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동심곡바다부채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동심곡바다부채길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위치한 해안 탐방로이다. 정동진의 '정동'과 심곡의 '심곡'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바다를 향해 부채를 펼쳐 놓은 듯한 해안 절경을 감상할 수 있어 '바다부채길'로 불린다. 1996년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으로 군사 통제 구역이었으나, 2016년 10월 일반에 개방되었다. 총 3.01km의 코스로, 부채바위, 투구바위 등 명소를 지나며, 2022년 10월 재개장했다. 또한, 평안 누층군의 다양한 지질 구조와 강감찬 장군과 관련된 전설을 간직하고 있다.

2. 역사적 배경


2. 1. 명칭 유래

정동심곡바다부채길에서 '정동'은 정동진의 정동(征東)을 뜻하며, '심곡'은 깊은 골짜기(深谷)를 의미한다. '바다부채길'이라는 이름은 하늘에서 보았을 때 바다를 향해 부채를 펼쳐 놓은 듯한 지형의 모습에서 유래했다.[1][2][3]

2. 2. 군사 지역 및 개방

1996년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이후 해안 경비를 위해 제23보병사단이 주둔하면서 정동심곡바다부채길은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었다. 오랫동안 군 경계근무 정찰로로만 사용되다가 2012년부터 강릉시가 70억을 들여 개발, 2016년 10월 일반에 개방하였다. 2017년 6월부터 8월까지 109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방문할 정도로 인기를 얻었으나, 2020년 태풍 하이선과 마이삭의 피해로 폐쇄되었다가 2022년 10월 전면 재개장하였다.[1][2][3]

3. 코스 및 시설

정동심곡바다부채길은 해파랑길 35구간에 포함되지 않으며,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 심곡항 북쪽의 매표소에서 정동진 해안단구의 정동항 매표소까지 이어진다. 중간에 부채바위, 투구바위 등의 명소가 있다. 심곡항에는 무료 공영주차장(강릉시 강동면 심곡리 157-22)이 있다. 정동항에서 몽돌해변까지는 계단이 없어 노약자, 장애인,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누구나 이용할 수 있어 '무장애 관광도시'라는 의미를 지닌다.

3. 1. 코스 정보

정동심곡바다부채길은 해파랑길 35구간에 포함되지 않는다. 정동심곡 바다부채길은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 심곡항 북쪽의 매표소에서 정동진 해안단구의 정동항 매표소까지 총 3.01km로 이어지며 중간에 부채바위, 투구바위 등의 명소가 있다. 무료 주차장은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 심곡항의 공영주차장(강릉시 강동면 심곡리 157-22)이 있다. 신규 개장 구간은 정동항에서 몽돌해변까지 계단이 없어 노약자, 장애인,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누구나 즐길 수 있어 '무장애 관광도시'라는 더욱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3. 2. 편의 시설

심곡항에는 무료 공영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 157-22) 정동매표소 주변에는 주차장이 없어 외부 주차장을 이용한 후 걸어서 이동해야 한다.

3. 3. 개방 시간

하절기(4~10월)에는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동절기(11~3월)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개방하며, 기상 악화 시 출입이 통제된다.[4]

2024년 강릉관광개발공사는 8월 25일까지 금·토·일요일에 정동·심곡 바다부채길을 조기 개장(오전 8시)하고, 정동항 매표소에서 몽돌해변 광장까지 야간 개장(오후 6시 ~ 오후 8시 30분)을 시행한다고 밝혔다.[4]

3. 4. 유의 사항

정동심곡바다부채길은 바다와 퇴적암평안 누층군으로 구성된 절벽에 매우 가까워 파도와 낙석에 주의해야 한다. 낙석에 대비해 입구에서 안전모를 제공한다. 탐방로에는 화장실이 없으며, 탐방로 대부분이 구멍이 뚫린 철판으로 되어 있어 구두를 신을 수 없다. 바다부채길 탐방로 내 군부대 시설물은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에 따라 사진 촬영과 인터넷 노출이 금지되며, 동식물 채집 및 토석 채취 행위와 반려동물 동반도 금지된다.[5]

3. 5. 입장료

정동심곡바다부채길은 유료로 운영되며 입장료는 아래와 같다. 2023년 물가 인상 등의 이유로 일반 개인 관광객의 입장료는 3000KRW에서 5000KRW으로, 단체 관광객은 2500KRW에서 4500KRW으로 각각 인상되었다.[6]

정동심곡바다부채길 입장료 (원)
구분개인30인 이상 단체
일반 관광객일반5000KRW4500KRW
중고등학생 및 군경4000KRW3500KRW
초등학생3000KRW2500KRW
강릉시 및 교류도시 시민일반3000KRW
중고등학생 및 군경2500KRW
초등학생1500KRW
무료 : 만 65세 이상, 국가유공자,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등

4. 문화유산 및 전설

정동심곡바다부채길에는 평안 누층군퇴적암 지층으로 구성된 투구바위와 부채바위가 있으며, 이 바위들에는 각각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4. 1. 부채바위

부채바위는 평안 누층군퇴적암으로 구성되며 층리가 서쪽으로 기울어 있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4. 2. 투구바위와 육발호랑이

투구바위는 평안 누층군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투구를 쓴 장수의 모습과 닮아 투구바위라고 불린다. 이 바위에는 고려 강감찬 장군과 관련된 설화가 전해 내려온다. 투구바위 일대에서는 습곡 구조가 관찰된다.[1]

이 지역 주민들은 예로부터 이 바위의 생김새가 투구를 쓴 장수의 모습과 닮았다고 하여 투구바위라 불렀다. 또한, 이 지역에는 강감찬 장군과 관련된 육발호랑이 설화가 전해 내려오는데, 육발호랑이는 발가락이 여섯 개인 무서운 호랑이를 말한다.[1]

옛날 육발호랑이가 밤재길을 넘어가는 사람들을 노려보다가 스님으로 변해 내기 바둑을 제안하고, 이기면 사람들을 잡아먹었다. 당시 강릉으로 가는 길은 밤재길뿐이라 많은 사람들이 호랑이에게 희생되었다. 강감찬 장군이 강릉에 부임하여 육발호랑이에게 '이 편지를 받는 즉시 이곳을 떠나거라. 만약 떠나지 않으면 네 일족을 멸하겠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육발호랑이는 강감찬 장군임을 알아보고 백두산으로 도망갔고, 그 후로는 인명 피해가 사라졌다고 한다. 동해 바다를 바라보는 투구바위의 모습은 용맹스러운 강감찬 장군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1]

5. 지질

정동심곡 바다부채길에서는 평안 누층군 함백산층의 역질/조립질사암, 셰일과 경사층리, 사층리, 습곡, 암맥 등 다양한 지질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특히 바다부채길을 따라서는 소규모 암맥이 다수 관찰된다.

5. 1. 개요

정동심곡 바다부채길은 평안 누층군 함백산층의 역질/조립질사암, 셰일과 경사층리, 사층리, 습곡, 암맥 등 다양한 지질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곳이다. 특히 바다부채길을 따라 드러난 평안 누층군에는 소규모 암맥이 다수 관찰된다.

5. 2. 주요 지질 구조

정동심곡 바다부채길에서는 평안 누층군 함백산층의 역질/조립질사암, 셰일과 경사층리, 사층리, 습곡, 암맥 등 다양한 지질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특히 바다부채길을 따라 드러난 평안 누층군에는 소규모 암맥이 많이 나타난다.

  • 층리: 퇴적물이 겹겹이 쌓여 만들어진 줄무늬 구조이다.
  • 사층리: 경사진 층리가 나타나는 구조로, 과거 물이나 바람의 방향을 알 수 있다.
  • 습곡: 지층이 옆에서 미는 힘(횡압력)을 받아 휘어진 구조이다.
  • 암맥: 마그마가 기존 암석의 틈을 따라 들어와(관입) 굳어진 암석이다.

5. 3. 지질 사진 자료

정동심곡 바다부채길에서는 평안 누층군 함백산층의 역질/조립질사암, 셰일과 경사층리, 사층리, 습곡, 암맥 등 다양한 지질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특히 바다부채길을 따라 드러난 평안 누층군에는 소규모 암맥이 다수 관찰된다.

서쪽으로 경사진 평안 누층군층리


평안 누층군의 조립질사암


평안 누층군의 조립질사암


평안 누층군을 관입한 암맥





평안 누층군을 관입한 암맥


남서쪽으로 경사진 평안 누층군


남서쪽으로 경사진 평안 누층군


부채바위와 서쪽으로 경사하는 평안 누층군


평안 누층군의 사층리










투구바위 정면


투구바위 측면


투구바위 부근 습곡


평안 누층군을 관입한 암맥


서쪽으로 경사진 평안 누층군


평안 누층군을 관입한 암맥


경사층


하부 백색사암과 상부 흑색셰일






평안 누층군을 관입한 암맥


해안의 경사층

참조

[1] 뉴스 "[강릉소식] 태풍 피해 정동심곡 바다부채길 단축 운영"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9-25
[2] 뉴스 "[서소문사진관] 2300만년전 해안단구 즐기는 정동심곡바다부채길"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8-09-04
[3] 뉴스 "강릉 '정동심곡 바다부채길' 10월부터 전면 재개장" https://m.khan.co.kr[...] 경향신문 2022-09-30
[4] 뉴스 "해안가 걷기 명소 강릉 ‘정동·심곡 바다부채길’ 매주 금·토·일요일 조기 개장" https://m.khan.co.kr[...] 경향신문 2024-07-05
[5] 웹인용 바다부채길 소개 https://searoad.gtdc[...] 정동심곡바다부채길 공식 사이트
[6] 뉴스 강릉시, 정동심곡 바다부채길 입장료 인상 추진 https://news.kbs.co.[...] 2023-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