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이온화 핵방출선 영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이온화 핵방출선 영역(LINER)은 은하 중심부에서 발견되는 특정 유형의 방출선 영역이다. LINER는 근처 은하의 약 1/3에서 발견될 정도로 흔하며, 주로 타원 은하, 렌즈상 은하, 또는 팽대부가 크고 나선팔이 꽉 감긴 나선 은하에서 발견된다. LINER의 에너지원과 이온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초대질량 블랙홀을 가진 활동은하핵(AGN)과 별 형성 영역 중 무엇이 기체를 들뜨게 하는지에 대한 학계의 논쟁이 진행 중이다. LINER의 에너지원과 별 생성 활동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발광적외선은하(LIRG)에서의 LINER 방출과 별 형성 활동 사이의 연관성이 관측되기도 했다. 주목할 만한 LINER 은하로는 메시에 94, NGC 5005, NGC 5195, 솜브레로 은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0년 과학 - 양자 홀 효과
양자 홀 효과는 강한 자기장과 저온의 2차원 전자계에서 홀 전도율이 기본 상수의 정수배 또는 분수배로 양자화되는 현상으로, 정수 양자 홀 효과는 전기 저항 표준 및 미세 구조 상수 결정에 활용되며, 분수 양자 홀 효과는 전자 간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고, 란다우 준위 등의 개념으로 설명되며 위상 물질 연구 등에 응용된다. - 1980년 과학 - 급팽창 이론
급팽창 이론은 우주 초기에 초광속으로 팽창하는 현상인 우주 급팽창을 설명하며, 공간의 가속 팽창을 통해 초기 우주의 균질성, 비등방성, 평탄성 문제를 해결하고 자기 홀극과 같은 무거운 입자를 희석시키며, 관측 결과와 일치하는 척도 불변의 원시 밀도 요동을 예측한다. - 활동은하 - 활동은하핵
활동은하핵(AGN)은 은하 중심부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에너지 방출 현상으로, 초대질량 블랙홀로의 물질 강착을 에너지원으로 하며, 퀘이사, 세이퍼트 은하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 활동은하 -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는 가스의 빠른 별 변환 속도, 가스 양, 은하의 나이 등을 기준으로 정의되며, 은하 간 상호작용, 가스 유입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촉발되어 무거운 별들이 형성되고 초신성 폭발과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 LINER 은하 - NGC 5195
NGC 5195는 소용돌이 은하와 상호작용하는 은하쌍으로, 조석 다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중심의 초거대 블랙홀에서 분출되는 가스 파동과 I형 초신성 SN 1945A가 발견된 은하이다. - LINER 은하 - 메시에 94
메시에 94는 저이온화 핵 방출 영역을 가진 나선 은하로, 내부 및 외부 고리 구조를 가지며 강력한 별 형성 활동이 일어나고 M94 은하군에 속하며 1781년에 발견되었다.
저이온화 핵방출선 영역 | |
---|---|
개요 | |
유형 | 은하핵 유형 |
설명 | 저이온화 핵방출선 영역 (LINER)은 특정 유형의 은하핵이다. LINER의 스펙트럼은 약하게 이온화된 또는 중성 원소로부터의 방출선, 즉 O I, O II, N I, S II와 같은 원소의 방출선이 특징이다. 반면, 강하게 이온화된 원소로부터의 방출선, 즉 O III, He II, Ne III, Ar III, Ar IV, Ar V와 같은 원소의 방출선은 상대적으로 약하다. |
역사 | |
명칭 유래 | LINER라는 용어는 1980년 티모시 헤크먼에 의해 만들어졌다. 그는 밝은 은하의 핵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방출선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했다. |
스펙트럼 특징 | |
방출선 강도 비율 | '[O III] λ5007/Hβ < 3' and '[N II] λ6583/Hα > 0.6' |
특징 | LINER은 저이온화 원소의 스펙트럼선이 강하다. 즉, O I, O II, N I, S II등의 방출선이 강하다. 고이온화 원소의 방출선이 약하다. 즉, O III, He II, Ne III, Ar III, Ar IV, Ar V 등의 방출선이 약하다. |
발생 원인 | |
이론 | 뜨거운 별에 의한 광이온화 활동 은하핵 (AGN) 충격파 가열 |
추가 설명 | LINER의 스펙트럼은 여러 가지 메커니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일부 LINER은 뜨거운 별에 의한 광이온화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다른 LINER은 활동 은하핵 (AGN)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부 LINER은 충격파 가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LINER의 정확한 발생 원인은 여전히 활발한 연구 분야이다. |
발견 위치 | |
일반적인 위치 | LINER은 나선 은하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지만, 타원 은하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
추가 설명 | LINER은 모든 밝은 은하의 약 1/3에서 발견된다. |
관련 연구 | |
연구 | LINER은 많은 연구의 주제였다. LINER은 은하 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외부 링크 | |
참고 자료 | Heckman, T. M. 1980, A&A, 87, 152 Ho, L. C., et al. 1997, ApJS, 112, 315 |
2. 통계
LINER는 근처 은하의 약 1/3에서 발견될 정도로 매우 흔하다.[29][30] LINER 은하의 약 75%는 타원은하, 렌즈상 은하이거나 S0/a-Sab 은하(큰 팽대부와 꽉 감긴 나선팔을 가진 나선은하)이다.[30] Sb-Scd 은하(작은 팽대부와 느슨하게 감긴 나선팔을 가진 나선은하)에서는 덜 발견되고, 가까운 불규칙은하에서는 매우 희귀하다.[30] 발광적외선은하(LIRG)의 약 1/4이 LINER를 포함하고 있다.[31]
저이온화 핵방출선 영역(LINER)은 두 가지 큰 논쟁의 중심에 있어왔다. 첫째, 천문학자들은 이러한 은하의 중심부에서 이온화 기체를 들뜨게 하는 에너지의 원인에 관해 논쟁했다. 일부 천문학자들은 초대질량 블랙홀을 품은 활동은하핵(AGN)이 LINER의 스펙트럼선방출의 원인이 될 것이라 주장했다.[29][32] 다른 천문학자들은 방출이 별형성영역에 의해 작동할 것이라 주장했다.[33][34]
LINER의 에너지원이 별 생성 활동과 관련이 있는지, 아니면 활동은하핵(AGN)과 관련이 있는지 밝히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별의 형성과 LINER의 활동 사이의 관련성을 찾기 위해 많은 탐사가 이루어져 왔다. 만약 별 형성과 LINER 활동 사이에 연관성이 발견된다면, LINER의 에너지원이 별 형성 영역에서 관측되는 뜨거운 별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커진다. 하지만 LINER에서 별 형성이 관측되지 않는다면, 별 형성은 LINER 에너지원 후보에서 제외될 것이다.
3. 에너지원과 이온화 메커니즘에 관한 학계 논쟁
이온화 메커니즘에 대해서도 논쟁이 진행 중이다. 일부 천문학자들은 기체를 통해 전파되는 충격파가 기체를 이온화시켰을 것이라 주장했고,[29] 다른 이들은 광이온화가 원인이 될 것이라 주장했다.[32][33][34]
이러한 논쟁은 LINER가 서로 다른 밝기와 형태를 가진 천체에서 매우 다양하게 발견된다는 사실로부터 더 복잡해진다. 나아가서 LINER의 에너지원에 관한 논쟁은 빛이 별형성영역에서 방출된 것인지, 아니면 발광적외선은하(LIRG)에서 보이는 큰 적외선 광도를 야기하는 AGN에서 방출된 것인지에 관한 유사한 논쟁과 얽히게 되었다.[31]
LINER 방출에 관한 에너지원과 들뜸 메커니즘 모두 아직까지 연구 중이긴 해도, 많은 LINER는 AGN으로서 자주 일컬어진다.[28]
4. LINER에서의 별 생성
4. 1. 발광적외선은하(LIRG)에서의 LINER와 별 생성
스피처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최근 관측은 발광적외선은하(LIRG)에서의 LINER 방출과 별의 형성활동 사이의 명확한 관련성을 보여준다.[35] LINER를 가지는 LIRG의 중적외선 스펙트럼은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 및 별 생성 은하의 중적외선 스펙트럼과 유사한 모습을 보여주었다.[35][9] 이는 밝은 적외선 LINER가 별의 형성활동에 의해 작동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활동은하핵(AGN)에서 비롯된 일부 중적외선 스펙트럼선방출 또한 이러한 은하에서 발견되어 왔다.[35] 이는 별의 형성만이 이러한 은하의 에너지원인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35][22]
4. 2. 일반 은하에서의 LINER와 별 생성
일반적인 근처 은하에서 LINER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몇몇 근적외선 분광학적 조사를 통해, 별 생성에 의해 동력을 얻을 수 있는 일부 LINER가 일반 은하에서 확인되었다.[10] 하지만, 근처 은하에 있는 대부분의 LINER는 낮은 수준의 별 생성 활동을 보인다.[10][11][12] 게다가, 많은 LINER의 별 개체군은 매우 오래된 것으로 보이며,[13][14][12] 스피처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한 중적외선 스펙트럼은 별 생성에서 예상되는 스펙트럼과 유사하지 않다.[9] 이러한 결과는 근처의 일반 은하에 있는 대부분의 LINER가 별 생성에 의해 동력을 얻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지만, 몇 가지 예외가 분명히 존재한다.
5. 주목할 만한 LINER 은하
메시에 94[28][1][15], NGC 5005[28][1][15], NGC 5195[28][1][15], 솜브레로 은하[28][1][15]는 주목할 만한 LINER 은하이다.
참조
[1]
논문
A Search for "Dwarf" Seyfert Nuclei. III. Spectroscopic Parameters and Properties of the Host Galaxies
1997
[2]
논문
An optical and radio survey of the nuclei of bright galaxies - Activity in normal galactic nuclei
1980
[3]
논문
A Search for "Dwarf" Seyfert Nuclei. V. Demographics of Nuclear Activity in Nearby Galaxies
1997
[4]
논문
Optical Spectroscopy of Luminous Infrared Galaxies. II. Analysis of the Nuclear and Long-Slit Data
1995
[5]
논문
A Reevaluation of the Excitation Mechanism of LINERs
1993
[6]
논문
Active galactic nuclei and gravitational redshifts
2024
[7]
논문
Warmers - The missing link between Starburst and Seyfert galaxies
1985
[8]
논문
Normal O stars in dense media generate LINERs
1992
[9]
논문
Mid-Infrared Diagnostics of LINERS
2006
[10]
논문
A Near-Infrared Spectroscopic Survey of LINER Galaxies
1998
[11]
논문
Star Formation in the Infrared Space Observatory Atlas of Bright Spiral Galaxies
2002
[12]
논문
Nuclear Stellar Populations in the Infrared Space Observatory Atlas of Bright Spiral Galaxies
2004
[13]
논문
The Stellar Populations of Low-Luminosity Active Galactic Nuclei. I. Ground-based Observations
2004
[14]
논문
The Stellar Populations of Low-Luminosity Active Galactic Nuclei. II. Space Telescope Imaging Spectrograph Observations
http://www.lume.ufrg[...]
2004
[15]
논문
A Search for "Dwarf" Seyfert Nuclei. III. Spectroscopic Parameters and Properties of the Host Galaxies
https://ui.adsabs.ha[...]
[16]
논문
An optical and radio survey of the nuclei of bright galaxies - Activity in normal galactic nuclei
https://ui.adsabs.ha[...]
[17]
논문
A Search for "Dwarf" Seyfert Nuclei. V. Demographics of Nuclear Activity in Nearby Galaxies
https://ui.adsabs.ha[...]
[18]
논문
Optical Spectroscopy of Luminous Infrared Galaxies. II. Analysis of the Nuclear and Long-Slit Data
https://ui.adsabs.ha[...]
[19]
논문
A Reevaluation of the Excitation Mechanism of LINERs
https://ui.adsabs.ha[...]
[20]
논문
Warmers - The missing link between Starburst and Seyfert galaxies
https://ui.adsabs.ha[...]
[21]
논문
Normal O stars in dense media generate LINERs
https://ui.adsabs.ha[...]
[22]
논문
Mid-Infrared Diagnostics of LINERS
https://ui.adsabs.ha[...]
[23]
논문
A Near-Infrared Spectroscopic Survey of LINER Galaxies
https://ui.adsabs.ha[...]
[24]
논문
Star Formation in the Infrared Space Observatory Atlas of Bright Spiral Galaxies
https://ui.adsabs.ha[...]
[25]
논문
Nuclear Stellar Populations in the Infrared Space Observatory Atlas of Bright Spiral Galaxies
https://ui.adsabs.ha[...]
[26]
논문
The Stellar Populations of Low-Luminosity Active Galactic Nuclei. I. Ground-based Observations
https://ui.adsabs.ha[...]
[27]
논문
The Stellar Populations of Low-Luminosity Active Galactic Nuclei. II. Space Telescope Imaging Spectrograph Observations
https://ui.adsabs.ha[...]
[28]
논문
"왜소" 세이퍼트 은하핵에 관한 연구. III. 숙주은하의 분광 변수와 특징
[29]
논문
밝은 은하의 은하핵에 관한 광학 및 전파탐사 - 정상은하핵의 활동
[30]
논문
"왜소" 세이퍼트 은하핵에 관한 연구. V. 근처 은하에서의 핵 활동에 관한 통계
[31]
논문
발광적외선은하에 관한 광학 분광. II. 핵과 롱슬릿 데이터의 분석
[32]
논문
LINER의 들뜸 메커니즘에 관한 재평가
[33]
논문
가열원 - 폭발적 항성생성과 세이퍼트 은하 사이의 미싱링크
[34]
논문
LINER를 발생시키는 밀한 매질에서의 정상 O형 별
[35]
논문
LINER의 중적외선 탐사
[36]
논문
LINER 은하의 근적외선 분광탐사
[37]
논문
밝은 나선은하의 적외선 우주 천문 성도에서의 별의 형성
[38]
논문
밝은 나선은하의 적외선 우주 천문 성도에서의 핵의 항성종족
[39]
논문
저광도 활동은하핵의 항성종족. I. 지상 관측
[40]
논문
저광도 활동은하핵의 항성종족. II. 우주 망원경 사진 분광관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