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다각형 테셀레이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다각형 테셀레이션은 평면을 정다각형으로 채우는 것을 연구하는 기하학의 한 분야이다. 유클리드 타일링의 표기법과 GomJau-Hogg 표기법을 통해 테셀레이션을 표현하며, 정규 타일링, 준정규 타일링, k-균일 타일링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정규 타일링은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으며, 준정규 타일링은 아르키메데스 타일링 또는 균일 타일링이라고도 불린다. k-균일 타일링은 꼭짓점의 궤도 수에 따라 분류되며, 변이 맞닿지 않는 테셀레이션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다각형 타일링 - 정사각형 테셀레이션
정사각형 테셀레이션은 유클리드 평면을 정사각형으로 빈틈없이 덮는 테셀레이션으로, 위상적으로 동일한 다양한 사변형 테셀레이션을 만들 수 있으며, 균일 색칠, 정다면체 및 테셀레이션 수열, 원 채우기와 관련된다. - 정다각형 타일링 - 정삼각형 테셀레이션
정삼각형 테셀레이션은 평면을 정삼각형으로 빈틈없이 채우는 구조로, 슐레플리 기호 {3,6}으로 표현되며, 다양한 수학적 개념 및 다른 삼각형 테셀레이션과 연관되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테셀레이션 - 준결정
준결정은 주기적인 결정 구조가 아닌 규칙적인 회절 패턴을 보이는 고체 물질이며, 댄 셰흐트만이 발견하여 201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다각형과 이코사헤드럴의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하고, 높은 열 및 전기 저항 등의 특성을 나타낸다. - 테셀레이션 - 펜로즈 테셀레이션
펜로즈 테셀레이션은 로저 펜로즈가 발견한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으로, 유한한 종류의 프로토타일로 평면을 채울 수 있으며, 초기 6개에서 2개로 줄어든 프로토타일을 사용하고 황금비와 관련되어 현대 건축 및 디자인에서 활용된다. - 유클리드 평면기하학 - 피타고라스 정리
피타고라스 정리는 직각삼각형에서 직각변의 제곱의 합이 빗변의 제곱과 같다는 정리로, a² + b² = c²으로 표현되며, 한 변의 길이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고, 여러 지역에서 알려졌으나 피타고라스 학파에 의해 체계화되었다고 전해진다. - 유클리드 평면기하학 - 스튜어트 정리
스튜어트 정리는 삼각형의 변과 체바 선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하학 정리이며, 아폴로니우스 정리를 포함하고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증명한다.
정다각형 테셀레이션 | |
---|---|
개요 | |
![]() | |
테셀레이션 유형 | 유클리드 테셀레이션 |
다각형 유형 | 볼록 정다각형 |
차원 | 2차원 |
공간 | 유클리드 평면 |
꼭지점 배열 | 3.3.3.3.3.3, 4.4.4.4, 3.6.3.6 |
대칭 그룹 | p6m, p4m, p3m1 |
설명 | |
정의 | 유클리드 평면을 겹치거나 틈 없이 채우는 볼록 정다각형의 배열 |
정칙 테셀레이션 | 모든 면이 동일한 정다각형이고, 모든 꼭지점이 동일한 배열을 갖는 테셀레이션 (3가지 존재) |
준정칙 테셀레이션 (아르키메데스 테셀레이션) | 둘 이상의 정다각형으로 구성되며, 모든 꼭지점이 동일한 배열을 갖는 테셀레이션 (8가지 존재) |
k-균일 테셀레이션 | k개의 서로 다른 꼭지점 배열을 갖는 테셀레이션 |
정칙 테셀레이션 | |
종류 | 3가지 |
구성 다각형 | 정삼각형 (3.3.3.3.3.3) 정사각형 (4.4.4.4) 정육각형 (6.6.6) |
꼭지점당 다각형 수 | 각각 6개, 4개, 3개 |
특징 | 가장 단순하고 대칭적인 형태의 테셀레이션 |
준정칙 (아르키메데스) 테셀레이션 | |
종류 | 8가지 |
구성 다각형 | 둘 이상의 정다각형 조합 |
예시 | 3.3.3.3.6 3.3.3.4.4 3.3.4.3.4 3.4.6.4 3.6.3.6 3.12.12 4.6.12 4.8.8 |
특징 | 정칙 테셀레이션보다 복잡하지만, 여전히 높은 대칭성을 가짐 |
k-균일 테셀레이션 | |
정의 | k개의 서로 다른 꼭지점 배열을 갖는 테셀레이션 |
종류 | k 값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 |
예시 | 2-균일, 3-균일 테셀레이션 등 |
특징 |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대칭성이 낮아질 수 있음 |
기타 테셀레이션 | |
비주기적 테셀레이션 | 반복되는 패턴이 없는 테셀레이션 (예: 펜로즈 타일링) |
쌍대 테셀레이션 | 기존 테셀레이션의 각 면의 중심을 연결하여 얻는 테셀레이션 |
보로노이 테셀레이션 | 평면 상의 점들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점을 연결하여 얻는 테셀레이션 |
응용 | |
건축 | 바닥, 벽면 디자인 등 |
예술 | 회화, 모자이크 등 |
과학 | 결정 구조 연구 등 |
컴퓨터 그래픽스 | 텍스처 생성 등 |
2. 유클리드 타일링의 표기법
Cundy & Rollett 표기법은 꼭짓점의 개수, 각 꼭짓점을 둘러싼 다각형의 개수(시계 방향), 각 다각형의 변의 개수를 순서대로 나타낸다.[18][1] 예를 들어 36; 36; 34.6은 세 개의 꼭짓점이 존재하며, 두 개의 꼭짓점은 각각 6개의 정삼각형으로, 나머지 한 꼭짓점은 4개의 정삼각형과 1개의 정육각형으로 둘러싸여 있음을 의미한다.[18][1] 이러한 타일링은 '3-균일(2-꼭짓점 종류)' 타일링이라고 한다.[18][1]
하지만 이 표기법은 두 가지 큰 문제점이 있다.[19][2] 첫째, 꼭짓점 간의 관계를 명확히 표현하지 못하여 표기법만으로 평면을 채우는 것이 불가능하다.[19][2] 둘째, 일부 타일링은 동일한 표기법으로 표현될 수 있어 각 테셀레이션을 구별할 수 없다.[19][2]
GomJau-Hogg 표기법[20][3]은 2012년에 제안되었다.[19][2] 이 표기법은 테셀레이션과 이중 격자의 생성 과정을 고려하며, 회전 및 반사와 같은 기하학적 변환을 이용하여 타일링을 표현한다. 무료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인 Antwerp v3.0[21][4]을 통해 GomJau-Hogg 표기법을 이용한 정다각형 테셀레이션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2. 1. Cundy & Rollett 표기법
Cundy & Rollett 표기법은 꼭짓점의 개수, 각 꼭짓점을 둘러싼 다각형의 개수(시계 방향), 각 다각형의 변의 개수를 순서대로 나타낸다.[18][1] 예를 들어 36; 36; 34.6은 세 개의 꼭짓점이 존재하며, 두 개의 꼭짓점은 각각 6개의 정삼각형으로, 나머지 한 꼭짓점은 4개의 정삼각형과 1개의 정육각형으로 둘러싸여 있음을 의미한다.[18][1] 이러한 타일링은 '3-균일(2-꼭짓점 종류)' 타일링이라고 한다.[18][1]하지만 이 표기법은 두 가지 큰 문제점이 있다.[19][2] 첫째, 꼭짓점 간의 관계를 명확히 표현하지 못하여 표기법만으로 평면을 채우는 것이 불가능하다.[19][2] 둘째, 일부 타일링은 동일한 표기법으로 표현될 수 있어 각 테셀레이션을 구별할 수 없다.[19][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omJau-Hogg의 표기법[20][3]이 2012년에 발표되었다.[19][2]
2. 2. GomJau-Hogg 표기법
Cundy & Rollett 표기법은 유클리드 타일링을 표현하는 데 널리 사용되지만,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닌다.[18][1] 이 표기법은 꼭짓점의 개수, 각 꼭짓점이 접하는 다각형의 개수(시계 방향), 각 다각형의 변의 개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36; 36; 34.6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꼭짓점을 가진 3개의 정점이 있음을 의미하며, '3-균일 (2-정점 유형)' 테셀레이션으로 분류된다.[18][1]하지만 이 표기법은 두 가지 주요 문제점을 갖는다.[19][2] 첫째, k-균일 타일링에서 꼭짓점 간의 관계를 설명하지 않아 표기법만으로 평면을 채우는 것이 불가능하다. 둘째, 일부 테셀레이션은 동일한 표기법을 가지지만, 육각형의 상대적 위치가 달라 서로 다른 테셀레이션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즉, Cundy & Rollett 표기법은 각 테셀레이션을 고유하게 식별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omJau-Hogg 표기법[20][3]이 2012년에 제안되었다.[19][2] 이 표기법은 테셀레이션과 이중 격자의 생성 과정을 고려하며, 회전 및 반사와 같은 기하학적 변환을 이용하여 타일링을 표현한다. 무료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인 Antwerp v3.0[21][4]을 통해 GomJau-Hogg 표기법을 이용한 정다각형 테셀레이션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3. 정규 타일링
Grünbaum과 Shephard(section 1.3)에 따르면, 정규 타일링은 타일링의 대칭군이 ''기점''(영어판)에 추이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말한다.[22] 여기서 기(旗, flag)는 한 꼭짓점, 그 꼭짓점에 인접한 한 모서리, 그 꼭짓점과 모서리에 동시에 인접한 한 면 (기하학) 3가지를 말한다.[22] 다시 말해서 어떤 쌍의 ''기점''에도, 첫 번째에서 두 번째 기점으로의 대칭 작용이 있다는 것이다.[22]
정규 타일링은 합동인 정다각형을 통해 모서리 대 모서리로 만들어지는 타일링과 동치이다.[22] 세 가지 정규 타일링은 정삼각형 6개, 정사각형 4개, 정육각형 3개가 한 꼭짓점에 모일 때 가능하다.[22]
정규 타일링이 3개뿐이라는 것은 비교적 쉽게 증명할 수 있다.[22] 정n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인데, 정규 타일링은 모서리 대 모서리 타일링이고 한 종류의 정다각형만 사용하므로 한 내각의 크기가 360°의 약수여야 한다.[22] n이 최소인 3일 때 60°이고 n값에 상관없이 180°보다 작으므로 가능한 경우는 60°, 90°, 120°가 있다.[22] 이 중 실제로 가능한 것은 60°의 정삼각형, 90°의 정사각형, 120°의 정육각형 뿐이다.[22]
p6m, *632 | p4m, *442 | |
---|---|---|
C&R: 36 | C&R: 63 | C&R: 44 |
''C&R: Cundy & Rollet의 표기법''
''GJ-H: GomJau-Hogg의 표기법''
3. 1. 정규 타일링의 종류
Grünbaum과 Shephard(section 1.3)에 따르면, 정규 타일링은 타일링의 대칭군이 ''기점''(영어판)에 추이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말한다.[22] 여기서 기(旗, flag)는 한 꼭짓점, 그 꼭짓점에 인접한 한 모서리, 그 꼭짓점과 모서리에 동시에 인접한 한 면 (기하학) 3가지를 말한다.[22] 다시 말해서 어떤 쌍의 ''기점''에도, 첫 번째에서 두 번째 기점으로의 대칭 작용이 있다는 것이다.[22]정규 타일링은 합동인 정다각형을 통해 모서리 대 모서리로 만들어지는 타일링과 동치이다.[22] 세 가지 정규 타일링은 정삼각형 6개, 정사각형 4개, 정육각형 3개가 한 꼭짓점에 모일 때 가능하다.[22]
정규 타일링이 3개뿐이라는 것은 비교적 쉽게 증명할 수 있다.[22] 정n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인데, 정규 타일링은 모서리 대 모서리 타일링이고 한 종류의 정다각형만 사용하므로 한 내각의 크기가 360°의 약수여야 한다.[22] n이 최소인 3일 때 60°이고 n값에 상관없이 180°보다 작으므로 가능한 경우는 60°, 90°, 120°가 있다.[22] 이 중 실제로 가능한 것은 60°의 정삼각형, 90°의 정사각형, 120°의 정육각형 뿐이다.[22]
p6m, *632 | p4m, *442 | |
---|---|---|
C&R: 36 | C&R: 63 | C&R: 44 |
''C&R: Cundy & Rollet의 표기법''
''GJ-H: GomJau-Hogg의 표기법''
3. 2. 정규 타일링의 증명
정규 타일링이 3개뿐이라는 것은 비교적 쉽게 증명할 수 있다. 정n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인데, 정규 타일링은 모서리 대 모서리 타일링이고 한 종류의 정다각형만 사용하므로 한 내각의 크기가 360°의 약수여야 한다.[22] n이 최소인 3일 때 60°이고 n값에 상관없이 180°보다 작으므로 가능한 경우는 60°, 90°, 120°가 있다.[22] 이 중 실제로 가능한 것은 60°의 정삼각형, 90°의 정사각형, 120°의 정육각형 뿐이다.[22]Grünbaum과 Shephard(section 1.3)에 따르면, 정규 타일링은 타일링의 대칭군이 ''기점''에 추이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기(旗, flag)는 한 꼭짓점, 그 꼭짓점에 인접한 한 모서리, 그 꼭짓점과 모서리에 동시에 인접한 한 면 (기하학) 3가지를 말한다. 다시 말해서 어떤 쌍의 ''기점''에도, 첫 번째에서 두 번째 기점으로의 대칭 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정규 타일링은 합동인 정다각형을 통해 모서리 대 모서리로 만들어지는 타일링과 동치이다. 세 가지 정규 타일링은 정삼각형 6개, 정사각형 4개, 정육각형 3개가 한 꼭짓점에 모일 때 가능하다.
p6m, *632 | p4m, *442 | |
---|---|---|
C&R: 36 | C&R: 63 | C&R: 44 |
''C&R: Cundy & Rollet의 표기법''
4. 준정규 타일링 (아르키메데스 타일링, 균일 타일링)
점추이는 임의의 한 쌍의 꼭짓점에 첫 번째에서 두 번째 꼭짓점으로 가는 대칭 작용이 있다는 것이다.[23] 기(flag)추이의 조건이 점추이 중 하나로 약해지면, 모서리 대 모서리라는 조건이 있을 때 8개의 타일링이 더 가능하다. 이를 ''아르키메데스'', ''균일''(고른), ''준정규'' 타일링이라고 한다. 34.6 타일링은 카이랄성을 지녀서 두 거울상이 있다. 다른 나머지 정규 또는 준정규 타일링은 카이랄성이 없다.
Grünbaum과 Shephard는 이런 타일링이 각 꼭짓점의 타일 배치가 같다는 부분적(local) 특성만 지키기 때문에 ''아르키메데스''라고 불렀다. 또 점특이의 전체적(global) 특성을 만족하기 때문에 ''균일''하다(고르다)고 했다. 평면에서는 같은 집합의 타일링을 말하지만, 다른 공간에서는 아르키메데스 타일링 중 고르지 않은 것도 있다.[5]
4. 1. 준정규 타일링의 종류
점추이는 임의의 한 쌍의 꼭짓점에 첫 번째에서 두 번째 꼭짓점으로 가는 대칭 작용이 있다는 것이다.[23] 기(flag)추이의 조건이 점추이 중 하나로 약해지면, 모서리 대 모서리라는 조건이 있을 때 8개의Grünbaum과 Shephard는 각 꼭짓점의 타일 배치가 같다는 부분적(local) 특성 때문에 ''아르키메데스''라고 불렀고, 점특이의 전체적(global) 특성을 만족하기 때문에 ''균일''하다(고르다)고 했다.[5]
- 3.122
- 3.4.6.4
- 4.6.12
- (3.6)2
- 4.82
- 32.4.3.4
- 33.42
- 34.6 - 카이랄성을 지녀서 두 거울상이 있다.
4. 2. 카이랄성
다듬은 정육각형 타일링(34.6)은 카이랄성을 지녀서 두 거울상이 있다.[23][5] 다른 나머지 정규 또는 준정규 타일링은 카이랄성이 없다.5. 평면-꼭짓점 타일링
평면-꼭짓점 타일링을 형성하는 정다각형의 조합은 17가지이며, 21가지 유형의 평면-꼭짓점 타일링을 이룬다.[6][7] 이들 다각형은 겹치거나 간격 없이 한 점에서 만난다. 꼭짓점 도형에 따라 나열하면, 한 개는 6개의 다각형, 세 개는 5개의 다각형, 일곱 개는 4개의 다각형, 열 개는 3개의 다각형을 갖는다.[8]
이 중 세 개는 정규 타일링을, 여덟 개는 준정규 또는 아르키메데스 타일링을 만들 수 있다. 이 중 네 개는 더 높은 차수의 ''k''-균일 타일링에 존재할 수 있으며, 여섯 개는 겹치거나 간격 없이 정다각형으로 평면을 완전히 타일링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즉, 불규칙 다각형이 포함된 경우에만 공간을 완전히 테셀레이션한다.[9]
6 | 36 | |||||||||
---|---|---|---|---|---|---|---|---|---|---|
5 | 3.3.4.3.4 | 3.3.3.4.4 | 3.3.3.3.6 | |||||||
4 | 3.3.4.12 | 3.4.3.12 | 3.3.6.6 | (3.6)2 | 3.4.4.6 | 3.4.6.4 | 44 | |||
3 | 3.7.42 | 3.8.24 | 3.9.18 | 3.10.15 | 3.12.12 | 4.5.20 | 4.6.12 | 4.8.8 | 5.5.10 | 63 |
6. k-균일 타일링
wikitext
이러한 주기적 타일링은 꼭짓점, 변, 타일의 궤도 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10] 꼭짓점의 궤도가 ''k''개이면, 타일링은 ''k''-균일 또는 ''k''-등각이라고 하며, 타일의 궤도가 ''t''개이면 ''t''-등면, 변의 궤도가 ''e''개이면 ''e''-등측이라고 한다.
같은 꼭짓점 도형을 가진 ''k''-균일 타일링은 벽지 군 대칭에 의해 더 식별될 수 있다.[10]
1-균일 타일링에는 3개의 정규 타일링과 2개 이상의 유형의 정다각형 면을 가진 8개의 준정규 타일링이 포함된다. 20개의 2-균일 타일링, 61개의 3-균일 타일링, 151개의 4-균일 타일링, 332개의 5-균일 타일링, 673개의 6-균일 타일링이 있다. 각각은 서로 다른 꼭짓점 도형의 수 ''m''으로 그룹화될 수 있으며, 이는 ''m''-아르키메데스 타일링이라고도 한다.[10]
마지막으로, 꼭짓점 유형의 수가 균일성(아래의 ''m'' = ''k'')과 같으면 해당 타일링을 ''Krotenheerdt''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균일성은 꼭짓점 유형의 수보다 크거나 같다(''m'' ≥ ''k''). 서로 다른 유형의 꼭짓점은 필연적으로 서로 다른 궤도를 갖지만 그 반대는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10]
6. 1. k-균일 타일링의 분류
주기적 타일링은 꼭짓점, 변, 타일의 궤도 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10] 꼭짓점의 궤도가 ''k''개이면, 타일링은 ''k''-균일 또는 ''k''-등각이라고 하며, 타일의 궤도가 ''t''개이면 ''t''-등면, 변의 궤도가 ''e''개이면 ''e''-등측이라고 한다.같은 꼭짓점 도형을 가진 ''k''-균일 타일링은 벽지 군 대칭에 의해 더 세분화될 수 있다.[10]
1-균일 타일링에는 3개의 정규 타일링과 2개 이상의 유형의 정다각형 면을 가진 8개의 준정규 타일링이 포함된다. 2-균일 타일링은 20개, 3-균일 타일링은 61개, 4-균일 타일링은 151개, 5-균일 타일링은 332개, 6-균일 타일링은 673개가 존재하며, 각각은 서로 다른 꼭짓점 도형의 수 ''m''으로 그룹화될 수 있으며, 이는 ''m''-아르키메데스 타일링이라고도 한다.[10]
꼭짓점 유형의 수가 균일성과 같은 타일링을 ''Krotenheerdt''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균일성은 꼭짓점 유형의 수보다 크거나 같다. 서로 다른 유형의 꼭짓점은 필연적으로 서로 다른 궤도를 갖지만 그 반대는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10]
6. 2. k-균일 타일링의 예시 (2-균일 타일링)
유클리드 평면에는 20개의 2-균일 타일링이 존재한다.[14][15] 각 타일링은 꼭짓점 유형에 따라 나열되며, 동일한 꼭짓점 유형을 공유하는 경우 아래첨자를 사용하여 구분한다.p6m, *632 | p4m, *442 | |||||
---|---|---|---|---|---|---|
[36; 32.4.3.4] | [3.4.6.4; 32.4.3.4] | [3.4.6.4; 33.42] | [4.6.12; 3.4.6.4] | [36; 32.4.12] | [3.12.12; 3.4.3.12] | |
p6m, *632 | p6, 632 | p6, 632 | cmm, 2*22 | pmm, *2222 | cmm, 2*22 | pmm, *2222 |
[36; 32.62] | [36; 34.6]1 | [3.42.6; 3.6.3.6]2 | ||||
p4g, 4*2 | pgg, 22× | cmm, 2*22 | cmm, 2*22 | pmm, *2222 | cmm, 2*22 | |
[33.42; 32.4.3.4]1 | [33.42; 32.4.3.4]2 |
7. 변이 맞닿지 않는 타일링
볼록 정다각형은 변과 변이 닿지 않는 평면 테셀레이션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테셀레이션은 인접한 변이 일직선상에 있는 비정규 다각형으로 간주될 수 있다.[17]
등각 도형에는 7가지 종류가 있으며, 각 종류는 인접한 타일의 변 사이의 겹침 또는 다른 타일의 변 길이 간의 비율을 결정하는 실수 값의 매개변수를 갖는다. 두 종류는 이동된 사각형, 즉 점진적 또는 지그재그 위치에서 생성된다. Grünbaum과 Shephard는 이러한 테셀레이션을 "균일"이라고 부르지만, 이는 변과 변이 닿는 정다각형을 요구하는 Coxeter의 균일성 정의와 모순된다.[17] 이러한 등각 테셀레이션은 실제로 다른 기하학적 비율을 갖는 균일 테셀레이션과 위상학적으로 동일하다.
1 | 2 | 3 | 4 | 5 | 6 | 7 |
---|---|---|---|---|---|---|
![]() | ![]() | ![]() | ||||
cmm (2*22) | p2 (2222) | cmm (2*22) | p4m (*442) | p6 (632) | p3 (333) | |
육각형 테셀레이션 | 사각형 테셀레이션 | 절단된 사각형 테셀레이션 | 절단된 육각형 테셀레이션 | 육각형 테셀레이션 | 삼육각형 테셀레이션 |
7. 1. 등각 타일링
볼록 정다각형은 변과 변이 닿지 않는 평면 테셀레이션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테셀레이션은 인접한 변이 일직선상에 있는 비정규 다각형으로 간주될 수 있다.[17]등각 도형에는 7가지 종류가 있으며, 각 종류는 인접한 타일의 변 사이의 겹침 또는 다른 타일의 변 길이 간의 비율을 결정하는 실수 값의 매개변수를 갖는다. 두 종류는 이동된 사각형, 즉 점진적 또는 지그재그 위치에서 생성된다. Grünbaum과 Shephard는 이러한 테셀레이션을 "균일"이라고 부르지만, 이는 변과 변이 닿는 정다각형을 요구하는 Coxeter의 균일성 정의와 모순된다.[17] 이러한 등각 테셀레이션은 실제로 다른 기하학적 비율을 갖는 균일 테셀레이션과 위상학적으로 동일하다.
1 | 2 | 3 | 4 | 5 | 6 | 7 |
---|---|---|---|---|---|---|
cmm (2*22) | p2 (2222) | cmm (2*22) | p4m (*442) | p6 (632) | p3 (333) | |
육각형 테셀레이션 | 사각형 테셀레이션 | 절단된 사각형 테셀레이션 | 절단된 육각형 테셀레이션 | 육각형 테셀레이션 | 삼육각형 테셀레이션 |
8. 한국적 응용 및 의의
8. 1. 현대적 응용
8. 2.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추가적인 의의
참조
[1]
서적
Mathematical Models;
Tarquin Publications
1981
[2]
논문
Generation and Nomenclature of Tessellations and Double-Layer Grids
https://ascelibrary.[...]
2012
[3]
논문
GomJau-Hogg's Notation for Automatic Generation of k-Uniform Tessellations with ANTWERP v3.0
2021
[4]
웹사이트
Antwerp 3.0
https://antwerp.hogg[...]
[5]
서적
Order in Space: A Design Source Book
Thames and Hudson
1969
[6]
간행물
The Elements of Plane Practical Geometry, Etc
https://books.google[...]
John W. Parker & Son
[7]
문서
Tilings and patterns
[8]
문서
Tilings and patterns
[9]
웹사이트
Pentagon-Decagon Packing
https://blogs.ams.or[...]
AMS
2022-03-07
[10]
웹사이트
k-uniform tilings by regular polygons
http://www2.math.uu.[...]
2009
[11]
웹사이트
n-Uniform Tilings
http://probabilitysp[...]
2019-06-21
[12]
웹사이트
Number of n-uniform tilings.
2023-01-07
[13]
웹사이트
Enumeration of n-uniform k-Archimedean tilings
https://zenorogue.gi[...]
2024-08-24
[14]
문서
Tilings and patterns
1986
[15]
웹사이트
In Search of Demiregular Tilings
http://www.math.nus.[...]
2015-06-04
[16]
논문
TILINGS BY REGULAR POLYGONS III: DODECAGON-DENSE TILINGS
2014
[17]
웹사이트
Tilings by regular polygons
http://www.maa.org/s[...]
[18]
서적
Mathematical Models;
Tarquin Publications
1981
[19]
논문
Generation and Nomenclature of Tessellations and Double-Layer Grids
https://ascelibrary.[...]
2012
[20]
논문
GomJau-Hogg’s Notation for Automatic Generation of k-Uniform Tessellations with ANTWERP v3.0
https://doi.org/10.3[...]
2021
[21]
웹인용
Antwerp 3.0
https://antwerp.hogg[...]
[22]
웹인용
다각형의 변신 (2부) 꽃담에 숨은 다각형의 원리
https://www.ebsmath.[...]
[23]
서적
Order in Space: A Design Source Book,
Thames and Hudson
196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