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투항공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투항공여단(CAB)은 미국 육군의 모듈식 부대 개편 과정에서 도입되었으며, 임무에 따라 중(重), 중(中), 경(輕)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각 유형은 본부 중대, 공격정찰대대, 강습헬기대대, 일반 지원 항공대대, 무인항공기 중대, 항공 지원 대대로 구성된다. 2010년부터 미 육군은 중형 및 경형 항공여단을 전 영역 전투항공여단으로 교체하기 시작했다. 2018년 기준으로 현역에는 여러 전투항공여단이 존재하며, 육군 예비군과 주 방위군에도 전투항공여단이 편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항공여단 - 제2전투항공여단
    제2전투항공여단은 1957년 창설되어 2005년 통합 재편된 미 육군 제2보병사단 예하 전투항공여단으로, UH-60 블랙호크와 AH-64 아파치 헬기를 운용하며 다양한 작전 임무를 수행해왔고, 2013년 육군 우수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
  • 미국 육군의 항공여단 - 제17항공여단 (미국)
    제17항공여단은 1965년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고, 1975년 대한민국에서 재소집되어 주한 미군 등을 지원하다가 2005년 해산된 미국 육군의 항공 부대이다.
전투항공여단
전투항공여단
제1전투항공여단 휘장
제1전투항공여단 휘장
별칭공격에 대비하다!
활동 기간1963년 7월 1일 - 현재
국가미국
군종미국 육군
규모여단
본부포트 라일리, 캔자스 주
별명독수리 공격
지휘관대령 윌리엄 B. 해리스
역사
참전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이라크 자유 작전
새로운 새벽 작전
자유의 파수꾼 작전
구성
제1공격정찰대대, 제6기병연대1-6 기병
제1대대 (공격), 제1항공연대1-1 항공
제2대대 (일반 지원), 제1항공연대2-1 항공
제3대대 (공격정찰), 제1항공연대3-1 항공
제601항공지원대대601 에이비에이션 지원대대
제101공병대대, 제1사단 지원여단101 공병대대
이전 구성
제229공격정찰대대, 제16기병연대1-6 기병 (2016년 ~ 2022년)
웹사이트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전투항공여단(CAB)은 미국 육군의 모듈식 부대로의 전환 과정에서 도입되었다.

3. 유형별 편제 구조

미국 육군의 모듈식 부대 전환 과정에서 도입된 전투항공여단(CAB)은 임무와 장비 구성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초기에는 공격 및 정찰 능력에 따라 경량형, 중형, 중(重)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각 유형은 보유한 헬리콥터의 종류와 수, 그리고 지원 부대의 구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2010년부터 미 육군은 기존의 중형 및 경형 항공여단을 대체하기 위해 전범위 전투항공여단(Full Spectrum Combat Aviation Brigade영어)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이는 다양한 작전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육군 전체의 항공 자산을 표준화하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였다. 전범위 전투항공여단은 모듈식 설계를 통해 특정 임무에 맞게 부대 구성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분쟁 환경 하에서의 안정적인 작전 수행 능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3] 궁극적으로는 현역 8개, 예비군 6개의 전범위 전투항공여단과 현역 4개, 예비군 2개의 중(重)형 전투항공여단을 배치하여 상시 4개 여단의 작전 준비태세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하지만 2017년 OH-58D 카이오와 워리어 정찰헬기가 퇴역하면서 편제에 다시 변화가 생겼다. 미 육군은 모든 AH-64E 아파치 공격헬기를 현역 전투항공여단에 집중 배치하기로 결정했고, 이에 따라 2018년을 기준으로 모든 현역 전투항공여단은 사실상 중(重)형 편제와 유사한 형태로 개편되었다.

3. 1. 경량형 전투항공여단


  • 2개 공격정찰전대 (ARS) (각각 OH-58 30기)
  • 1개 강습헬리콥터대대 (AHB) (UH-60 블랙호크 30기)
  • 1개 종합지원항공대대 (GSAB) (UH-60 지휘항공 8기, CH-47 치누크 12기 및 HH-60M 15기)
  • 1개 무인항공기중대[14]
  • 1개 항공지원대대 (ASB)

3. 2. 중(中)형 전투항공여단


  • 본부중대
  • 공격정찰대대(ARB) 1개 (24대의 AH-64 아파치)
  • 공격정찰비행대대(ARS) 1개 (30대의 벨 OH-58 카이오와)
  • 강습헬기대대(AHB) 1개 (30대의 UH-60 블랙 호크)
  • 일반 지원 항공대대(GSAB) 1개 (UH-60 지휘 항공기 8대, CH-47 치누크 12대, HH-60M 15대)
  • 무인항공기(UAV) 중대 1개[1]
  • 항공 지원 대대(ASB) 1개

3. 3. 중(重)형 전투항공여단

중(重) 전투항공여단 편성표


중(重)형 전투항공여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구성 부대주요 장비비고
본부중대-
공격정찰대대(ARB)보잉 AH-64 아파치 24대2개 대대
강습헬기대대(AHB)UH-60 블랙호크 30대1개 대대
일반 지원 항공대대(GSAB)UH-60 지휘 항공기 8대, 보잉 CH-47 치누크 12대, HH-60M 블랙호크 15대1개 대대
무인항공기(UAV) 중대- [1]1개 중대
항공 지원 대대(ASB)-1개 대대


3. 4. 전범위 전투항공여단

전투항공여단 조직표


2010년부터 미국 육군은 중형 및 경형 항공여단을 다목적 여단으로 교체하기 시작했는데, 이를 전범위 전투항공여단(Full Spectrum Combat Aviation Brigadeeng)이라고 부른다. 궁극적인 목표는 현역에 8개의 전범위 전투항공여단과 4개의 중(重) 전투항공여단을 배치하고, 육군 예비군에 각각 6개와 2개의 전투항공여단을 배치하는 것이다. 4개 여단은 상시 배치가 가능해야 한다.

미 육군은 전투항공여단이 임무 조직화를 가능하게 하고 특정 기간의 특정 임무에 대한 항공 능력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모듈식으로 설계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전범위 전투항공여단은 지부 전체에서 전투항공여단 설계를 표준화하여 가장 시의적절하고 유연한 방식으로 최대의 항공 능력을 제공할 것이다. 미 육군은 또한 새로운 전투항공여단 설계가 지속적인 분쟁 시대에 필요한 "안정적인 상태" 작전을 가능하게 하는 전투, 전투 지원 및 전투 근무 지원을 제공하는 교리적으로 건전하다고 밝혔다. 이 새로운 전투항공여단은 미 육군 전체의 훈련, 유지 보수 및 지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전투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것이다.[2][3]

전범위 전투항공여단 설계는 다음과 같다.

  • 본부 및 본부 중대 (HHC)
  • 공격 정찰 비행대대 (ARS): OH-58D 카이오와 워리어 7기를 보유한 3개 소대와, RQ-7B 섀도 무인 항공기(UAV) 4기를 보유한 무인 항공 시스템(UAS) 중대의 2개 소대로 구성된다.
  • 공격 정찰 대대 (ARB): AH-64 아파치 8기를 보유한 3개 중대로 구성된다.
  • 강습 헬리콥터 대대 (AHB): UH-60 블랙호크 10기를 보유한 3개 중대와 패스파인더 중대로 구성된다.
  • 일반 지원 항공 대대 (GSAB):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 지휘 항공 중대 (CAC): UH-60 블랙호크 4기와 AN/ASC-38 육군 공중 지휘 및 통제 시스템(A2C2S)을 장비한 EH-60 4기로 구성된다.
  • * 중(重) 헬리콥터 중대 (HvyHC): CH-47 치누크 4기를 보유한 3개 소대로 구성된다.
  • * 항공 구급 의료 중대 (AAMC): 의무 후송(MEDEVAC) 임무 장비를 갖춘 HH-60M 3기를 보유한 5개의 전방 지원 의무 후송 소대 (FSMP)로 구성된다.
  • * 항공 교통 근무 (ATS) 중대: 2개의 전술 관제탑팀, 이동 관제탑팀, 공역 관제팀, 지역 감시 및 지상 통제 접근(GCA) 레이다팀 등으로 구성된다.
  • UAS 중대: MQ-1C 그레이 이글 UAV 4기를 보유한 3개 소대로 구성된다.
  • 항공 지원 대대 (ASB)

3. 5. 현대 구성 (2018년 기준)

RQ-7 섀도 12대공격 정찰 대대 (ARB)AH-64E 아파치 24대강습 헬리콥터 대대 (AHB)UH-60 블랙 호크 30대일반 지원 항공 대대 (GSAB)UH-60 지휘 항공 8대
CH-47F 치누크 12대
HH-60M (MEDEVAC) 및 ATS 15대무인 항공 시스템 (UAS) 중대MQ-1C 그레이 이글 12대항공 지원 대대 (ASB)-


4. 목록

미국 육군의 전투항공여단은 크게 현역 부대, 육군 주방위군, 미국 육군 예비군 소속으로 나눌 수 있다. 각 부대의 상세한 목록과 편제는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해외 주둔 부대로는 독일에 제12전투항공여단이 있었으나 현재는 제1-214항공연대 규모로 축소되었고, 대한민국에는 주한 미군으로 제2보병사단 예하 제2전투항공여단이 주둔 중이다. 과거에 운용되었던 부대에 대한 정보는 '과거의 전투항공여단'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현역 구성

2017년 OH-58D 카이오와 워리어 헬리콥터가 퇴역하면서 미국 육군은 모든 AH-64E 아파치 공격 헬리콥터를 현역 전투항공여단(CAB)에 집중시켰다. 이에 따라 현재 모든 CAB는 중(Heavy)급으로 편성되어 있다. 2018년 기준으로 각 CAB는 다음과 같은 편제를 갖추고 있다.

부대 유형주요 장비
본부 및 본부 중대 (HHC)-
공중 기병 정찰 비행대대 (ACRS)AH-64E 아파치 24대, RQ-7 섀도 12대
공격 정찰 대대 (ARB)AH-64E 아파치 24대
강습 헬리콥터 대대 (AHB)UH-60 블랙 호크 30대
일반 지원 항공 대대 (GSAB)UH-60 지휘 항공 8대, CH-47F 치누크 12대, HH-60M 및 ATS 15대
무인 항공 시스템 (UAS) 중대MQ-1C 그레이 이글 12대
항공 지원 대대 (ASB)-



현재 활동 중인 현역 전투항공여단은 다음과 같다.

여단 명칭소속 사단비고
제1항공기병여단제1기병사단
제1기갑사단 전투항공여단제1기갑사단
제1전투항공여단제1보병사단
제2전투항공여단제2보병사단대한민국 주둔
제3전투항공여단제3보병사단
제4전투항공여단제4보병사단
제10산악사단 전투항공여단제10산악사단
제25전투항공여단제25보병사단
제82전투항공여단제82공수사단
제101전투항공여단제101공수사단
제16전투항공여단제7보병사단


4. 2. 예비군 구성

육군 주방위군(ARNG)은 8개 사단 내에 각각 1개씩 총 8개의 전투항공여단을 배치하고 있으며, 추가로 2개의 항공여단을 감독하는 전구 항공 사령부 1개를 운용한다. 미국 육군 예비군은 1개의 전구 항공 사령부를 통해 총 2개의 여단(육군 예비군 소속 1개, 육군 주방위군 소속 1개)을 감독한다.

육군 주방위군의 전투항공여단은 정규 육군의 전투항공여단과 일부 차이가 있다. 공격 정찰 비행대에서 운용하던 OH-58D 카이오와 워리어 대신 유로콥터 UH-72 라코타를 사용하며, 지원 및 경비 대대(S&S BN, Support and Security Battalion) 편제를 가진다.

모든 육군 주방위군 항공여단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

부대 종류보유 항공기수량
공격 정찰 대대AH-64 아파치24대
경비 및 지원 대대유로콥터 UH-72 라코타24대
강습 헬리콥터 대대UH-60 블랙 호크30대
일반 지원 항공 대대UH-60 블랙 호크8대
CH-47 치누크12대
HH-60M (의무후송용 블랙호크)15대
무인 항공기 중대MQ-1C 그레이 이글12대
항공 지원 대대(항공기 없음)


4. 3. 주 방위군

육군 주방위군(ARNG)은 8개 사단 예하에 8개의 전투항공여단(CAB)을 편성하여 운용하고 있다. 또한, 2개의 추가 항공여단을 감독하는 1개의 전구 항공 사령부(Theater Aviation Command)도 운영 중이다.

육군 주방위군의 전투항공여단은 정규 미국 육군의 전투항공여단과 편제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대표적으로 공격정찰대대에서 OH-58D 카이오와 워리어 대신 UH-72 라코타를 운용하며, 지원 및 경비 대대(S&S BN, Security & Support Battalion)로 편성되는 점이 다르다.

모든 육군 주방위군 전투항공여단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편제를 갖춘다.

아래는 육군 주방위군 소속의 주요 전투항공여단 목록이다.

여단 명칭소속 사단주요 소속 주 방위군비고
제28전투항공여단제28보병사단펜실베이니아, 뉴저지중(重) 전투항공여단
제29전투항공여단제29보병사단메릴랜드, 버지니아중(重) 전투항공여단
제34전투항공여단제34보병사단미네소타, 노스다코타, 아이다호
제35전투항공여단제35보병사단미주리, 네브래스카, 유타
제36전투항공여단제36보병사단텍사스, 콜로라도, 앨라배마, 캔자스
제38전투항공여단제38보병사단인디애나
제40전투항공여단제40보병사단캘리포니아
제42전투항공여단제42보병사단뉴욕


4. 4. 과거의 전투항공여단

참조

[1] 간행물 Accomplishing the UAS mission safely https://www.army.mil[...] John Lheureux 2019-05-16
[2] 웹사이트 Army Aviation: Full Spectrum Capability http://www.tvcaaaa.o[...] Army Aviation Association of America 2010-02-10
[3] 웹사이트 Role played by US army aviation in the US tactical maneuver http://www.cdef.terr[...] Doctrine Tactique 2012-03
[4]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Aviation Brigade 1st Cavalry Division https://history.army[...]
[5] 웹사이트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6]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Combat Aviation Brigade, 1st Infantry Division | Lineage and Honors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7]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Combat Aviation Brigade, 2d Infantry Division | Lineage and Honors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8]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Aviation Brigade 3d Infantry Division https://history.army[...]
[9]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Combat Aviation Brigade, 4th Infantry Division | Lineage and Honors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CMH) https://history.army[...]
[10]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Combat Aviation Brigade, 10th Mountain Division | Lineage and Honors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11]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COMBAT AVIATION BRIGADE, 25th INFANTRY DIVISION -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12]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Combat Aviation Brigade, 82d Airborne Division | Lineage and Honors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13] 웹사이트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14] 웹인용 Accomplishing the UAS mission safely https://www.army.mil[...] 2019-0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