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미 농구 리그 (193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미 농구 리그 (NBL)은 1937년 미드웨스트 농구 컨퍼런스에서 이름을 변경하여 출범했다. 기업의 후원을 받아 오대호 지역의 소규모 도시와 기업 팀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며, 비공식적인 운영 방식과 자유로운 경기 일정으로 시작되었다. 1946년 농구 협회(BAA)가 설립되면서 경쟁에 돌입했고, 1949년 BAA와 합병하여 현재의 전미 농구 협회(NBA)의 기반이 되었다. NBL은 초기, 중기, 후기의 세 시대로 나뉘며, 각 시대는 프로 농구와 NBA의 성장에 기여했다. NBL은 NBA의 기초를 다졌으며, 특히 흑인 선수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등 스포츠를 통한 사회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7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엘리테세리엔
엘리테세리엔은 1937년 시작된 노르웨이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며, 14개 클럽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4월부터 10월까지 경기를 진행하고, 로젠보르그 BK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1949년 해체된 스포츠 리그 - 일본 야구 리그
일본 야구 리그는 1936년 출범한 일본 프로 야구 리그의 초기 명칭으로, 전쟁의 영향과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명맥을 유지하며 1949년 일본 야구 기구(NPB)로 재편되어 양대 리그 체제의 토대가 되었다. - 1949년 해체된 스포츠 리그 - 아메리카 농구 협회
아메리카 농구 협회(BAA)는 경기장 소유주들이 아이스하키 경기장이 비는 날짜에 경기장을 활용하기 위해 창설된 미국의 프로 농구 리그로, 전미 농구 리그(NBL)와의 합병을 통해 전미 농구 협회(NBA)가 되었으며, NBA의 토대를 마련한 주요 리그로 평가받는다. - 미국의 농구 리그 - 아메리칸 농구 협회
1967년부터 1976년까지 존속한 미국의 프로 농구 리그인 아메리칸 농구 협회(ABA)는 NBA에 도전하며 혁신적인 경기 스타일과 규칙을 도입하여 인기를 얻었으나, 재정난으로 NBA와의 합병을 통해 해체되었고, 덴버 너게츠, 샌안토니오 스퍼스, 인디애나 페이서스, 뉴욕 네츠는 NBA에 합류하여 그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 미국의 농구 리그 - 아메리카 농구 협회
아메리카 농구 협회(BAA)는 경기장 소유주들이 아이스하키 경기장이 비는 날짜에 경기장을 활용하기 위해 창설된 미국의 프로 농구 리그로, 전미 농구 리그(NBL)와의 합병을 통해 전미 농구 협회(NBA)가 되었으며, NBA의 토대를 마련한 주요 리그로 평가받는다.
전미 농구 리그 (1937년) | |
---|---|
리그 정보 | |
스포츠 | 농구 |
설립 | 1935년 (MBC로서) |
재설립 | 1937년 (NBL로서) |
해체 | 1949년 8월 3일 (BAA와 합병) |
출범 시즌 | 1935-36 시즌 |
참가 팀 수 | 38개 |
국가 | 미국 |
최근 우승 팀 | 앤더슨 패커스 (1회 우승) |
최다 우승 팀 | 애크런 파이어스톤 논-스킨스 (2회) 포트웨인 졸너 피스턴스 (2회) 오슈코시 올스타즈 (2회) |
2. 역사
전미 농구 리그(NBL)는 1935년 미드웨스트 농구 컨퍼런스(MBC)로 시작하여 1937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1] 제너럴 일렉트릭(GE), 파이어스톤, 굿이어 등 기업들의 후원을 받아 성장했으며, 주로 오대호 지역의 소규모 도시들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초창기 리그는 각 팀이 최소 10경기(4경기는 원정 경기)를 치르는 조건 하에 자유롭게 일정을 정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경기 시간은 홈팀의 선택에 따라 10분 4쿼터 또는 15분 3피리어드로 진행되었다. 1940년부터 1944년까지 시카고 신문 스포츠 편집자 레오 피셔(Leo Fischer)가 NBL 회장을 역임했다.
1946년 농구 협회 오브 아메리카(BAA)가 설립되면서 NBL은 선수와 팬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해야 했다. BAA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지만, NBL은 더 많은 스타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었다.[2] NBL 팀들은 월드 프로페셔널 농구 토너먼트에서 10번의 대회 중 7번 우승하며 실력을 입증했다.
1949년 8월 3일, NBL과 BAA는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에서 만나 합병을 결정했다.[3][4] 새로운 리그인 전미 농구 협회(NBA)는 17개 팀으로 구성되었으며, BAA의 모리스 포돌로프(Maurice Podoloff)가 회장을, NBL의 아이크 더피(Ike Duffey)가 회장이 되었다.[3][4] NBA는 BAA의 역사를 계승하고, 1949년 합병을 확장으로 간주한다.[5]
2. 1. 초기 (1937년 ~ 1941년)
리그 초창기에는 오시코시 올스타스가 강팀으로 군림했으며, 센터 르로이 "카우보이" 에드워즈가 활약했다.[18] 오시코시 올스타스는 1938년부터 1942년까지 5년 연속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했고, 두 번 우승했다.[18] 6피트 4인치(1.93m)의 센터였던 에드워즈는 1937년부터 1940년까지 3시즌 연속 NBL 득점왕을 차지했고, 농구의 "3초 룰"을 도입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에드워즈는 오시코시 올스타스에서 NBL 12시즌을 모두 뛰었고, BAA와의 합병으로 NBA가 출범하기 직전에 은퇴했다.[18] 이 시기에는 현대 농구 규칙의 기반이 마련되었다.2. 2. 중기 (1941년 ~ 1946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많은 선수들이 군에 입대하면서 리그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 시기에는 포트웨인 졸너 피스톤스가 강팀으로 떠올랐으며, 시보이건 레드 스킨스와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18] 포트웨인 졸너 피스톤스는 베테랑 선수 바비 맥더멋을 중심으로 팀을 이끌었으며, 1942년과 1943년에 2위를 차지했고, 1944년과 1945년에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다.[18]시보이건 레드 스킨스는 포트웨인 졸너 피스톤스와 오시코시 올스타스의 패권에 도전하는 팀이었다. 시보이건은 1941년부터 6번의 챔피언십 시리즈 중 5번이나 출전했다. 1941년 결승에서 오시코시에 패했고, 1943년에는 포트웨인을 꺾고 우승했지만 1944년과 1945년에는 졸너 피스톤스에 패했으며, 1946년 결승에서는 로체스터 로열스에게 패했다.[18]
2. 3. 후기 (1946년 ~ 1949년)
1946년, 농구 협회 오브 아메리카(BAA)가 설립되면서 NBL은 선수와 팬을 두고 3년간 경쟁을 벌였다. BAA는 더 큰 도시와 경기장에서 경기를 했지만, NBL은 더 많은 스타 선수들을 보유하는 경향이 있었다.[2]조지 미칸은 시카고 아메리칸 기어스를 1947년 NBL 타이틀로 이끌었지만, 다음 시즌 전에 구단주가 팀을 리그에서 탈퇴시켰다. 미칸은 미네아폴리스 레이커스와 계약하여 1948년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1947-48 시즌 이후, 미칸의 레이커스는 로체스터, 포트 웨인, 인디애나폴리스와 함께 BAA로 이적했다.[10]
NBL은 마지막 시즌에 흑인으로만 구성된 팀인 데이턴 렌스를 추가했다. 1949년, NBL은 BAA와 합병하여 전미 농구 협회(NBA)가 되었다.[10] 합병 후 몇 년 뒤, NBA는 BAA의 역사를 자체 역사로 채택했다.[11]
3. NBL 챔피언십
NBL 챔피언십은 NBL의 마지막 시리즈이자 포스트 시즌의 마지막 경기였다. 챔피언십 시리즈는 3전 2선승제 또는 5전 3선승제의 다양한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1938년부터 1940년까지, 그리고 1945년부터 1949년까지는 동부 디비전 우승팀과 서부 디비전 우승팀이 맞붙었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리그에 속한 팀들이 줄어들면서, 1941년부터 1944년까지는 디비전 구분 없이 플레이오프가 진행되었고, 상위 4개 팀이 참가했다.[10]
프레드 졸너가 소유한 포트웨인 졸너 피스톤스(엔진용 피스톤 제조사)는 베테랑 선수 바비 맥더멋을 중심으로 1942년과 1943년에 2위를 차지했고, 1944년과 1945년에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다. 당시 많은 팀들처럼 포트웨인도 술집, 무기고, 고등학교 체육관, 연회장 등에서 경기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10]
졸너 피스톤스와 경쟁했던 팀은 시보이건 레드 스킨스였다. 시보이건은 포트웨인이 NBL에 합류하기 전 시즌인 1941년부터 6번의 챔피언십 시리즈 중 5번에 출전했다. 1941년 결승에서 오시코시에 패했고, 1943년에는 포트웨인을 꺾고 우승했지만, 1944년과 1945년에는 졸너 피스톤스에 패했다. 1946년 결승에서는 로체스터 로열스에게 패했는데, 로열스는 알 세르비, 밥 데이비스, 레드 홀츠먼과 같은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었다.[10]
조지 미칸은 시카고 아메리칸 기어스를 1947년 NBL 타이틀로 이끌었지만, 다음 시즌 전에 구단주가 팀을 리그에서 탈퇴시켰다. 이후 미칸은 미네아폴리스 레이커스와 계약하여 1948년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10]
1947-48 시즌 이후, 미칸의 레이커스는 로체스터, 포트 웨인, 인디애나폴리스와 함께 리그를 떠나 농구 협회 오브 아메리카(BAA)에 합류했다.[10]
1949년, NBL은 BAA와 합병하여 전미 농구 협회(NBA)가 되었다.[10]
4. 역대 NBL 팀 (1937년 ~ 1949년)
키케로 스타디움
인터내셔널 엠피시어터
9,00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