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남수는 1895년(또는 1891년) 평안남도 강서군 출생으로, 독립운동가이자 목회자이다. 안창호의 독립운동을 돕고 미국으로 건너가 유학했으며, 흥사단 창립 단원으로 활동했다. 미국에서 성결운동을 펼치며 '한국인 빌리 선데이'라는 별명을 얻었고, 귀국 후 성결교회 부흥운동을 이끌었다. 교단 분열 이후 하나님의교회를 설립하고 나사렛교회와 연계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해방 후 나사렛교회를 설립하고, 6.25 전쟁 이후에는 교회 재건에 힘썼다. 1965년 심장질환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성결교 - 나사렛대학교
1954년 설립된 나사렛대학교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신학 및 재활 분야에 특화된 교육을 제공하며 미국 나사렛교회와 협력하는 충청남도 천안시 소재 사립대학교이다. - 대한민국의 성결교 - 서울신학대학교
서울신학대학교는 1911년 경성성서학원으로 설립되어 서울신학교, 서울신학대학을 거쳐 1992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신학과 등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성결교도 - 정청래
정청래는 1965년생으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17·19·21·22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더불어민주당 수석최고위원을 역임했으며, 22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 대한민국의 성결교도 - 이왕표
'박치기왕' 김일의 제자였던 프로레슬링 선수 이왕표는 1975년 데뷔하여 WWA 헤비급 챔피언을 지냈고 격기도 창시, 영화 감수 등 다양한 활동을 하다 담낭암으로 사망했다. - 일제강점기의 목회자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일제강점기의 목회자 - 심명섭
심명섭은 일제강점기에 친일 행위를 한 목사로, 조선임전보국단에 참여하고 황민화 기독교를 옹호하는 글을 기고했으며, 광복 후 동생 심훈의 시집을 간행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남수 |
---|
2. 생애
2. 1. 유년기 및 청년기
1895년(또는 1891년) 11월 9일 평안남도 강서군에서 정용훈의 3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1907년에 기독교에 입문하였고 다음 해에 안창호가 평양에 세운 대성학교에 입학하였다.도산 안창호가 일경에 피검되어 경성에 압송됨에 따라 상경하여 옥중에 있는 도산의 사식 차입과 외부의 독립운동가들과의 연락을 담당하면서 독립운동에 투신하게 되었다. 1910년 도산이 석방과 함께 미국 망명 길에 오르자 그와 동행하여 중국 청도와 러시아의 모스크바와 영국을 경유하여 미국 뉴욕을 거쳐 로스엔젤레스로 망명하게 되었다. 1913년 흥사단이 창립되자 그 창립 단원이 되었고 그 후 독립자금 모금과 도산선생 가족을 돌보는 일을 하였다.
정남수가 미국을 가게 된 것은 미 만국성결교회 한국 선교부인 한국성결교회(당시 복음전도관) 총리 존 토마스의 도움으로 된 것이다. 그는 다수야 후나다 란 일본 이름의 여권으로 만국성결교단 도쿄 선교부를 거쳐, 동교단과 자매 교단인 영 만국성결교회를 거치고, 그 다음 캐나다를 거쳐 로스 앤젤레스에 왔다. 그는 여기서 미 신시내티 만국성결교회 가주(캘리포니아주) 지부인 캘리포니아성결대학(학력제한없음)을 다니다 미 신시내티 하나님의성서학교(학력제한없음)로 1913년 편입하여 당시 여권상 다수야 후나다 란 일본식 이름으로 1914년에 졸업하고 전도자가 되었다. 그는 사실상 어디에서도 고등학교 과정을 못마쳐 검정고시로 학력을 보충 한 다음, 1916년 켄터키 윌모어 애즈베리 대학교에 로버트 정으로 편입하여 1925년 10년만에 졸업하였다. 정남수는 일제강점기와 미국 이민생활 하에서 이름이 3번씩이나 바뀌는 당시 생생한 역사를 반영하고 있다.
2. 2. 목회 사역 및 성결운동
애스베리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각지에서 성결운동 천막부흥회를 인도하여 '한국인 빌리 선데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1926년 귀국하여 성결교회와 남감리교 양 교단에서 활동하다가, 1930년 성결교회 총회본부 전도부장 및 장막전도대 대장이 되어 대형 천막과 악대를 동원한 부흥운동을 전국적으로 전개하였다.1936년 성결교회 총회장 선거 문제로 교단이 분열되자, 이명직의 비리를 고발하고 하나님의교회로 분립, 미국 나사렛교회와 연결하였다. 민경배 교수는 정남수 목사를 한국 부흥운동사 제3기를 주도한 인물로 평가하였다.
1938년 반일, 친미주의자로 지목되어 옥고를 치렀으며, 고문으로 한쪽 눈을 실명하였다.
2. 3. 나사렛교회 설립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한국이 해방되자 미국으로 건너가 에즈베리신학교 동창들이 요인으로 많이 활동하고 있는 나사렛교회 지도자들을 만나 한국에 순수한 성결단체인 나사렛교회를 설립하기로 합의를 보고 귀국하였다.옛 성결교단 동지이자 성결교단 분열시 탈퇴한 목회자들이 가입되어있던 대한기독교 하나님의 교회 (약칭 '''하나님의 교회''')의 지도자들과 함께 당시 서울 서대문구 영천동에 있던 경성 영천교회(담임: 승학수 목사) 그리고 김승일 전도사와 그 가족을 중심으로 하는 홍파동의 독립교회를 합쳐, 이러한 세 개의 성결그룹이 1948년 4월 사직동의 정남수 목사 사택에서 미국의 나사렛 교회에 가입하여 이 땅에 진정한 성결 복음을 전하자는데 의견 일치를 보고 대한기독교 성교회(聖敎會)의 창립을 선언하였고, 그 해 10월에 내한한 극동 담당 니스 감독에 의해 정식 나사렛교회로 공인을 받았다.
이 때의 조직의 임원들을 보면 이사장에 정남수 목사, 총무에 서재철 목사, 재무에 안형주 목사, 신학교 책임자에 곽재근 목사, 서기에 승학수 목사로서 승학수 목사를 제외하곤 전부 조선 성결교단 출신의 목회자들이다.
정남수 목사는 후에 6. 25사변이 발발하자 미국으로 건너가 한국교회 재건과 구호품 수집에 주력하였고 1952년에 귀국하여 교회 재건과 교역자들을 돕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였다. 그는 국제본부에 신학교 설립을 위해 선교사 파송을 요청하는 한편 재단 설립을 서두르며 교단의 모양 갖추기에 주력하였다. 최초의 미국인 선교사 오은수 목사 (Dr. Donald Owens) 내외가 1954년 5월에 입국하자 그는 자기의 임무가 끝난 것으로 인식하고 그 해 8월 20일에 미국으로 건너가 은퇴를 선언하였다.
2. 4. 사망
1965년 7월 8일 정남수 목사는 심장질환으로 향년 71세로 사망했다. 유족으로는 부인과 3남 1녀를 남겼다.3. 평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