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혜공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혜공주는 발해 문왕의 딸이자 대조영의 증손녀로, 발해의 왕녀였다. 40세에 사망하여 정혜공주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묘는 중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돈화시 육정산 고분군에 위치한다. 효의황후의 딸로, 정효공주와 정연공주가 동생이며, 남편과 아들이 있었으나 모두 먼저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혜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목록 | 발해의 공주 |
| 국적 | 발해 |
| 성별 | 여성 |
| 생애 | |
| 휘 | 알 수 없음 |
| 시호 | 정혜공주(貞惠公主) |
| 출생일 | 738년 |
| 사망일 | 777년 5월 29일 (양력) (39세) |
| 매장지 | 진릉(珍陵) 서원(西原) |
| 능묘 | 정혜공주묘 |
| 가족 관계 | |
| 부왕 | 대흠무 |
| 형제자매 | 알 수 없음 |
| 배우자 | 알 수 없음 |
| 자녀 | 알 수 없음 |
2. 생애
정혜공주묘의 비석에서 정혜공주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정혜공주는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의 증손녀이자 발해의 왕녀였다. 문왕의 둘째 딸로 태어났으며, 정효공주의 언니이기도 하다. 묘지명에 따르면 그녀는 출가하였으나, 남편과 아들은 그녀보다 먼저 죽었다. 보력 4년(777년) 4월 14일에 40세 나이로 생을 마감했고, 정혜공주라는 시호를 받았다. 보력 7년 11월에 진릉(珍陵) 서원(西原)에 배장(陪葬)되었는데,[1] 오늘날의 지명으로는 중국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돈화시 남쪽 5km에 위치한 육정산(六頂山) 고분군에 있다.[1]
2. 1. 가계 및 출생
정혜공주묘의 비석에서 정혜공주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정혜공주는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의 증손녀이자 발해의 왕녀이다. 문왕의 둘째 딸로 태어났으며, 정효공주의 언니이기도 하다. 묘지명에 따르면 그녀는 출가하였으나, 남편과 아들은 그녀보다 먼저 죽었으며, 보력 4년(777년) 4월 14일 40세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1] 정혜공주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보력 7년 11월에 진릉(珍陵) 서원(西原)에 배장(陪葬)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 오늘날의 지명으로는 중국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돈화시 남쪽 5km에 위치한 육정산(六頂山) 고분군에 위치한다.[1]| 가계 | |
|---|---|
| 부왕 | 문왕(文王, ? ~793 재위:737~793) |
| 모후 | 효의황후(孝懿皇后) |
| 언니 | 미상(요절) |
| 본인 | 정혜공주 |
| 남편 | 미상 |
| 아들 | 미상(요절) |
| 여동생 | 정연공주(생몰년 미상, 요절) |
| 여동생 | 정효공주(貞孝公主, 757~792) |
2. 2. 혼인과 죽음
정혜공주는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의 증손녀이자 발해의 왕녀이다. 문왕의 두 번째 딸로 태어났으며, 정효공주의 언니이기도 하다. 묘지명에 의하면 그녀는 출가하였으나, 남편과 아들은 그녀보다 먼저 죽었다.[1] 정혜공주묘의 비석에 따르면, 보력(寶曆) 4년(777년) 4월 14일 40세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1] 정혜공주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보력 7년 11월에 진릉(珍陵) 서원(西原)에 배장(陪葬)되었다.[1] 오늘날의 지명으로는 중국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돈화시 남쪽 5km에 위치한 육정산(六頂山) 고분군에 위치한다.[1]3. 무덤
정혜공주묘의 비석에서 정혜공주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정혜공주는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의 증손녀이자 발해의 왕녀였다. 문왕의 두 번째 딸로 태어났으며, 정효공주의 언니이기도 하다. 묘지명에 따르면 정혜공주는 출가하였으나, 남편과 아들은 그녀보다 먼저 죽었으며, 보력(寶曆) 4년(寶曆四年|보력 4년중국어) (777년) 4월 14일 40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정혜공주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보력 7년 11월에 진릉(珍陵) 서원(西原)에 배장(陪葬)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의 지명으로는 중국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돈화시 남쪽 5km에 위치한 육정산(六頂山) 고분군에 위치한다.
4. 가계
| 관계 | 이름 |
|---|---|
| 부왕 | 문왕 (? ~793, 재위:737~793) |
| 모후 | 효의황후 |
| 언니 | 미상(요절) |
| 남편 | 미상 |
| 아들 | 미상(요절) |
| 여동생 | 정연공주(생몰년 미상, 요절) |
| 여동생 | 정효공주 (757~792) |
참조
[1]
서적
东亚视野下的东北史地研究
https://books.google[...]
Social Sciences Literature Press
2015-01-01
[2]
서적
Korean History in Map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2-15
[3]
서적
社会科学战线
https://books.google[...]
吉林人民出版社
1982-01-01
[4]
서적
东北文学文化
https://books.google[...]
Social Sciences Literature Press
2018-09-01
[5]
서적
隋唐五代史:世界帝國.開明開放
https://books.google[...]
三民書局股份有限公司
2021-07-22
[6]
서적
隋唐五代史:世界帝國.開明開放
https://books.google[...]
三民書局股份有限公司
2021-07-22
[7]
서적
中国通史史论辞典
https://books.google[...]
黑龙江人民出版社
1992-01-01
[8]
서적
文物集刋
https://books.google[...]
文物出版社
1980-01-01
[9]
서적
Korean History: Discovery of Its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s
https://books.google[...]
Hollym
2004-01-01
[10]
서적
The New History of Korean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12-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