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태섭 (미술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태섭은 뇌신경영상의학 전문의이자 엑스레이 아트(X-Ray Art)의 창시자이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뇌, 척추 및 두경부 영상 분야에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2003년 문화 평론가로 시작하여, MBC TV 어린이 과학 프로그램 MC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에서 진료 중이다. 그는 과학과 예술의 융합을 시도하여, 엑스레이 아트를 통해 개인전과 단체전을 개최하고, 작품을 초·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등에 수록했다. 또한 과학 대중화 활동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활동을 통해 과학과 인문학의 교류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제대학교 교수 - 김규환 (1956년)
    김규환은 품질관리 전문가이자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대우중공업에서 오랫동안 근무하며 국가품질명장으로 선정될 정도로 전문성을 인정받았고,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내며 정계에 입문하여 산업통상자원위원회 활동과 자유한국당 당직을 역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 인제대학교 교수 - 서상목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서상목은 세계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에서 근무하고 제13, 14, 15대 국회의원, 보건복지부 장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데일리경제 회장이다.
  • 해주 정씨 - 정웅인
    정웅인은 1996년 데뷔 후 다양한 작품에서 활동하다 2013년 드라마 《너의 목소리가 들려》에서 악역을 맡아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악역 연기와 예능 프로그램 출연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높인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해주 정씨 - 정난교
    정난교는 1863년 출생하여 개화 운동에 참여하고 일본 유학 후 갑신정변에 가담했으나, 귀국 후 친일 행위를 하며 조선총독부 관료로 활동하다 1944년에 사망하여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원 동문 - 신의진
    신의진은 대한민국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이자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으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소아정신과 의사로 활동하며 아동 성폭력 문제 해결에 기여했고,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아동 및 여성 대상 범죄에 대한 법률 제정 및 개정에 힘썼으나, 조두순 사건 피해 아동의 이름을 공개적으로 언급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원 동문 - 정의화
    정의화는 신경외과 의사 출신으로 15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5선 의원, 국회 부의장, 한나라당 원내대표, 최고위원을 거쳐 19대 후반기 국회의장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정태섭 (미술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어 이름鄭台燮
출생일1954년 6월 12일 ()
출생지대한민국 경상남도 부산
직업영상의학과 의사
문화 평론가
저술가
엑스레이 미술가
대학 교수
사회기관단체인
분야영상의학
과학 평론
저술
엑스레이 아트
경력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군의무관 대위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
수상대한방사선의학회 학술상 장려상
대한방사선의학회 학술상 우수상
학력인제대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주요 작품그래픽 미술품
《꽃의 빅뱅》
웹사이트정태섭 의학박사 홈페이지

2. 이력

2003년 문화평론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2007년에는 엑스레이 아트(X-Ray Art) 창시자로 엑스레이 미술가로도 활동하였다.

2. 1. 의학 및 학술 활동

정태섭 교수는 뇌신경영상의학 전문의로 뇌, 척추 및 두경부 영상 분야에 다수의 국제적 논문 업적을 발표하였으며, 최근 관심 영역을 의학뿐만 아니라 과학, 예술, 인문학까지 확장하고 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문화방송(MBC TV)에서 어린이 과학 프로그램 《아하 그렇구나!》의 진행을 맡았다. 영상의학과 전문의이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재직하다 정년퇴임 후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에서 진료 중이다.

2. 2. 과학 대중화 활동

정태섭은 뇌신경영상의학 전문의로 뇌, 척추 및 두경부 영상분야에 다수의 국제적 논문 업적을 발표하였으며, 최근 관심 영역을 의학뿐만 아니라 과학, 예술과 인문학에까지 확장하고 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MBC TV 어린이 과학 프로그램 《아하 그렇구나!》의 진행 MC를 맡았다.

2. 3. 예술 활동 (엑스레이 아트)

정태섭은 2007년 엑스레이 미술가로 입문하여 엑스레이 아트(X-Ray Art)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그의 작품은 초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7종과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과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다.

3. 경력

그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1973-1979년)을 졸업하고, 연세의료원 영상의학과에서 전공의 과정을 거쳐 전문의를 취득하였다(1980-1983년). 1987년 군 복무를 마치고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전임강사로 발령받아 현재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92년부터 1993년까지 미국 펜실베이니아 의과대학에서 연구 교수로 있었다. 이후 그는 과학의 일반화, 과학과 예술의 융합, 과학과 인문학의 교류를 시도하고 있다.

그는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장 (2010-2012년), 대한신경두경부영상의학회 회장 (2009-2011년), 국제자기공명혈관촬영학회 조직위원장 (2010년)을 역임했다. 또한, 대한핵의학전문의(1997년),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특수면허(1987년), 대한방사선종양학전문의(1983년), 대한영상의학전문의(1983년) 자격을 취득했다.

3. 1. 학회 활동

정태섭의 학회 활동
구분학회명가입 기간
국내대한영상의학회1983년 - 현재
국내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1996년 - 현재
국내대한신경두경부영상의학회1987년 - 현재
국외북미영상의학회(RSNA)1989년 - 현재
국외국제자기공명영상학회(ISMRM)1997년 - 현재
국외국제자기공명혈관조영미팅(International Magnatic Resonance Angiography Meeting)1999년 - 현재


3. 2. 주요 의학적 관심 분야

정태섭의 의학적 전문 분야는 뇌, 척추 및 두경부 영상의학이며, 주로 자기공명영상(MRI)을 이용한 임상 및 실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 내용은 2011년 5월 6일 EBS TV 명의 204회를 통해 소개되었다.

  •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뇌 기능 연구
  •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뇌혈관 연구
  •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척추 영상 연구

3. 3. 대표 논문

연도논문 제목 및 정보
2015정태섭(Tae-Sub Chung), 양혜은(Hea-Eun Yang), 안성준(Sung Jun Ahn), 박정현(Jung Hyun Park). Herniated lumbar disks: Real-time MR imaging during continuous traction. Radiology 275:755-762
2015조은석(Eun-Suk Cho), 정태섭(Tae-Sub Chung), 안성준(Sung Jun Ahn), 정경훈(KyoungHoon Chong), 백장훈(Jang Hun Baek), 서상현(Sang Hyun Suh). Cerebral Computed angiography using a 70kVp protocol: improved enhancement with a reduced volume of contrast medium and radiation dose. Eur Radiol 25:1421-1430
2012최수희(Soo-Hee Choi), 이형래(Hyeongrae Lee), 정태섭(Tae-Sub Chung), 박경민(Kyung-Min Park), 정영철(Young-Chul Jung), 김선(Sun I Kim), 김재진(Jae-Jin Kim). Neural Network Functional Connectivity During and After an Episode of Delirium. Am J Psychiatry. 169(5):498-507
2012조은석(Eun-Suk Cho), 정태섭(Tae-Sub Chung), 오대근(Dae Kun Oh), 최현석(Hyun Seok Choi), 서상현(Sang Hyun Suh), 이현경(Hyeon-Kyeong Lee), 이경희(Kyung Hee Lee). Cerebral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Using a Low Tube Voltage (80kVp) and a Moderate Concentration of Iodine Contrast Material. Investigative Radiology. 47(2):142-147
2011박아영(Ah Young Park), 정태섭(Tae-Sub Chung), 서상현(Sang Hyun Suh), 최현석(Hyun Seok Choi), 이윤희(Yun Hee Lee). Asymmetric Dilatation of Virchow-Robin Space in Unilateral Internal Carotid Artery Steno-Occlusive Disease. J Comput Assist Tomogr. 35(2):298-302
2010이영준(Young-Jun Lee), 정태섭(Tae-Sub Chung), 임윤철(Yoon-Chul Rhim), 서상현(Sang-Hyun Suh), Thomas K.F. Foo. Echocardiogram-Gated Computed Tomographic and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ies for the Detection of Pulsatile Expansion at the Intracranial Arterial Bifurcation. J Comput Assist Tomogr. 34(6): 842-846
2010홍유진(Yoo Jin Hong), 정태섭(Tae-Sub Chung), 서상현(Sang Hyun Suh), 박철환(Chul Hwan Park), Geetanjali Tomar, 서권덕(Kwon Duk Seo), 김긍식(Keung Sik Kim), 박인국(In Kook Park). The angioarchitectural factors of the cerebral developmental venous anomaly; can they be the causes of concurrent sporadic cavernous malformation? Neuroradiology. Oct;52(10):883-91
2008박철환(Park CH), 정태섭(Tae-Sub Chung), 김동준(Kim DJ), 서상현(Suh SH), 정원교(Chung WK), 조영은(Cho YE). Evaluation of intrasyrinx fluid motion by spatial modulation of magnetiza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syringomyelia with long term follow up: A predictor of postoperative prognosis? J Comput Assist Tomogr. Jan/Feb;32(1):135-140
2004정태섭(Tae-Sub Chung), 이영준(Young-Jun Lee), 강원석(Won-Suk Kang), 강세권(Sei-Kwon Kang), 임윤철(Yoon-Chul Rhim), 유병규(Bveong-Gyu Yoo), 박인국(In Kook Park). Clin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Pseudoaneurysm in the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rea on 3-Dimensional Time-of-Flight Cerebral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J Comput Assist Tomogr 28(3);414-421
2002정태섭(Tae-Sub Chung), 이영준(Lee Y-J), 강성욱(Kang S-W), 박창정(Park C-J), 강원석(Kang W-S), 심영우(Shim Y-W). Evaluation of the Reducibility of Herniated Cervical Disks by MR Imaging During Cervical Traction with A Non-magnetic Traction Device. Radiology 225:895-900


4. 인문학과 과학의 융합적 관심 분야

정태섭 교수는 뇌신경영상의학 전문의로 뇌, 척추 및 두경부 영상 분야에 다수의 국제적 논문 업적을 발표하였으며, 최근 관심 영역을 의학뿐만 아니라 과학, 예술과 인문학에까지 확장하고 있다. 2003년 문화 평론가로 첫 입문하였고, 2004년부터 2006년까지 MBC TV 어린이 과학 프로그램 《아하 그렇구나!》의 진행 MC를 맡아 과학 프로그램 진행자로 활동하였다. 이후 2007년 엑스레이 미술가로 첫 입문한 그는 엑스레이 아트(X-Ray Art)의 창시자로 일컬어지며, 작품은 초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7종과 초등 4학년 2학기 과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다.

그는 세종대왕의 과학적 업적, 특히 장영실, 이천, 이순지, 노중례, 정초 등의 업적을 현대 과학으로 재조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훈민정음 발성 시 발성 기관을 현대 영상 의학으로 해석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또한 장영실, 이순지의 천문학적 발전을 오늘날 청소년들에게 계승하게 하고자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원에서 소아 환자와 강남 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천체 관측 행사를 13년간(1996년~2008년) 시행하였으나, 최근 주변 도시화와 고층 아파트 증설로 중지되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는 전국 어린이 과학교육에 참여하기 위하여 MBC TV '아하! 그렇구나' 어린이 과학 프로그램의 방송 진행을 하였다. 2006년 고액권 발행 전 시점에 '고액권에 우리 과학자(장영실) 초상 올리기 추진위원회'를 결성하여 전국적인 과학 분위기를 고무시켰다. 2008년부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활동에 참여하여 국민 과학 운동에 이바지하고 있다.

5. 예술과 과학의 융합적 관심 분야

정태섭은 뇌신경영상의학 전문의로, 뇌, 척추 및 두경부 영상 분야에서 국제적인 논문 업적을 발표했다. 최근에는 의학뿐만 아니라 과학, 예술, 인문학까지 관심 영역을 넓히고 있다. 2003년 문화 평론가로 활동을 시작했고, 2004년부터 2006년까지 MBC TV에서 어린이 과학 프로그램 《아하 그렇구나!》를 진행했다.

2007년 엑스레이 아트(X-Ray Art) 창시자로 알려진 엑스레이 미술가로 입문하였으며, 그의 작품은 초, 중,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7종과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과학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2007년 3월 광화문 갤러리정에서 첫 전시회를 시작으로 2015년 11월까지 개인전 16회, 단체전 및 아트페어 130회 등 전시회를 개최했다. 2012년 프랑스 파리 개인전을 시작으로 모스크바 박물관 등 해외에서도 5회의 개인전을 열었다. 2014년에는 홍콩 소버린예술재단에서 아시아 작가 3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2016년 KBS2 TV 드라마 "태양의 후예"에서 그의 작품이 배경 그림으로 사용되었다.

5. 1. 주요 개인전

5. 2. 교과서 등재 목록

발행일출판사교과서명학년페이지
2014년 9월㈜비상초등학교 미술교과서5, 6학년102p
2014년 9월한국과학창의재단초등국정과학 디지털교과서4학년 2학기-
2014년 9월교육부초등국정과학4학년 2학기123p
2014년 3월㈜미진사고등미술-82p
2014년 3월㈜미래엔고등미술문화-112p
2013년 3월㈜미래엔중학교 미술-190p
2013년 3월㈜천재교과서중학교 미술-76p
2010년 2월㈜미래엔중학교 미술-83p


5. 3. 주요 작품 소장처

5. 4. 주요 작품 (X-Ray Art)

정태섭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작품명
꽃의 빅뱅
향연
꿈꾸는 튤립
입 속의 검은 잎
우주 넘어
우주 넘어 M51
우주 넘어 M104
땅콩의 지혜
생명의 시작
바이올린 위의 선율
외 70여 종


6. 학력

7. 저서


  • 《척추영상의학》 (대표편집저자). 고려의학, 서울, 2015
  • 《아하박사님 과학하고 놀기》. 지성사, 서울,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