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갈자리 람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갈자리 람다는 전갈자리에 있는 별로,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λ 전갈자리로 불린다. '샤울라'라는 고유 명칭은 '올려진 꼬리'를 의미하며, 국제천문연맹(IAU)에서 공식 승인했다. 이 별은 3개의 별로 구성된 항성계로, 주성은 베타 세페이 변광성이며, 다른 두 별과 6일, 1053일의 궤도 주기를 가진다. 샤울라는 브라질 국기에 등장하며, 과거 미국 해군의 화물선 USS 샤울라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는 전갈자리 웁실론별과 함께 '오토도이별'로 불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 - 스피카
스피카는 지구에서 약 25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α별로, "처녀의 밀 이삭"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분광쌍성이자 회전 타원체 변광성으로 두 개의 청색거성으로 이루어져 빠른 자전과 강한 상호 중력으로 인해 특이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밝은 쌍성계이다. -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 - 미르잠
미르잠은 큰개자리에서 네 번째로 밝은 큰개자리 베타별의 고유 명칭으로, 약 6시간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이자 태양 질량의 약 12~13배에 달하는 청백색 거성이며, 국부 거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미르잠 터널과 관련되어 있으며, 브라질 국기에서 아마파 주를 상징하고 미국 해군 화물선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 백색왜성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백색왜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 B형 준거성 - 스피카
스피카는 지구에서 약 25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α별로, "처녀의 밀 이삭"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분광쌍성이자 회전 타원체 변광성으로 두 개의 청색거성으로 이루어져 빠른 자전과 강한 상호 중력으로 인해 특이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밝은 쌍성계이다. - B형 준거성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는 겉보기 등급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분출 변광성이자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변광성의 대표 별로, 빠른 회전 속도와 적도 팽창, 뜨거운 가스 원반을 특징으로 하며 X선 방출 메커니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분광 쌍성을 포함하는 다중성계이며 'Navi'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전갈자리 람다 | |
---|---|
명칭 | |
영어 | Lambda Scorpii |
별칭 | 샤울라 |
관측 정보 | |
기원 | J2000 |
겉보기 등급 | 1.62 + 14.9 + 12.0 |
별자리 | 전갈자리 |
![]() | |
특징 | |
분광형 | B1.5IV + B2IV |
B-V 색지수 | -0.240 |
U-B 색지수 | -0.880 |
변광성 | 세페우스자리 베타 (A) |
측성학 | |
구성 요소 이름 | (구성 요소 A) |
시선 속도 | -3.00 |
고유 운동 (적경) | -8.90 |
고유 운동 (적위) | -29.95 |
시차 | 5.71 |
시차 오차 | 0.90 |
절대 등급 | -3.70 |
궤도 요소 (A-B) | |
주기 | 2.8825 |
이심률 | 0.121 |
경사 | 77.2 |
궤도 요소 (Aa-Ab) | |
이심률 | 0.26 |
K1 | 39.3 |
물리적 특성 (λ Sco Aa) | |
질량 | 10.4 |
반지름 | 8.8 |
광도 | 36,300 |
표면 중력 | 3.8 |
자전 속도 | 150 |
물리적 특성 (λ Sco B) | |
질량 | 8.1 |
반지름 | 4.7 |
표면 중력 | 4.0 |
물리적 특성 (λ Sco Ab) | |
질량 | 1.8 |
식별 부호 | |
기타 명칭 | 샤울라 F=35 Scorpii, 35 Sco HR 6527 CD -37 11673 HD 158926 SAO 208954 FK5 652 HIP 85927 CCDM J17336-3706A/B/C |
2. 명칭
'''전갈자리 람다'''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다.
분광 관측과 천문 간섭계 관측 결과, 샤울라는 두 개의 B형 별과 주계열성 이전 별로 구성된 삼중성계라는 것이 밝혀졌다. 주성(전갈자리 람다 A)은 약 0.01 등급의 급격한 밝기 변화를 보이는 베타 세페이 변광성이다. 주계열성 이전 별은 6일의 공전 주기를 가지며, B형 동반성은 1053일의 주기를 가진다. 세 별은 동일한 궤도 평면에 위치하며, 이는 세 별이 동시에 형성되었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전갈자리 꼬리 부분에 위치해 '올려진 꼬리'를 의미하는 아랍어 الشولاء|al-šawlā´ar에서 유래한 전통적인 이름 '''샤울라'''(Shaula)를 가지고 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 산하 별의 명칭에 관한 IAU 실무 그룹(WGSN)에서 전갈자리 람다 Aa 별에 대해 샤울라를 공식 명칭으로 승인했다.
인도 천문학에서는 물라 낙샤트람(MulA Nakshathram)이라고 불린다. 물라(Mūla, 산스크리트어: मूल/मूळ, 타밀어: மூலம்)는 베다 점성술에서 19번째 낙샤트라(달의 저택)이다. Mula의 상징은 묶인 뿌리 묶음(그물 뿌리) 또는 '코끼리 몰이 막대'이다.
중국 천문학에서 尾宿중국어(, ''꼬리'')는 전갈자리 람다, ε 전갈자리, ζ1 전갈자리, ζ2 전갈자리, η 전갈자리, θ 전갈자리, ι1 전갈자리, ι2 전갈자리, κ 전갈자리, μ1 전갈자리, υ 전갈자리로 구성된 성군이다. 이 중 전갈자리 람다의 중국 이름은 尾宿八중국어(, "꼬리의 여덟 번째 별")이다.
υ 전갈자리(레사트)와 함께 샤울라는 바빌로니아 천문학 목록 MUL.APIN에 dSharur4 u dShargaz("샤루르와 샤르가즈")로 등재되어 있다.
콥트어로는 ''Minamref''라고 불렸다.
보롱 원주민은 샤울라와 레사트를 ''Karik Karik'', 즉 "매"라고 불렀다.
3. 항성계
주성, 주계열성 이전 별, B형 동반성의 질량은 각각 , , 이다. 항성계의 나이는 1000만~1300만 년으로 추정된다.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주성, 주계열성 이전 별, B형 동반성의 질량이 각각 태양 질량의 10.4±1.3, 1.8±0.2, 8.1±1.0배라고 제시되어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3][4]
간섭 관측과 분광 관측을 통해 항성계까지의 거리를 다른 기법과는 독립적으로 구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는 112±5파섹이었다.
3. 1. 동반성에 대한 논란
15겉보기 등급의 전갈자리 람다 B는 전갈자리 람다 A로부터 42 각초 떨어져 있으며, 12등급의 전갈자리 람다 C는 전갈자리 람다 A에서 95각초 떨어져 있다.[1][2] 이들이 실제로 항성계를 구성하는 쌍성인지, 아니면 단순한 겉보기 이중성인지는 불확실하다.[1][2]
만약 이들이 실제로 물리적인 연관이 있다면, 전갈자리 람다 A와 B 사이의 거리는 약 7,500 천문 단위이며, A와 C 사이의 거리는 약 17,000천문단위(0.27광년)이다.[1][2]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3에 따르면, 더 희미한 별(전갈자리 람다 C)은 태양보다 약간 크고 밝으며 약 420 광년 떨어져 있고,[1] 더 밝은 별(전갈자리 람다 B)은 빛나는 배경 천체라고 보고한다.[2]
4. 문화
샤울라는 브라질 국기에 등장하며, 히우그란데두노르치주를 상징한다.
USS 샤울라 (AK-118)는 이 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미국 해군의 크레이터급 화물선이었다.
한국에서는 전갈자리 웁실론별과 함께 육안으로 보이는 이중성으로, '오토도이별'이라고도 불렸다.
참조
[1]
간행물
Gaia DR3 5962581880247644288
[2]
간행물
Gaia DR3 5962570094857321472
[3]
논문
Interpretation of the variability of the β Cephei star λ Scorpii. I. The multiple character
http://adsabs.harvar[...]
[4]
논문
Orbital elements, masses and distance of λ Scorpii A and B determined with the Sydney University Stellar Interferometer and high-resolution spectroscopy
https://ui.adsabs.h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