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흥 방촌리 석장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장흥 방촌리 석장승은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에 위치한 한 쌍의 돌장승입니다. 1999년 2월 26일 전라남도 민속자료 제33호로 지정되었고, 2013년 6월 14일 국가민속문화재 제275호로 승격 지정되었습니다.
위치 및 형태:장흥 방촌리 석장승은 관산읍에서 방촌으로 넘어가는 23번 국도변 양쪽에 서 있습니다.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2기의 석장승 중 서쪽에 위치한 장승은 '남장승', '벅수', '진서대장군(鎭西大將軍)' 등으로 불리며, 동쪽에 위치한 장승은 '미륵석불', '벅수', '돌부처', '여장생' 등으로 불립니다.


  • 남장승 (진서대장군): 높이 235cm, 앞면 최대 너비 54cm, 두께 40cm, 머리 높이 57cm, 둘레 160cm입니다. 전체적으로 간략하고 평면적이며, 얼굴에는 왕방울눈이 이중 선각으로 처리되어 있고, 주먹코와 귀밑까지 찢어진 입이 특징입니다. 가슴에는 '진서대장군'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습니다.
  • 여장승 (미륵석불): 남장승에 비해 풍만하고 조각이 깊으며 무서운 인상입니다. 왕방울눈과 주먹코가 얼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입은 직선에 가깝고 짤막합니다.

역사 및 유래:장흥 방촌리 석장승의 건립 시기와 관련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1. 고려 말 성문 장승 설: 1265년(고려 원종 6) 장흥부가 회주목으로 승격되면서, 치소가 있던 방촌을 보강하기 위해 상령산성과 회주고성을 축성할 때 서쪽의 지세가 약하다 하여 세웠다는 설입니다.

2. 조선 후기 천연두 퇴치 장승 설: 조선 후기(17~18세기)에 창궐한 천연두(두창)를 퇴치하기 위해 세웠다는 설입니다. '진서대장군'이라는 명문은 중국에서 오는 두신(痘神)을 퇴치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있습니다.
기능 및 의미:장흥 방촌리 석장승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담당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 성문 수호: 고려 말 성문 장승 설에 따르면, 회주고성의 서문을 지키는 역할을 했습니다.
  • 질병 퇴치: 조선 후기 천연두 퇴치 장승 설에 따르면, 천연두를 비롯한 질병으로부터 마을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 마을 수호: 현재에도 매년 정월 대보름에 열리는 방촌리 별신제에서 마을 수호신으로 모셔지고 있습니다.

학술적 가치:장흥 방촌리 석장승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이어져 온 장승 신앙의 변천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또한, 마을 공동체의 신앙 대상으로서 현재까지도 그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높습니다.

장흥 방촌리 석장승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이름장흥 방촌리 석장승
한자 표기長興 傍村里 石長栍
국가대한민국
유형국가민속문화재
지정 번호275
지정일2013년 6월 14일
주소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572번지 등
시대조선시대
소유자장흥군
수량2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