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 호스팅 서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용 호스팅 서비스는 단일 고객에게 전체 서버를 할당하여 운영 체제, 서버 관리, 대역폭 및 보안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리눅스, 유닉스 또는 윈도우 운영 체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서버 관리는 제공업체에 따라 완전 관리형, 관리형, 자체 관리형, 비관리형으로 구분된다. 전송 용량과 회선 속도는 웹사이트 트래픽 처리 능력을 나타내며, 보안은 데이터 보호를 위해 중요하다. 호스팅 업체는 IRC, 해킹, 성인 콘텐츠, 저작권 침해 등 특정 행위나 콘텐츠를 제한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터넷 호스팅 - 깃허브
깃허브는 Git 버전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협업 기능과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기반 플랫폼이지만, 여러 논란과 비판도 존재하는 세계 최대의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이다. - 인터넷 호스팅 - 인터넷 호스팅 서비스
인터넷 호스팅 서비스는 웹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인터넷 서버에 저장하고 관리하며, 서버 호스팅, 웹 호스팅, VPS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 웹 페이지 공개, 이메일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에 활용된다. - 서비스 산업 - 고객 서비스
고객 서비스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효율적 사용을 지원하는 활동으로, 대면, 온라인, 자동화 시스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며, 고객 충성도 향상과 경쟁 우위 확보에 기여하고 지표 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되며 국제 표준을 활용하여 품질을 관리한다. - 서비스 산업 - 서비스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서비스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S)은 세계무역기구(WTO) 부속서로, 서비스 무역의 다자간 규범을 제공하며, 4가지 거래 방식을 분류하고 회원국의 자유화 정도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무역 장벽 제거를 목표로 하지만 기업 이익 우선시 논란도 존재한다. - 웹 호스팅 - 웹 호스팅 서비스
웹 호스팅 서비스는 웹사이트 소유자가 자체 서버 없이 웹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도록 서버 공간과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며, 1990년대 초 인터넷 상업화와 함께 등장하여 다양한 호스팅 종류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 웹 호스팅 - 지오시티
지오시티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웹 페이지를 특정 구역에 할당하여 온라인 커뮤니티를 형성하도록 한 웹 호스팅 및 개발 회사였으나, 야후!에 인수된 후 미국과 일본 서비스가 종료되었으며, 현재는 인터넷 아카이브 등을 통해 과거 웹사이트 자료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전용 호스팅 서비스 | |
---|---|
개요 | |
유형 | 인터넷 호스팅 서비스 |
목적 | 단일 고객 전용 서버 제공 |
특징 | 자원 독점 사용 높은 성능 향상된 보안 사용자 정의 가능 |
장점 | 공유 호스팅에 비해 높은 유연성 서버 관리 권한 특정 요구 사항 충족 |
단점 | 공유 호스팅에 비해 높은 비용 기술적 지식 요구 |
기술적 측면 | |
서버 구성 | 전용 하드웨어 네트워크 연결 운영 체제 |
관리 | 고객 직접 관리 호스팅 업체 관리 대행 |
사용 사례 | 고성능 웹사이트 데이터베이스 서버 게임 서버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
경제적 측면 | |
비용 구조 | 서버 임대료 네트워크 비용 관리 비용 추가 서비스 비용 |
가격 결정 요인 | 서버 사양 대역폭 관리 수준 위치 |
시장 동향 | |
경쟁 환경 | 다양한 호스팅 업체 존재 |
수요 | 고성능 및 보안 요구 증가에 따른 수요 증가 |
발전 방향 | 클라우드 기반 전용 서버 자동화된 서버 관리 맞춤형 솔루션 제공 |
2. 운영 체제 (OS)
전용 서버는 다양한 운영 체제를 지원한다. 크게 리눅스/유닉스 계열과 윈도우 계열로 나눌 수 있다.
- '''리눅스/유닉스 계열:''' 오픈 소스 운영 체제는 고객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2] 레드햇 엔터프라이즈는 호스팅 제공업체에 월별 요금으로 제공되는 상용 리눅스 버전이다. 월별 요금은 Yum을 통해 레드햇 네트워크에서 OS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CentOS, 페도라 코어, 데비안 등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이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서 무료로 제공된다.[9]
- '''윈도우 계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서버는 상용 운영 체제이며, 마이크로소프트 서비스 공급자 라이선스 계약(SPLA)을 통해 제공된다.[3] 과거에는 Windows NT도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기타:''' FreeBSD, NetBSD, OpenBSD 등 BSD 계열 운영 체제도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운영 체제 지원은 보통 특정 전용 서버 계획과 함께 제공되는 관리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운영 체제 지원에는 최신 보안 수정, 패치, 시스템 전체 취약성 해결을 위한 핵심 시스템 업데이트가 포함될 수 있다. 핵심 운영 체제 업데이트에는 커널 업그레이드, 서비스 팩, 응용 프로그램 업데이트, 보안 패치가 포함되어 서버를 안전하게 유지한다. 운영 체제 업데이트 및 지원은 전용 서버 소유자의 서버 관리 부담을 덜어준다.
3. 서버 관리
전용 호스팅 서비스는 매니지드 호스팅 서비스와는 다르다. 매니지드 호스팅은 더 많은 지원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술 지식이 적은 고객을 대상으로 한다. 반면 전용 호스팅(언매니지드 호스팅)은 웹 개발 및 시스템 관리 전문가에게 적합하다.[15]
전용 서버 제공업체의 관리 역할은 명확한 업계 표준이 없어, 제공업체마다 정의가 다르다. 일부는 웹 기반 제어판을 완전 관리형으로 정의하고, 다른 업체는 전담 시스템 엔지니어가 모든 서버 및 네트워크 관련 기능을 처리하는 것을 완전 관리형으로 정의한다.
서버 관리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항목 | 내용 |
---|---|
운영 체제 관리 | 운영 체제 업데이트, 응용 프로그램 업데이트, 보안 패치, 데몬 업데이트 |
서버 모니터링 | 서버 모니터링, SNMP 하드웨어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 모니터링 |
보안 | 방화벽 서비스, 스팸 방지 소프트웨어, 안티바이러스 업데이트, 보안 감사, DDoS 방어 및 완화, 침입 탐지 |
데이터 관리 | 백업 및 복원, 재해 복구, DNS 호스팅 서비스, 부하 분산, 데이터베이스 관리, 성능 튜닝 |
기타 | 대역 외 관리, 소프트웨어 설치 및 구성, 사용자 관리, 프로그래밍 컨설팅, 응용 프로그램 관리, 기술 지원 |
전용 호스팅 서버 제공업체는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관리 수준을 정의한다. 완전 관리형은 제공업체에 따라 자체 관리형과 같을 수 있다.
서버 관리 지원 유형:
- 완전 관리형: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재부팅, 보안 패치 및 운영 체제 업그레이드를 포함한다. 고객은 완전히 개입하지 않는다.
- 관리형: 중간 수준의 관리, 모니터링, 업데이트 및 제한된 양의 지원을 포함한다. 고객은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자체 관리형: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일부 유지를 포함한다. 고객은 전용 서버에서 대부분의 작업과 작업을 제공한다.
- 비관리형: 서비스 제공업체의 관여가 거의 또는 전혀 없다. 고객은 모든 유지 관리, 업그레이드, 패치 및 보안을 제공한다.
매니지드 전용 서버는 호스팅 회사가 서버 관리, 보안 설정 등을 담당한다. 셀프 매니지드 전용 서버는 이용자가 직접 서버 관리 및 설정을 수행한다. 단, 매니지드 전용 서버도 호스팅 회사에 따라 지원 범위가 다르다. (예: 제3자 소프트웨어 설치 및 설정 미지원)
서버 지원 내용 (예시):
항목 | 내용 |
---|---|
기본 지원 | OS 설치, 재설치, 업데이트, 업그레이드, 24시간 서버 감시, 포트 감시, 하드웨어 감시, 서버 회선 속도 최적화, 성능 최적화 |
보안 | 안티 바이러스 소프트웨어 설정 및 업데이트, 방화벽 설정, 스팸 메일 방지 소프트웨어 설정 및 업데이트, 부정 침입 방지, 웹 서버(IIS, Apache) 설정, 업데이트, 보안 강화, FTP 서버 설정, 업데이트, 보안 강화, PHP, CGI 설정, 보안 강화, DoS 공격 방지 |
기타 | 애플리케이션 감시, 기술 지원, 백업 및 복원, DNS 설정, 로드 밸런싱 설정, 데이터베이스 관리, 제3자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설정, 프로그래밍 컨설팅 |
셀프 매니지드 전용 서버에서도 추가 요금으로 상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대부분의 업체는 시간 단위로 추가 요금을 계산한다. (예: 소프트웨어 설정 - 15,000엔/시, 데이터 센터 작업 - 25,000엔/시)
4. 서버의 전송 용량 및 회선 속도
대역폭은 지정된 시간(일반적으로 1초) 내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데이터 양을 의미하며, 종종 초당 비트(데이터) (bit/s)로 표시된다.[10][11]
전용 서버에서 전송 용량은 이용자가 공개한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이메일을 보내거나,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서버에서 흘러나가는 데이터 통신량(Mb, Gb, Tb)을 의미한다. 사이트와 관련된 거의 모든 동작에서 전송 용량이 증가한다. 예를 들어, A씨가 관리하는 블로그에 1MB의 사진을 업로드하고, 그 사진을 100명이 브라우저에서 열람했다면, 전송 용량은 100MB가 된다. 동영상 웹사이트나 접속이 매우 많은 웹사이트의 전용 서버를 선택할 때 전송 용량이 중요하다.
전용 서버의 회선 속도는 1초당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다운로드 속도), 또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업로드 속도)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용량(MB, GB, TB)을 나타낸다. 회선 속도의 단위는 Mbps(Megabits per second, 메가비트/초)이다. 1.25MB 상당의 데이터를 1초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경우, 다운로드 속도는 10Mbps가 된다. 그러나 동시에 같은 서버에 많은 클라이언트 PC가 접속하는 경우, 서버의 회선 속도는 클라이언트의 수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어, 회선 속도가 10Mbps인 서버에 1명이 접속한 경우 1.25MB의 데이터를 1초에 다운로드할 수 있지만, 20명이 같은 파일을 동시에 다운로드하는 경우 20초가 걸린다.
많은 호스팅 업체는 베스트 에포트 방식의 회선을 제공한다. 베스트 에포트란 이론상으로는 특정 속도가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네트워크 혼잡 등의 이유로 그 속도가 나오지 않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베스트 에포트 100Mbps 회선의 전용 서버가 실제로는 50Mbps도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공유 회선의 전용 서버도 있다. 서버 자체는 이용자가 통째로 점유하고 있지만, 인터넷 접속 회선이 여러 대의 서버에서 공유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 실제 회선 속도는 서버의 대수에 따라 달라진다.
일부 제공업체는 총 전송량을 계산하며, 이는 바이트 단위로 측정되는 실제 데이터 송수신량이다. 일반적으로 서버의 모든 트래픽의 합이지만, 일부 제공업체는 발신 트래픽(서버에서 인터넷으로의 트래픽)만 측정한다.
전용 서버를 아웃소싱하는 이유 중 하나는 여러 공급업체로부터 고성능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용 서버 제공업체는 대량의 대역폭을 사용하므로, 여러 공급업체의 대역폭을 묶어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대역폭을 여러 공급업체로부터 묶어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유형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려면 핵심 라우터, 장기 계약 및 비싼 월별 요금에 대한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5. 보안
전용 호스팅 서버 제공자들은 서버 네트워크에 저장된 데이터의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극대의 보안 척도를 이용한다. 제공자들은 침입자, 스패머, 해커, 또 트로이 목마, 웜, 충돌 요소(다수의 연결을 보냄으로써)와 같은 기타 해로운 문제를 검사하기 위해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종종 배치시킨다.[12] 리눅스와 윈도우는 보안 보호를 위해 다른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호스팅 서비스 제공업체와 전용 서버 사용자는 서버 보안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12] 특히 개인 정보, 신용 카드 번호 등 극비 데이터를 다루는 서버는 부정 침입이나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공격)에 대한 보안 대책이 필수적이다. 리눅스 계열 서버가 더 안전하다고 생각되지만, 윈도우 서버에서도 서드파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높은 보안 수준을 달성할 수 있다. 윈도우 전용 보안 소프트웨어는 압도적으로 비용이 높다.[13]
6. 소프트웨어
호스팅 사업자는 전용 서버와 함께 OS 라이선스 및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일괄적으로 제조사로부터 라이선스를 구매하는 것보다 호스팅 사업자로부터 월별로 라이선스를 임대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 SPLA (Microsoft Services Provider License Agreement): 마이크로소프트 제품을 월별 요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선스 프로그램이다. 웹 호스팅, 호스팅 애플리케이션, 메시징, 협업, 플랫폼 인프라 등 호스팅 형태의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를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업을 위한 것이다. 윈도우 서버 2008, 마이크로소프트 SQL 서버 등의 소프트웨어를 SPLA 계약으로 임대할 수 있다.[15]
7. 이용 제한
대부분의 호스팅 업체는 다음과 같은 행위 또는 콘텐츠를 제한한다.
- IRC (봇, 클라이언트 또는 데몬)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는 불량 IRC 사용자가 제공업체에 대한 DDoS 공격을 유발하여 네트워크에 과부하를 주고, 모든 고객의 서비스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많은 제공업체에서 성인 콘텐츠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는 법적으로 문제가 있을 수 있거나 많은 양의 대역폭을 소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저작권 침해는 대부분 호스팅 회사의 서비스 약관에 위배된다. 개인이 저작권을 소유하지 않은 저작권 자료를 호스팅하는 것은 금지된다.
- 대부분의 호스팅 업체에서는 인터넷 릴레이 챗 전용 서버 이용을 금지한다. 포트 스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DDoS 공격) 등 해킹 관련 행위도 금지되는 경우가 많다.
- 성인 비디오 등 콘텐츠는 법적인 이유 또는 막대한 전송 용량을 사용한다는 이유로 금지되는 경우가 있다. 성인 콘텐츠 허용은 호스팅 업체의 넉넉한 전송 용량과 우수한 네트워크를 보여주는 상징이 되기도 한다.
- 저작권 침해 서버가 설치된 국가의 저작권 관련 법률에 반하여 비디오, 이미지 등 콘텐츠 게재는 금지된다. 저작권 관련 법률은 국가별로 다르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불법으로 간주되는 콘텐츠가 유럽(프랑스, 스웨덴)에서는 불법이 아닌 경우도 있다. 또한 저작권 침해에 대한 민원이 접수될 경우의 대응 방식도 국가 및 호스팅 업체에 따라 다르다.[1]
8. 한국의 주요 전용 서버 서비스 제공 사업자
- 스카이아치 네트워크스
- 어드미럴 시스템 (ASJ 호스팅 서비스)
- [http://www.ai-web-hosting.com/ A&I 웹 호스팅]
- 사쿠라 인터넷
- [http://www.seeds.ne.jp/ 시즈 호스팅 서비스]
- GMO 인터넷
- * [http://www.onamae-server.com/ 오나마에.com 렌탈 서버]
- * 렌사바.com (렌사바 본포.com에서 이관)
- ** GMO 클라우드 (iSLE를 통합, [http://www.rapidsite.jp/index.html 래피드 사이트], [http://rocketnet.jp/index.html 로켓넷], [http://www.wadax.ne.jp/index.html WADAX])
9. 관련 항목
- 매니지드 전용 서버
- 클라우드 컴퓨팅
- 가상 서버
참조
[1]
논문
Internet Infrastructure Technology Structure Research
2012-09-05
[2]
웹사이트
Windows Server - Win32 apps
https://learn.micros[...]
2024-10-24
[3]
웹사이트
Licensing Options: Service Providers
https://www.microsof[...]
2018-05-03
[4]
서적
「24時間365日」サーバ/インフラを支える技術: スケーラビリティ、ハイパフォーマンス、省力運用
技術評論社
2008
[5]
웹사이트
Usage of operating systems for websites
http://w3techs.com/t[...]
W3Techs
2011-08
[6]
웹사이트
Usage of Unix for websites
http://w3techs.com/t[...]
W3Techs
2011-08
[7]
웹사이트
Web Server Survey
https://secure1.secu[...]
Security Space
2009-08
[8]
웹사이트
OS/Linux Distributions using Apache
https://secure1.secu[...]
Security Space
2009-08
[9]
웹사이트
Debian or CentOS? Webサーバで最も使われているディストロランキング
https://gihyo.jp/adm[...]
株式会社技術評論社・技術評論社発行の書籍・雑誌公式サイト
2012-01-18
[10]
서적
ITパスポートスーパー合格本 CBT対応
https://books.google[...]
秀和システム
2012
[11]
웹사이트
E-Words.JP: Mbps【megabit per second】
http://e-words.jp/w/[...]
E-Words.JP
2011-08
[12]
서적
セキュリティポリシー: いい人も悪い人もいるインターネットの世界
https://books.google[...]
電子開発学園衛星教育センター教材開発グループ
2003
[13]
서적
フリーソフトでつくるファイアウォール:「Windows」「Linux」「FreeBSD」ではじめるネットワーク・セキュリティ
工学社
2003
[14]
논문
Internet Infrastructure Technology Structure Research
2012-09-05
[15]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Managed and Unmanaged dedicated hosting service?
http://www.thewebhos[...]
TheWebHostingDir.com
2012-0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