 생활을 했다.[6] 1949년, 장웨이촨은 內政部民政司|내정부 민정사중국어 책임자로 임명되었고, 1950년에는 내무부 차관이 되었다. 장웨이촨은 1975년에 사망했다.[6]쉐산 아래를 지나 타이페이와 이란을 잇는 12.9km 길이의 고속도로 터널이 2006년에 개통되었다.[7] 이 터널은 타이완의 최신 고속도로 건설을 완료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타이완의 모든 정치적 입장을 고려하여 장웨이수이 고속도로로 명명되었다.
장웨이수이는 2010년에 기념 주화인 10 신 타이완 달러에 등장했다.[8]
참조
[1]
뉴스
Social Activist {{!}} Chiang Wei-shui
https://web.archive.[...]
Ministry of Culture
2019-05-27
[2]
웹사이트
http://dadaochen.ylp[...]
[3]
뉴스
Politicians of all stripes honor Chiang Wei-shui
http://www.taipeitim[...]
2017-03-28
[4]
뉴스
Taiwan in Time: Grand farewell to a revolutionary
https://taipeitimes.[...]
2021-09-05
[5]
뉴스
Democracy pioneer Chiang Wei-shui's ashes return to Yilan
http://www.taipeitim[...]
2015-10-06
[6]
뉴스
Taiwan in Time: 228's tragic survivor
https://taipeitimes.[...]
2022-03-07
[7]
뉴스
Taipei-Ilan freeway named in honor of democracy pioneer
http://www.taipeitim[...]
2010-09-29
[8]
웹사이트
Announcement: issue a NT$10 coin in memory of Mr. Chiang Wei-shui on 5th August 2010
http://www.cbc.gov.t[...]
Central Bank of Republic of China (Taiwan)
2010-09-29
[9]
웹사이트
蔣渭水生日那一天? - 自由電子報 自由評論網
http://talk.ltn.com.[...]
[10]
웹사이트
新聞發布第127號(發行面額10元之「蔣渭水先生紀念流通幣」
http://www.cbc.gov.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