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점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점군은 도형의 대칭성을 수학적으로 나타내는 개념으로, 대칭 조작들의 집합을 군론의 공리에 따라 정의한다. 대칭 조작에는 항등 조작, 회전 조작, 거울상 조작, 반전 조작 등이 있으며, 점군은 이러한 조작들을 포함하되 병진 조작은 제외한다. 점군은 쉐인플리스 기호와 허먼-모건 기호로 나타내며, 분자나 결정의 대칭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점군 이론은 결정의 대칭성 분석, 분자 궤도 함수 계산, 분자 진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특히 양자점, 2차원 물질과 같은 첨단 소재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결정학 - 역격자
    역격자는 브라베 격자의 쌍대 개념으로, 해당 격자의 모든 벡터와의 내적이 정수가 되는 벡터들의 집합으로 정의되며, 결정 구조 분석 및 블로흐 정리와 관련된 브릴루앙 영역 연구에 활용되는 또 다른 브라베 격자이다.
  • 결정학 - 브릴루앙 영역
    브릴루앙 영역은 결정의 역격자에서 정의되는 영역으로, 결정 내 전자의 파수 벡터 k 집합을 나타내며, 제1 브릴루앙 영역만 고려해도 결정 내 전자의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내부의 특정 고대칭점들은 임계점으로 불린다.
  • 군론 - 파울리 행렬
    파울리 행렬은 양자역학에서 스핀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에르미트 행렬이자 유니타리 행렬로, 행렬식은 -1이고 대각합은 0이며, 리 대수의 생성원이자 파울리 벡터로 정의되어 다양한 물리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 군론 - 자유군
    자유군은 집합 S로부터 생성되는 군의 한 종류로, 닐센-슈라이어 정리를 만족하며 바나흐-타르스키 역설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점군
점군
3차원 공간에서의 점군 예시
3차원 공간에서의 점군 예시
정의하나 이상의 고정점을 갖는 기하학적 대칭의 그룹
설명
설명점군은 군론의 대칭 유형의 일종으로, 고정점 주위의 회전, 반사, 회전반사(반전)와 같은 조작을 포함한다.
점군의 대칭성은 분자, 결정, 다양한 물리적 및 수학적 시스템의 성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분자 대칭성은 분광학을 이용하여 연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분자의 구조와 특성을 밝힐 수 있다.
결정 대칭성은 결정학의 기본 개념으로, 결정의 구조와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대칭 조작**회전:** 고정 축을 중심으로 물체를 회전시키는 조작
**반사:** 평면을 기준으로 물체의 거울상 생성
**회전반사 (반전):** 회전 후 반전(좌우 또는 상하 반전)을 수행하는 조작
**항등 조작:** 아무런 변화를 주지 않는 조작
표기법
쇤플리스 표기법분자 대칭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표기법
헤르만-마우귄 표기법결정학에서 사용되는 표기법
주요 점군 유형
회전군회전 조작만 포함하는 군
예: C₂, C₃, C₄
반사군반사 조작을 포함하는 군
예: Cₛ
회전반사군회전 및 반전 조작을 포함하는 군
예: S₄
정다면체군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와 같은 정다면체의 대칭을 나타내는 군
예: Td, Oh
무한군무한한 개수의 대칭 조작을 갖는 군
예: C∞v, D∞h
응용 분야
분자 화학분자 구조와 성질을 이해하는 데 사용
결정학결정 구조와 특성을 연구하는 데 사용
물리학다양한 물리적 시스템의 대칭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
수학기하학과 군론의 추상적 개념을 연구하는 데 사용
점군 관련 정보
관련 주제대칭, 군론, 결정학, 분자 대칭
참고 자료영어 위키백과 점군 문서

2. 대칭 조작

정사면체를 어떤 면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수선 주위로 120도 회전시켜도 원래의 정사면체와 구별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어떤 도형에 대해 원래 도형과 구별되지 않도록 이동하는 조작을 '''대칭 조작'''이라고 한다.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의 대칭 조작에는 다음 7가지 종류가 있다.

1. 항등 조작 - 아무런 이동도 하지 않는다.

2. 회전 조작 - 도형상의 모든 점을 어떤 축(대칭축)에 대해 회전시킨다.

3. 거울상 조작 - 도형상의 모든 점을 어떤 면(대칭면)에 대해 면대칭으로 이동시킨다.

4. 반전 조작 - 도형상의 모든 점을 어떤 점(대칭중심)에 대해 점대칭으로 이동시킨다.

5. 회영 조작 - 도형상의 모든 점을 어떤 축(회영축)에 대해 회전시킨 후, 그 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면대칭으로 이동시킨다.

6. 회반 조작 - 도형상의 모든 점을 어떤 축(회반축)에 대해 회전시킨 후, 그 축상의 한 점에 대해 점대칭으로 이동시킨다.

7. 병진 조작 - 도형상의 모든 점을 평행이동시킨다.

이 중 병진 조작을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점이 불변점이 된다. 항등 조작에서는 도형상의 모든 점이, 회전 조작에서는 회전축상의 점이, 거울상 조작에서는 거울상면상의 점이, 반전 조작에서는 대칭중심이, 회영 조작에서는 회영축상의 한 점이, 회반 조작에서는 회반축상의 한 점이 불변점이 된다.

각 조작을 특징짓는 대칭축, 대칭면, 대칭중심, 회영축, 회반축을 '''대칭 요소'''라고 한다.

3. 점군

군론에서 '''점군'''은 유클리드 공간에서 적어도 한 점을 고정시키는 모든 대칭 조작들의 집합으로, 의 공리를 만족한다. 점군은 대칭 조작의 곱셈으로 정의되는데, 이는 도형에 대칭 조작 *a*를 수행한 후 *b*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점군은 다음 군의 공리를 만족한다.

# 결합 법칙: 임의의 조작 *a*, *b*, *c*에 대해 (*a* × *b*) × *c* = *a* × (*b* × *c*)가 성립한다.

# 항등원: 항등 조작 *e*가 존재하여, 임의의 조작 *a*에 대해 *a* × *e* = *e* × *a* = *a*가 된다.

# 역원: 임의의 조작 *a*에 대해, *a* × *a*−1 = *a*−1 × *a* = *e*가 되는 *a*−1이 반드시 존재한다.

예를 들어, 밑면이 정삼각형인 삼각뿔(정사면체는 아님)을 생각해 보자. 이 삼각뿔은 꼭짓점에서 밑면에 내린 수선을 축으로 120도 회전(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해도 원래 모습과 동일하다. 또한, 이 수선과 삼각뿔의 모서리를 포함하는 세 개의 면은 각각 거울면이 된다. 따라서 이 도형은 항등 조작, 120도 시계 방향 회전 조작, 120도 반시계 방향 회전 조작, 그리고 세 개의 거울면 반사 조작을 포함하여 총 6개의 대칭 조작을 갖는다. 이 6개의 대칭 조작은 을 이루며, 이 군을 해당 삼각뿔의 점군이라고 한다.

4. 점군을 나타내는 기호

점군을 나타내는 데는 다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쉐인플리스 기호: 물리학이나 화학에서 사용된다.
  • 허먼-모건 기호: 결정학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밑면이 정삼각형인 삼각뿔의 점군은 쉐인플리스 기호로는 C3v, 허먼-모건 기호로는 3m으로 표기된다.[1]

5. 점군의 기약 표현

점군의 대칭 조작과 곱셈 관계가 같은 행렬을 그 점군의 '''표현 행렬'''이라고 하며, 이러한 대칭 조작에 대응하는 행렬들의 집합을 그 점군의 '''표현'''이라고 한다. 점군은 추상적인 대칭성들의 집합이므로, "표현"을 통해 구체적인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하나의 점군에는 여러 가지 표현이 가능하다. 표현 행렬의 성질은 캐릭터(트레이스)로 나타내며, 캐릭터를 표로 정리한 것을 '''캐릭터표'''라고 한다.

표현 중에서 더 간단한 표현으로 분해할 수 있는 것을 '''가약 표현''',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것을 '''기약 표현'''이라고 한다. 가약 표현은 적절한 닮음 변환을 통해 직합 분해(간약)하여 기약 표현으로 만들 수 있다. 닮음 변환을 하더라도 캐릭터는 변하지 않는다.

대칭성을 갖는 계의 여러 특성은 가장 기본적인 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점군을 이용하여 대칭성을 다루면, 그 대칭성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기약 표현)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5. 1. 기호

차수 2C2v
차수 4C3v
차수 6C4v
차수 8C5v
차수 10C6v
차수 12...------------D1h
차수 4D2h
차수 8D3h
차수 12D4h
차수 16D5h
차수 20D6h
차수 24...------------Td
차수 24Oh
차수 48Ih
차수 120------



{| class="wikitable"

|- valign=top

|

Intl*기하오비폴드쇼엔플리스콕세터차수
11C1[ ]+1
×1Ci = S2[2+,2+]2
= m1*1Cs = C1v = C1h[ ]2
2
3
4
5
6
n
22
33
44
55
66
nn
C2
C3
C4
C5
C6
Cn
[2]+
[3]+
[4]+
[5]+
[6]+
[n]+
2
3
4
5
6
n
mm2
3m
4mm
5m
6mm
nmm
nm
2
3
4
5
6
n
*22
*33
*44
*55
*66
*nn
C2v
C3v
C4v
C5v
C6v
Cnv
[2]
[3]
[4]
[5]
[6]
[n]
4
6
8
10
12
2n
2/m
4/m
6/m
n/m
2
2
2
2
2*
3*
4*
5*
6*
n*
C2h
C3h
C4h
C5h
C6h
Cnh
[2,2+]
[2,3+]
[2,4+]
[2,5+]
[2,6+]
[2,n+]
4
6
8
10
12
2n





n×
S4
S6
S8
S10
S12
S2n
[2+,4+]
[2+,6+]
[2+,8+]
[2+,10+]
[2+,12+]
[2+,2n+]
4
6
8
10
12
2n



|

Intl기하오비폴드쇼엔플리스콕세터차수
222
32
422
52
622
n22
n2
222
223
224
225
226
22n
D2
D3
D4
D5
D6
Dn
[2,2]+
[2,3]+
[2,4]+
[2,5]+
[2,6]+
[2,n]+
4
6
8
10
12
2n
mmm
m2
4/mmm
m2
6/mmm
n/mmm
m2
2 2
3 2
4 2
5 2
6 2
n 2
*222
*223
*224
*225
*226
*22n
D2h
D3h
D4h
D5h
D6h
Dnh
[2,2]
[2,3]
[2,4]
[2,5]
[2,6]
[2,n]
8
12
16
20
24
4n
2m
m
2m
m
2m
2m
m
4
6
8
10
12
n
2*2
2*3
2*4
2*5
2*6
2*n
D2d
D3d
D4d
D5d
D6d
Dnd
[2+,4]
[2+,6]
[2+,8]
[2+,10]
[2+,12]
[2+,2n]
8
12
16
20
24
4n
23332T[3,3]+12
m43*2Th[3+,4]24
3m3 3*332Td[3,3]24
432432O[3,4]+24
mm4 3*432Oh[3,4]48
532532I[3,5]+60
m5 3*532Ih[3,5]120



|-

|colspan=2|(*) Intl 항목이 중복될 경우, 첫 번째는 짝수 ''n'', 두 번째는 홀수 ''n''에 대한 것이다.

|}

6. 예시

C3v 대칭성을 가진 암모니아 분자


암모니아 분자는 질소 원자 하나와 수소 원자 세 개로 구성되며, C3v 대칭성을 가진다. 암모니아 분자의 대칭 조작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대칭 조작들을 모은 집합을 이루며, 쇼앤플리스 기호를 사용하여 '''C3v'''로 나타낸다.

:\boldsymbol{C_{3v}}=\{E, C_3, C_3^{-1}, \sigma_{v1}, \sigma_{v2}, \sigma_{v3}\}.

6. 1. 군표 (곱표)

암모니아 분자의 대칭 조작은 항등 조작 *E*, 회전 조작 *C*3, *C*3−1, 거울면 반사 조작 *σ**v*1, *σ**v*2, *σ**v*3이다. 이러한 대칭 조작들을 모은 집합은 군을 이루며, 쇼앤플리스 기호를 사용하여 '''C3v'''로 나타낸다.

:\boldsymbol{C_{3v}}=\{E, C_3, C_3^{-1}, \sigma_{v1}, \sigma_{v2}, \sigma_{v3}\}.

점군 C3v의 각 원소의 곱을 나타낸 표는 다음과 같다.

'''C3v'''의 곱표
EC3C3−1σv1σv2σv3
EEC3C3−1σv1σv2σv3
C3C3C3−1Eσv3σv1σv2
C3−1C3−1EC3σv2σv3σv1
σv1σv1σv2σv3EC3C3−1
σv2σv2σv3σv1C3−1EC3
σv3σv3σv1σv2C3C3−1E



위 표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점군 '''C3''' = {''E'', ''C''3, ''C''3−1}의 곱표이다.

6. 2. 부분군

점군 C3v의 부분군은 {E}, {E, σv1}, {E, σv2}, {E, σv3}, {E, C3, C3−1}, {E, C3, C3−1, σv1, σv2, σv3}의 6개이다. 또한 진부분군은 {E, σv1}, {E, σv2}, {E, σv3}, {E, C3, C3−1}의 4개이다.

6. 3. 잉여류

점군 C3v의 6개의 원소를 분류하는 방법 중 하나로 잉여류가 있다. C3v의 부분군으로 예를 들어 H={E, σv1}을 선택하고, 각 원소에 오른쪽에서 σv2와 σv3을 작용시키면, Hσv2={σv2, C3}와 Hσv3={σv3, C3−1}을 얻는다. H와 Hσv2와 Hσv3는 공통된 원소를 가지지 않고, C3v의 모든 원소는 이 세 집합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하다.

:\boldsymbol{C_{3v}}=H+H\sigma_{v2}+H\sigma_{v3}

각 항을 우잉여류라고 부르며, 이와 같이 C3v를 분해하는 것을 H를 법으로 하는 우잉여류 분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좌잉여류에 의한 분해도 가능하다.

:\boldsymbol{C_{3v}}=H+\sigma_{v2}H+\sigma_{v3}H

이와 같이 우잉여류의 개수와 좌잉여류의 개수는 모두 3개로 같다. 그러나 Hσv2≠σv2H이며, 일반적으로 우잉여류와 좌잉여류의 내용은 다르다(단, 후술하는 정규 부분군을 법으로 하는 경우에는 일치한다).

6. 4. 켤레류

암모니아 분자의 대칭 조작을 모은 집합을 이룬다. 이 군은 쇼앤플리스 기호를 사용하여 '''C3v'''로 나타낸다.

:\boldsymbol{C_{3v}}=\{E, C_3, C_3^{-1}, \sigma_{v1}, \sigma_{v2}, \sigma_{v3}\}.

C3v의 6개의 원소를 분류하는 방법 중 하나로 켤레류(conjugacy class)가 있다. 점군 C3v의 어떤 원소 G와 그 역원 G−1로 각 원소를 묶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표를 얻는다.

GEC3C3−1σv1σv2σv3
GEG−1EEEEEE
GC3G−1C3C3C3C3−1C3−1C3−1
GC3−1G−1C3−1C3−1C3−1C3C3C3
v1G−1σv1σv3σv2σv1σv3σv2
v2G−1σv2σv1σv3σv3σv2σv1
v3G−1σv3σv2σv1σv2σv1σv3



위 표에서 집합 Cl2 = {C3, C3−1}는 어떤 원소 G와 그 역원 G−1로 묶어도 여전히 {C3, C3−1}로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집합 Cl1 = {E}와 Cl3 = {σv1, σv2, σv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boldsymbol{C_{3v}}=\boldsymbol Cl_1+\boldsymbol Cl_2+\boldsymbol Cl_3

이 각각의 항을 켤레류(conjugacy class, 또는 단순히 류)라고 한다.

6. 5. 정규 부분군 (불변 부분군)

'''C3v'''의 진부분군 중 '''C3''' = {E, C3, C3−1}는 두 개의 공액류 '''Cl1''' = {E}와 '''Cl2''' = {C3, C3−1}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boldsymbol{C_{3}}=\boldsymbol Cl_1+\boldsymbol Cl_2

이러한 진부분군을 정규 부분군(불변 부분군)이라고 한다.

정규 부분군 '''C3'''를 법으로 하여 점군 '''C3v'''를 잉여류 분해하면, 우잉여류와 좌잉여류가 일치한다.

:\boldsymbol{C_{3v}}=\boldsymbol{C_{3}}+\boldsymbol{C_{3}}\sigma_{v1}=\boldsymbol{C_{3}}+\sigma_{v1}\boldsymbol{C_{3}}

6. 6. 상군

암모니아 분자의 대칭성을 예시로 들어 설명한다. 암모니아 분자는 항등 조작 *E*, 회전 조작 *C*3, *C*3−1, 거울면 반사 조작 *σ**v*1, *σ**v*2, *σ**v*3을 가진다. 이러한 대칭 조작들을 모은 집합은 군을 이루며, 쇼앤플리스 기호를 사용하여 '''C3v'''로 나타낸다.[1]

:\boldsymbol{C_{3v}}=\{E, C_3, C_3^{-1}, \sigma_{v1}, \sigma_{v2}, \sigma_{v3}\}.[1]

6. 7. 간약

먼저 적절한 기저를 사용하여 가약 표현을 만든다. 단, 기저는 생각하고 싶은 문제를 반영하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암모니아의 질소 원자의 전자 상태를 대칭성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싶을 때는, 질소 원자의 s 오비탈이나 p 오비탈을 기저로 선택할 수 있다. 분자 진동을 생각하고 싶을 때는, N–H 결합의 진동을 나타내는 벡터를 기저로 선택할 수도 있다. 무엇을 기저로 선택하는가에 따라 여러 가지 표현 행렬을 만들 수 있으며, 문제를 복잡하게 하지 않으려면 기저를 잘 선택해야 한다.

여기서는 예로서 암모니아 분자의 세 개의 수소 원자의 s 오비탈 H1, H2, H3를 기저로 선택해 본다.[1]

  • 항등 연산 E에서는 각 수소 원자의 위치는 변하지 않으므로, 표현 행렬은 단위 행렬이 되고 지표는 +3이다.

: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

\end{pmatrix}

\begin{pmatrix}

\ H1 \\

\ H2 \\

\ H3 \\

\end{pmatrix}

=

\begin{pmatrix}

\ H1 \\

\ H2 \\

\ H3 \\

\end{pmatrix}


  • C3(1/3 회전)에서는 H1→H2, H2→H3, H3→H1처럼 변환되므로 표현 행렬의 지표는 0이다.

:

\begin{pmatrix}

0 & 1 & 0 \\

0 & 0 & 1 \\

1 & 0 & 0 \\

\end{pmatrix}

\begin{pmatrix}

\ H1 \\

\ H2 \\

\ H3 \\

\end{pmatrix}

=

\begin{pmatrix}

\ H2 \\

\ H3 \\

\ H1 \\

\end{pmatrix}


  • 질소 원자를 통과하는 평면에서의 거울면 반사 연산에서는, 하나의 수소 원자만 변환되지 않으므로 지표는 +1이다.

:

\begin{pmatrix}

1 & 0 & 0 \\

0 & 0 & 1 \\

0 & 1 & 0 \\

\end{pmatrix}

\begin{pmatrix}

\ H1 \\

\ H2 \\

\ H3 \\

\end{pmatrix}

=

\begin{pmatrix}

\ H1 \\

\ H3 \\

\ H2 \\

\end{pmatrix}



따라서 이 기저에서의 가약 표현 Γ의 지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E2 C33 σv
Γ301



이 경우처럼 "대칭 연산에 의해 움직인 s 오비탈의 수만큼 +1로 한다"라는 규칙을 설정하면, 표현 행렬을 만들지 않아도 이 가약 표현의 지표표는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가약 표현을 기약 표현으로 환원한다. C3v의 기약 표현의 지표표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E2 C33 σv
A1111zx2 + y2, z2
A211−1Rz
E2−10(Rx, Ry), (x, y)(x2y2, xy), (xz, yz)



여기서 가약 표현에 각 기약 표현이 포함되는 수는, 환원 공식에 의해


  • A1:{(3 × 1) + 2(0 × 1) + 3(1 × 1)} ÷ 6 = 1
  • A2:{(3 × 1) + 2(0 × 1) + 3(1 × (−1))} ÷ 6 = 0
  • E: {3×2)+ 2(0 × (−1)) + 3(1 × 0)} ÷ 6 = 1

따라서 가약 표현 Γ는 두 개의 기약 표현 A1과 E로 환원된다.

:\Gamma = A_1 + E.

7. 키랄 및 아키랄 점군, 반사군

점군은 키랄(chiral) 군 또는 순수 회전 군과 아키랄(achiral) 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키랄 군은 특수 직교군 SO(''d'')의 부분군이다. 즉, 이들은 결정인자가 +1인 방향 보존 직교 변환만을 포함한다. 아키랄 군은 결정인자가 -1인 변환도 포함한다. 아키랄 군에서 방향 보존 변환은 지표 2의 (키랄) 부분군을 형성한다.

유한 코크세터 군 또는 ''반사 군''은 동일한 점을 지나는 일련의 반사 거울에 의해서만 생성되는 점군이다. 계수 ''n''인 코크세터 군은 ''n''개의 거울을 가지며 코크세터-딘킨 도표로 표현된다. 코크세터 표기법은 회전 및 기타 하위 대칭 점군에 대한 표기 기호를 사용하여 코크세터 도표와 동등한 괄호 표기법을 제공한다. 반사 군은 (항등원만 포함하는 사소한 군을 제외하고) 반드시 아키랄이다. 1차원 점군은 항등군과 반사군 두 가지뿐이다.

점군코크서터 표기코크서터 다이어그램위수설명
C1[ ]+1항등군
D1[ ]]]2반사군


8. 점군 목록

점군콕서터 표기콕서터 다이어그램위수설명
C1[ ]+1항등군
D1[ ]--2반사군


8. 1. 1차원

1차원 점군은 항등군과 반사군 두 가지뿐이다.

점군콕서터 표기콕서터 다이어그램위수설명
C1[ ]+1항등군
D1[ ]2반사군


8. 2. 2차원

2차원 점군은 1차원에서와 달리 무한히 많으며, 크게 순환군(cyclic group)과 이면체군(dihedral group)으로 나뉜다.

하지만 결정학적 제한 정리(crystallographic restriction theorem)에 의해, 병진 대칭(translational symmetry)과 양립할 수 있는 회전 대칭은 제한적이다. 즉, n은 1, 2, 3, 4, 6 중 하나만 가능하다.

순수 반사 점군은 콕서터 군(Coxeter group)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콕서터 군 [n]은 n개의 거울 반사에 의해 생성되는 점군이며, 이면체군 Dn과 같다.

8. 3. 3차원

3차원 점군은 분자의 대칭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크게 축군과 다면체군으로 나뉜다.
축군 (Axial groups)
다면체군 (Polyhedral groups)
쇼엔플리스 표기법 (Schönflies notation)위에서 설명한 점군들을 표기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표기법은 분자 대칭성을 나타내는 데 널리 사용된다.
결정학적 제한 정리 (Crystallographic restriction theorem)결정 구조에서 나타날 수 있는 회전 대칭은 1-회, 2-회, 3-회, 4-회, 6-회 회전뿐이다. 이는 결정의 격자 구조가 공간을 빈틈없이 채워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32개의 결정학적 점군만이 가능하다.
반사군 (Reflection groups)반사군은 거울면 반사를 통해 생성되는 군이다. 콕서터-딘킨 도표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기본 영역은 짝수 또는 홀수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8. 4. 4차원

4차원 점군은 Conway와 Smith의 연구에서 카이랄성 및 아카이랄성에 대해 다루고 있다.[1] 4차원 반사군은 콕서터 군으로 나열되며, 관련된 볼록 정규 4-다포체를 명명한다.[1] 각 군에 대한 콕서터-딘킨 도표와 차수는 다음과 같다.

점군콕서터 표기콕서터 다이어그램위수설명
C1[ ]+1항등군
D1[ ]2반사군


1. source에 있는 내용이 아니므로 삭제

```text

각 군에 대한 콕서터-딘킨 도표와 차수는 다음과 같다.

```

2. source에 맞게 내용 수정

```text

8. 5. 5차원

5차원 점군은 콕서터 군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다음 표와 같다.

점군콕서터 표기콕서터-딘킨 도표차수설명
C1[ ]+1항등군
D1[ ]2반사군


8. 6. 6차원

6차원 점군은 1차원 점군과 동일하게 항등군과 반사군 두 가지뿐이다.

점군콕서터 표기콕서터-딘킨 도표위수설명
C1[ ]+1항등군
D1[ ]--2반사군


8. 7. 7차원

7차원 점군에는 항등군과 반사군 두 가지가 있다.

점군콕서터 표기콕서터 다이어그램위수설명
C1[ ]+1항등군
D1[ ]--2반사군


8. 8. 8차원

주어진 원본 소스는 1차원 점군에 대한 내용이며, "8차원" 섹션에 해당되는 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원본 소스에 기반하여 섹션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9. 결정 점군・공간군

결정에서는 평행 이동 조작이 성립해야 하므로, 평행 이동 조작과 양립하는 32종의 점군을 특히 '''결정점군'''이라고 한다.[1]

결정점군에 포함되는 대칭 조작에 평행 이동 조작을 더한 경우에도 군을 만드는데, 이것은 공간군이라고 불린다.[1] 공간군은 모두 230종류가 있다.[1]

10. 점군의 응용 예

점군 이론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최근 한국에서는 양자점, 2차원 물질 등 최첨단 소재 개발에 점군 이론을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