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인폭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인폭포는 경기도 연천군에 위치한 폭포로, 옛날 광대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진다. 1986년 한탄강에 소수력발전용 댐이 건설되면서 폭포 보존 문제가 제기되었고, 2000년 한국수자원공사의 대규모 댐 건설 계획으로 수몰 위기에 놓였다. 댐 건설을 둘러싸고 주민들과 수자원공사 간 갈등이 심화되었으며, 법정 소송과 정치권의 개입이 있었지만, 2016년 댐이 완공되었다. 이후 연천군은 폭포의 천연기념물 신청, 구름다리 개장 등을 통해 관광 명소로 개발했으며, 2020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되었다.
옛날 아름다운 부인을 둔 광대가 있었는데, 고을 수령이 그의 아내를 탐내어 재인폭포 계곡 사이에 줄을 걸고 줄타기를 시키게 하였다. 광대가 줄 가운데에 이르자 수령은 줄을 끊어 광대를 죽게 하였다.[2] 아내는 복수하고자 수령의 수청을 받아들이는 척하고는 잠자리에서 수령의 코를 물어뜯은 후 혀를 깨물어 자결하였다는 이야기이다.[2]
1986년 한탄강에 소수력 발전용 댐이 건설되면서 한탄강유원지가 관광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자, 1995년 연천군은 댐을 매입하고 발전 시설을 철거했다. 2000년 한국수자원공사는 대규모 한탄강댐 건설 계획을 발표했고, 재인폭포는 수몰 위기에 처했다. 주민들은 댐 건설에 반대하며 시위를 벌였고, 수자원공사는 보상금을 노린 행동이라고 비난하며 갈등이 깊어졌다.
2014년 연천군과 포천시는 한탄강 유역의 국가지질공원 인정을 추진하였다.[23] 재인폭포를 포함한 한탄강 유역의 화산활동 지역들은 2015년 12월 31일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다.[24] 2018년 연천군은 경기도, 강원도, 포천시, 철원군과 함께 재인폭포를 비롯한 한탄강 국가지질공원의 유네스코 등록을 추진하여 2019년 7월 유네스코 현장 심사를 거쳐 2020년 7월 10일 국내에서 4번째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되었다.
[1]
웹사이트
재인폭포
http://korean.visitk[...]
2. 전설
3. 개발과 보전
댐 건설 과정에서 지진 위험,[8] 문화 유적 및 자연 환경 훼손, 동식물 서식지 파괴, 중금속 오염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9] 주민들은 건설교통부 장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고,[10] 2008년 총선 후보들은 댐 백지화를 탄원했지만, 김문수 당시 경기도지사는 댐 추진 의견서를 제출했다.[12]
2008년 서울행정법원은 주민들의 요청을 기각했지만,[13] 주민들은 댐 건설 반대 활동을 계속했다. 200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강댐 무단 방류 사건[14] 이후 댐 건설의 부당함을 주장했지만, 법원은 연천군에 40%의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다.[16] 2016년 댐이 완공되었지만, 연천군은 2013년 재인폭포의 천연기념물 신청을 추진하고,[19] 구름다리를 개장했다.[20] 2015년 재인폭포 앞 기암괴석들이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했고, 주민들은 수자원공사를 의심했지만, 수자원공사는 이를 부인했다.[22]
3. 1. 소수력발전소 건설과 철거
1986년 한탄강에 소수력 발전용 댐이 건설되었다. 이 댐 때문에 한탄강의 유량이 크게 줄어 한탄강유원지는 더 이상 관광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었다. 현대건설이 운영하던 소수력 발전소 역시 적자를 낼 뿐 별다른 이득이 없었다. 1995년 연천군은 1500억원의 예산을 마련하여 현대건설로부터 댐을 매입하고 발전 시설을 철거한 뒤 교량으로만 이용하게 되었다.[3]
3. 2. 한탄강댐 건설 논란
1986년 한탄강에 소수력발전용 댐이 건설되면서 한탄강의 유량이 크게 줄어 한탄강유원지는 관광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었다. 1995년 연천군은 1500억원의 예산을 들여 현대건설로부터 댐을 매입하고 발전시설을 철거한 뒤 교량으로만 사용하게 되었다.[3]
2000년 한국수자원공사는 철거된 소수력발전소 상류 2km 지점에 1억 5천만t 담수 규모의 대규모 댐 건설 계획을 발표하였다. 연천군 주민들은 소수력발전소의 사례를 들어 반대하였으나, 수자원공사는 이전의 댐과는 달리 대규모 댐이기 때문에 유량이 줄지는 않을 것이라고 반박하였다.[4] 건설교통부가 수자원공사의 댐 건설을 승인하자 재인폭포는 수몰될 위기에 처하였다. 수자원공사는 새로 지어지는 한탄강댐은 홍수조절용으로 평소에는 물을 가두지 않을 것이며 재인폭포는 연중 10여 일만 수몰되는 세계 유일의 폭포로 오히려 관광자원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5]
그러나 주민들은 재인폭포의 보전을 요구하여 시위에 나섰고, 수자원공사는 주민들이 보상을 노리고 시위를 한다고 비난하였다. 연천 주민들은 댐 건설 과정에서 극심한 갈등을 겪었다.[6]
댐 건설이 추진되는 동안 댐 건설 지역은 지진 위험이 있다는 주장[8], 보호할 가치가 높은 자연 환경이 수몰되고 천연기념물과 동식물 서식지가 파괴된다는 점, 군부대 사격장으로 이용된 다락터 사격장도 수몰 지역에 포함되어 중금속 오염 위험도 있다는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되었다.[9]
결국 법정 싸움, 지역 주민들과 수자원공사 간의 갈등이 계속되었고, 2009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강댐 무단 방류 사건[14]이 발생하면서 갈등은 더욱 증폭되었다. 당시 장마로 지뢰가 유실되는 사고가 발생하자 군 당국은 2010년 8월까지 재인폭포의 민간인 출입을 금지하였다.[17] 2016년 11월 25일, 댐 건설 계획을 고시한 지 10년 만에 완공식이 열렸다. 투입된 비용은 모두 10억원이었다.[18]
한편, 연천군은 2013년 재인폭포에 대한 천연기념물 신청을 추진하여 폭포의 보전을 요구하고[19], 구름다리를 개장하여 관광객의 접근을 편하게 하였다.[20] 2013년 한국관광공사는 재인폭포를 대한민국의 관광 명소로 발표하였다.[21]
2015년 4월 재인폭포 앞을 메우고 있던 기암괴석들이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주민들은 수자원공사가 수몰 지역이라는 이유로 바위를 캐 조경용으로 사용하려 한다는 의심을 하였지만, 수자원공사는 자신들이 한 일이 아니라고 부인하였다.[22]
3. 2. 1. 법정 투쟁과 정치권의 개입
1995년 연천군은 현대건설로부터 소수력발전용 댐을 매입하고 발전시설을 철거한 뒤 교량으로만 이용하게 되었다.[3] 2000년 한국수자원공사는 철거된 소수력발전소 상류 2km 지점에 1억 5천만 톤을 담수할 수 있는 대규모 댐 건설 계획을 발표하였다. 연천군 주민들은 소수력발전소의 사례를 들어 반대하였으나, 수자원공사는 이전의 댐과는 달리 대규모 댐이기 때문에 유량이 줄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하였다.[4] 건설교통부가 수자원공사의 댐 건설을 승인하자 재인폭포는 수몰될 위기에 처하였다. 수자원공사는 새로 지어지는 한탄강댐은 홍수 조절용으로 평소에는 물을 가두지 않을 것이며 재인폭포는 연중 10여 일만 수몰되는 세계 유일의 폭포로 오히려 관광자원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5]
그러나 주민들은 재인폭포의 보전을 요구하며 시위에 나섰고, 수자원공사는 주민들이 보상을 노리고 시위를 한다고 비난하였다. 연천 주민들은 댐 건설 사업을 7년여 동안 끌어오면서 훈훈했던 마을 인심만 흉하게 만들었다며 댐 건설 과정에서 극심한 갈등을 겪었다고 밝혔다.[6][7]
댐 건설이 추진되는 동안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되었다. 댐 건설 지역은 지진 위험이 있어 위험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고[8], 포천 화적연과 같은 문화 유적, 재인폭포와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 같은 보호할 가치가 높은 자연 환경이 수몰되고 천연기념물인 수달과 수리부엉이 등과 한탄강 석벽에서만 서식하는 한탄강구절초, 고란초 등의 동식물 서식지가 파괴된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한 1957년 이후 군부대 사격장으로 이용된 다락터 사격장도 수몰 지역에 포함되어 중금속 오염 위험도 지적되었다.[9]
결국 댐 건설 논란은 법정 싸움으로 비화되었다. 구선호 외 156인의 주민은 건설교통부장관을 상대로 서울행정법원에 소송을 제기하였다.[10] 2008년 총선에 나선 지역 후보들은 한탄강댐 백지화를 탄원하였으나,[11] 당시 경기도지사 김문수는 법원의 선고를 앞두고 댐 추진 의견서를 제출하였다.[12]
2008년 6월 27일 서울행정법원은 원고의 요청을 기각하였고, 제도적으로 댐 건설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모두 사라졌다.[13] 그러나 지역 주민들은 댐 건설 반대 활동을 계속하였고 수자원공사와 갈등을 빚었다. 2009년 장마철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강댐이 예고 없이 방류하여 대한민국에서 인명피해가 일어나는 사건이 발생했다.[14] 당시 보수정당은 북측의 의도적인 수공이라는 주장을 펼쳤다.[15] 주민들은 홍수 조절이라는 수자원공사의 명분이 이와 같은 사건에서 의미가 없다는 이유로 댐 건설의 부당함을 주장하였으나, 행정법원은 오히려 사건 책임의 40%가 연천군에 있다고 판결하여 갈등이 더욱 증폭되었다.[16]
3. 2. 2. 환경 및 문화 유적 훼손 논란
1986년 한탄강에 소수력발전용 댐이 건설되면서 한탄강의 유량이 크게 줄어 한탄강유원지는 관광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었다. 현대건설이 운영하던 소수력발전소 역시 적자를 내자, 1995년 연천군은 1500억원의 예산을 들여 댐을 매입하고 발전시설을 철거한 뒤 교량으로만 사용하게 되었다.[3]
2000년 한국수자원공사는 철거된 소수력발전소 상류 2km 지점에 1억 5천만t 담수 규모의 대규모 댐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연천군 주민들은 소수력발전소의 사례를 들어 반대했지만, 수자원공사는 대규모 댐은 유량 감소가 없을 것이라고 반박했다.[4] 건설교통부가 댐 건설을 승인하자 재인폭포는 수몰될 위기에 처했고, 수자원공사는 재인폭포가 연중 10여 일만 수몰되는 세계 유일의 폭포로 오히려 관광자원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5]
그러나 주민들은 재인폭포 보전을 요구하며 시위에 나섰고, 수자원공사는 주민들이 보상을 노리고 시위를 한다고 비난하며 갈등이 심화되었다.[6] 댐 건설 추진 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제기되었다. 댐 건설 지역의 지진 위험,[8] 포천 화적연과 같은 문화 유적, 재인폭포와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 같은 자연 환경의 수몰, 수달, 수리부엉이, 한탄강구절초, 고란초 등 동식물 서식지 파괴, 다락터 사격장의 중금속 오염 위험 등이 지적되었다.[9]
결국 댐 건설 논란은 법정 싸움으로 번졌고, 주민들은 건설교통부장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10] 2008년 총선 후보들은 한탄강댐 백지화를 탄원했으나,[11] 당시 경기도지사였던 김문수는 법원 선고를 앞두고 댐 추진 의견서를 제출했다.[12]
2008년 6월 27일 서울행정법원은 원고의 요청을 기각했고,[13] 주민들은 댐 건설 반대 활동을 계속하며 수자원공사와 갈등을 빚었다. 2009년 북한의 황강댐 무단 방류로 인한 인명 피해 사건[14]이 발생하자, 주민들은 홍수 조절이라는 댐 건설 명분이 무의미하다고 주장했으나, 행정법원은 오히려 연천군에 40%의 책임이 있다고 판결하여 갈등이 증폭되었다.[16] 당시 장마로 지뢰가 유실되는 사고가 발생하자 군 당국은 2010년 8월까지 재인폭포의 민간인 출입을 금지하기도 했다.[17] 2016년 11월 25일, 댐 건설 계획 고시 10년 만에 10억원의 비용을 들여 완공식이 열렸다.[18]
한편, 연천군은 2013년 재인폭포의 천연기념물 신청을 추진하고,[19] 구름다리를 개장하여 관광객 접근성을 높였다.[20] 한국관광공사는 2013년 재인폭포를 대한민국의 관광 명소로 발표했다.[21]
2015년 4월, 재인폭포 앞 기암괴석들이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주민들은 수자원공사가 수몰 지역이라는 이유로 바위를 캐 조경용으로 사용하려 한다는 의혹을 제기했지만, 수자원공사는 이를 부인했다.[22]
3. 3. 댐 완공과 이후의 노력
1986년 한탄강에 소수력발전용 댐이 건설되었다. 이 댐으로 한탄강의 유량이 크게 줄자 한탄강유원지는 더 이상 관광지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었다. 현대건설이 운영하던 소수력발전소 역시 적자를 낼 뿐 별다른 이득이 없었다. 1995년 연천군은 1500억원의 예산을 마련하여 현대건설로부터 댐을 매입하고 발전시설을 철거한 뒤 교량으로만 이용하게 되었다.[3]
2000년 한국수자원공사는 철거된 소수력발전소에서 상류 2km 지점에 1.5억ton을 담수할 수 있는 대규모 댐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연천군 주민들은 소수력발전소의 사례를 들어 반대하였으나 수자원공사는 이전의 댐과는 달리 대규모 댐이기 때문에 유량이 줄지는 않을 것이라고 반박하였다.[4] 건설교통부가 수자원공사의 댐 건설을 승인하자 재인폭포는 수몰될 위기에 처하였다. 수자원공사는 새로 지어지는 한탄강댐은 홍수조절용으로 평소에는 물을 가두지 않을 것이며 재인폭포는 연중 10여 일만 수몰되는 세계 유일의 폭포로 오히려 관광자원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5]
그러나 주민들은 재인폭포의 보전을 요구하며 시위에 나섰고, 수자원공사는 주민들이 보상을 노리고 시위를 한다고 비난하였다. 연천주민들은 댐 건설 과정에서 극심한 갈등을 겪었다.[6]
댐 건설이 추진되는 동안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되었다. 댐 건설 지역은 지진 위험이 있어 위험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고[8], 포천 화적연과 같은 문화 유적, 재인폭포와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 같은 보호할 가치가 높은 자연 환경이 수몰되고, 수달과 수리부엉이 등 천연기념물과 한탄강 석벽에서만 서식하는 한탄강구절초, 고란초 등의 동식물 서식지가 파괴된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한 1957년 이후 군부대 사격장으로 이용된 다락터 사격장도 수몰 지역에 포함되어 중금속 오염 위험도 지적되었다.[9]
결국 댐 건설 논란은 법정 싸움으로 비화되었다. 구선호 외 156인의 주민은 건설교통부장관을 상대로 서울행정법원에 소송을 제기하였다.[10] 2008년 총선에 나선 지역 후보들은 한탄강댐 백지화를 탄원하였으나,[11] 당시 경기도지사였던 김문수는 법원의 선고를 앞두고 댐 추진 의견서를 제출하였다.[12]
2008년 6월 27일 서울행정법원은 원고의 요청을 기각하였고, 제도적으로 댐 건설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모두 사라졌다.[13] 그러나 지역 주민들은 댐 건설 반대 활동을 계속하였고 수자원공사와 갈등을 빚었다. 2009년 장마철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강댐이 예고 없이 방류하여 대한민국에서 인명피해가 일어나는 사건이 발생했다.[14] 북측은 댐 기능에 이상이 있어 발생한 우발적 사건이라고 해명하였으나, 당시 보수정당은 북측의 의도적인 수공이라는 주장을 펼쳤다.[15] 주민들은 홍수조절이라는 수자원공사의 명분이 이와 같은 사건에서 의미가 없다는 이유로 댐 건설의 부당함을 주장하였으나, 행정법원은 오히려 사건 책임의 40%가 연천군에 있다고 판결하여 갈등이 더욱 증폭되었다.[16] 당시 장마로 지뢰가 유실되는 사고가 발생하자 군 당국은 2010년 8월까지 재인폭포의 민간인 출입을 금지하였다.[17] 2016년 11월 25일, 댐 건설 계획을 고시한 지 10년 만에 완공식이 열렸다. 투입된 비용은 모두 10억원이었다.[18]
한편, 연천군은 2013년 재인폭포에 대한 천연기념물 신청을 추진하여 폭포의 보전을 요구하고,[19] 구름다리를 개장하여 관광객의 접근을 편하게 하였다.[20] 2013년 한국관광공사는 재인폭포를 대한민국의 관광 명소로 발표하였다.[21]
2015년 4월, 재인폭포 앞을 메우고 있던 기암괴석들이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주민들은 수자원공사가 수몰 지역이라는 이유로 바위를 캐 조경용으로 사용하려고 한다는 의심을 하였지만, 수자원공사는 자신들이 한 일이 아니라고 부인하였다.[22]
4. 세계지질공원
참조
[2]
뉴스
슬픈 광대의 전설 재인폭포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9-03-30
[3]
뉴스
한탄강 소수력발전소 폐쇄키로
https://news.v.daum.[...]
연합뉴스
1995-08-17
[4]
뉴스
한탄강 상류지역에 대규모 댐 건설 추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0-06-15
[5]
뉴스
사라질 비경을 찾아서…재인폭포등 발길 잦아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1-08-31
[6]
뉴스
한탄강댐 찬반논란 5년… 한탄만 쌓인다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4-06-01
[7]
뉴스
한탄강댐 강행에 연천군 민심 뒤숭숭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6-08-23
[8]
뉴스
한탄강댐 건설 예정지 지진 피해 위험 높다 -댐반대철원군투쟁위 성명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07-01-24
[9]
뉴스
한탄강댐 건설 예정지..천혜의 비경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07-06-20
[10]
뉴스
한탄강댐 법정공방 시작, 21일 현장 검증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7-05-17
[11]
뉴스
철원 총선후보들 한탄강댐 백지화 탄원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08-04-03
[12]
뉴스
경기도, 한탄강댐 원안대로 추진 건의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08-02-25
[13]
뉴스
한탄강댐 건설 관련 주요 일지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08-06-27
[14]
뉴스
여야, 北 황강댐 방류 사건 온도차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07-09-07
[15]
뉴스
北 임진강 상류댐 균열 등 기술적 문제 가능성 높아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9-09-08
[16]
뉴스
연천군민, "이중적인 수자원 공사 행태를 규탄한다"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7-12
[17]
뉴스
軍, 대북 확성기 주변 안보관광지 통제 해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8-06
[18]
뉴스
한탄강홍수조절댐 10년만에 완공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6-11-28
[19]
뉴스
비경 담은 재인폭포 천연기념물 되나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3-01-18
[20]
뉴스
연천 재인폭포 구름다리 전망대 개장식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3-05-01
[21]
뉴스
자연과 평화 그리고 생명의 공존… 연천군, 한국관광공사 '최고 여행지'에 선정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3-05-27
[22]
웨이백
도둑맞은 재인폭포 절경
http://www.hani.co.k[...]
2015-04-27
[23]
뉴스
포천시와 연천군, 한탄강 국가지질공원 인증받기위한 협력 협약 체결
http://www.munhwa.co[...]
세계일보
2014-12-09
[24]
뉴스
국가지질공원, 들어보셨나요?
http://reporter.kore[...]
대한민국정책기자단
2016-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