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F. 블레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F. 블레이크는 1955년 로자 파크스 체포 사건에 연루된 몽고메리 시의 버스 운전사였다. 1912년에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버스 운전사로 일했으며, 1955년 12월 파크스에게 백인 승객을 위해 자리를 비우라고 명령했다가 거부당하자 경찰에 신고하여 체포를 이끌었다. 그는 시 조례에 따라 행동했으며, 파크스가 법을 위반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블레이크는 1974년 은퇴할 때까지 버스 운전사로 일했으며, 2002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스 운전사 - 니콜라스 마두로
니콜라스 마두로는 베네수엘라의 정치인으로, 버스 운전사 및 노동조합 활동가 출신으로 우고 차베스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2013년부터 베네수엘라의 대통령으로 재임하고 있으며 부정 선거 논란과 경제 위기 심화, 인권 탄압 등의 비판을 받고 있다. - 버스 운전사 - Q 라자루스
깊은 콘트랄토 음색과 독특한 음악 스타일로 컬트적인 인기를 얻은 미국의 가수 Q 라자루스는 밴드 Q 라자루스 앤 더 리서렉션의 리드 보컬이었으며, 특히 영화 《양들의 침묵》에 삽입된 곡 "Goodbye Horses"로 유명하다. -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을 이끈 미국의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 인권 운동가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워싱턴 대행진 등을 주도하며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투쟁했고, 그의 업적과 비폭력 저항 사상은 미국 사회와 전 세계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 로자 파크스
로자 파크스는 1955년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촉발시킨 버스에서의 용기 있는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의 핵심 인물이 된 미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2002년 사망 - 성혜림
성혜림은 일제강점기 조선 출신으로 배우로 활동하다 김정일과의 관계를 통해 북한 사회에서 주목받았으며, 김정남을 낳았으나 김일성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고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 2002년 사망 -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와 주한 미국 대사를 지내며 한국 현대사의 격변기와 한미 관계의 주요 현안들을 다루었고 동아시아 문제 전문가로서 외교관계협의회 연구소장으로 활동했다.
제임스 F. 블레이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제임스 F. 블레이크 |
원어 이름 | James Frederick Blake |
![]() | |
출생일 | 1912년 4월 14일 |
출생지 | 앨라배마주 몽고메리 |
사망일 | 2002년 3월 21일 |
사망지 | 앨라배마주 몽고메리 |
국적 | 미국 |
직업 | 버스 운전사 (1943–1974) |
고용주 | 몽고메리 시 버스 노선 |
알려진 이유 | 로자 파크스에게 자리를 양보하라고 명령한 후 거부당함 이 사건은 결국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으로 이어짐 |
2. 어린 시절
1912년 4월 14일에 태어났다.[2][14][25] 고등학교를 1년간 다닌 후 결혼했으며, 전속 운전사, 트럭 운전사, 트랙터 운전사로 일한 경험이 있다.[14]
1955년 미국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는 흑인 사회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내 인종 차별에 대한 법적 대응이 준비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로자 파크스는 인종 분리를 강제하는 짐 크로우 법에 맞서는 상징적인 인물로 여겨졌다.[4][16] 파크스는 과거에도 버스 운전사 제임스 F. 블레이크로부터 차별적인 대우를 받은 경험이 있었다.[26][5][17]
1943년 12월 23일, 선택적 훈련 및 서비스법에 따라 미국 육군에 징집되어 앨라배마주 애니스턴의 포트 맥클레런에서 복무를 시작했다.[2][14][25] 제2차 세계 대전 동안과 그 후 5년간 유럽 전선에서 종군했다.[14]
3. 로자 파크스 체포 사건
1955년 12월 1일, 블레이크가 운전하는 버스에서 파크스는 백인 승객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블레이크의 지시를 거부했다. 이 사건으로 파크스는 체포되었고[6][18], 이는 미국 인권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촉발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29]
3. 1. 사건의 전개
1955년 당시 몽고메리의 흑인 지도자들은 시내 버스 시스템의 인종 차별에 대한 소송을 준비하고 있었고, 로자 파크스는 인종 분리를 강제하는 짐 크로우 법에 맞서는 중심 인물로 선택되었다.[4][16]
사실 블레이크와 파크스의 악연은 이전부터 시작되었다. 1943년, 파크스는 블레이크가 운전하는 버스에 앞문으로 탑승하여 요금을 지불했다. 그러나 블레이크는 당시 일부 백인 운전사들이 흑인에게 강요했던 규칙대로, 파크스에게 버스에서 내려 뒷문으로 다시 타라고 요구했다. 파크스가 버스에서 내리자 블레이크는 그녀를 태우지 않고 그대로 버스를 몰고 가버렸다. 이 일로 파크스는 다시는 블레이크가 운전하는 버스를 타지 않겠다고 다짐했지만, 12년 후 버스 운전사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것을 잊고 말았다.[26][5][17]
파크스 사건 이전에도 블레이크는 인종차별적인 행동을 보인 바 있다. 1955년 6월 15일, 그는 흑인 여성 루실 타임스가 운전하는 차를 도로 밖으로 밀어내려 했다. 타임스가 잠시 차를 세우자, 블레이크는 길 건너편에 버스를 세우고 그녀에게 다가와 소리를 지르며 욕설을 퍼부었다. 격분한 타임스는 전미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NAACP)와 버스 회사에 이 사실을 알렸으나 아무런 조치도 취해지지 않았다. 이에 타임스는 이후 6개월 동안 버스 정류장을 지나는 흑인 승객들에게 무료로 차를 태워주며 버스 회사에 항의하는 자신만의 보이콧을 벌였다. 이는 로자 파크스 사건으로 촉발된 공식적인 버스 보이콧보다 6개월 앞선 행동이었다.[3]
1955년 12월 1일, 블레이크와 파크스는 클리블랜드 애비뉴 버스(번호 2857)에서 다시 마주쳤다. 블레이크는 파크스를 포함한 흑인 승객 네 명에게 백인 승객을 위해 자리를 비우고 버스 뒤쪽으로 이동하라고 명령했다. 파크스의 증언에 따르면 블레이크는 "당신들 모두 스스로 편하게 자리를 비키는 게 좋을 거요."라고 말했다.[6][18] 파크스가 이를 거부하자, 블레이크는 먼저 버스 회사 상사에게 연락했다. 훗날 워싱턴 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블레이크는 당시 상황을 이렇게 회상했다.
"해야 할 대로 먼저 회사에 전화를 걸었다. 상사에게 연결되자 '그녀에게 주의를 줬나, 짐?'이라고 묻길래 '주의를 줬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그는 이렇게 말했다. 이건 지금도 그 자리에 있는 것처럼 기억한다. '그럼 짐, 그렇게 해. 힘을 행사해서 그녀를 내리게 해. 들려?' 그리고 나는 그렇게 실행했다"[28][7][18]
결국 파크스는 체포되었고, 벌금 10USD와 법원 수수료 4USD를 부과받았다. 블레이크는 경찰에 연락하여 파크스의 체포 영장에 직접 서명했다. 당시 몽고메리 시 조례(Chapter 6, Section 11)는 버스 운전사에게 좌석의 인종적 배정에 대한 경찰 권한을 부여하고 있었다.[29][8][9][19][20] 이 사건은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촉발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으며, 1956년 브라우더 대 게일(Browder v. Gayle) 소송으로 이어졌다. 이 재판에서 미국 앨라배마주 중부 연방 지방 법원은 몽고메리 시의 대중교통 내 인종 분리 정책이 위헌이라고 판결하여 폐지시켰다.[29]
훗날 블레이크는 이 사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나는 내 일을 하는 것 외에는 파크스에게 아무것도 하려고 하지 않았다. 그녀는 시 조례를 위반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나는 무엇을 해야만 했는가? 그 끔찍한 버스는 만원이었고 그녀는 양보하려고 하지 않았다. 나는 명령을 받았다. 나에게는 경찰의 권한이 있었고, 이는 시의 운전자라면 누구든 그랬다. 그래서 버스가 만원이고 백인이 탔으며, 그녀가 그 자리에 앉아 있었기 때문에 그녀에게 양보하라고 했지만 그녀는 그러려고 하지 않았다."[30][10][21]
3. 2. 사건 이후 블레이크의 입장
블레이크는 워싱턴 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상황을 회상하며, 버스 회사 상사에게 먼저 연락했고 상사가 "힘을 행사하고 그녀를 내려보내라. 들리니?"라고 지시했기 때문에 자신은 그 지시를 따랐을 뿐이라고 말했다.[28]
사건 이후 블레이크는 자신의 행동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며 정당화했다.
"나는 내 일을 하는 것 외에는 파크스에게 아무것도 하려고 하지 않았다. 그녀는 시티 코드를 위반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나는 무엇을 하기로 되어 있었는가? 그 끔찍한 버스는 꽉 찼고 그녀는 양보하려고 하지 않았다. 나는 명령했다. 나는 경찰의 권한이 있었고, 이것은 시 운전자 누구나 이랬다. 그래서 버스가 꽉 찼고 백인이 탔고, 그녀가 그 자리에 앉아 있었기 때문에 그녀에게 양보하라고 했지만 그녀는 그렇게 하려고 하지 않았다."[30]
결국 블레이크는 자신이 단지 시 조례와 운전자에게 부여된 권한에 따라 행동했을 뿐이며, 로자 파크스가 법을 어겼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그의 행동이 인종차별적 동기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는 항변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결과적으로 짐 크로우법으로 대표되는 당시의 인종 분리 정책을 정당화하고 실행한 행위였다.
4. 사망
그는 1974년까지 몽고메리 시티 버스 라인(Montgomery City Bus Lines|몽고메리 시티 버스 라인영어, 1974년에 몽고메리 지역 대중교통 시스템(Montgomery Area Transit System|몽고메리 에어리어 트랜짓 시스템영어)으로 변경됨[11][22])에서 버스 기사로 계속 근무했다.[31][7][15] 은퇴 후에는 모닝뷰 침례교회(Morningview Baptist Church|모닝뷰 침례교회영어)의 회원이 되었다.[7]
블레이크는 90세 생일을 한 달 앞둔 2002년 3월, 몽고메리 자택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31][12][23] 향년 89세였다.[12] 그와 그의 아내는 68년 동안 결혼 생활을 했다.[31][12][23]
로자 파크스는 그의 부고에 대해 "가족들이 그를 그리워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애도의 뜻을 표한 것으로 전해진다.[32][12][23] 그가 다니던 교회의 목사 켐 홀리(Kem Holley|켐 홀리영어)는 블레이크가 시간이 지나면서 인종 문제에 대한 인식이 성장했으며, 모두를 사랑하는 친절하고 상냥한 사람이었다고 회고했다.[24]
참조
[1]
뉴스
Remarkable History Surrounded Man's Unremarkable Life
http://nl.newsbank.c[...]
2009-07-27
[2]
웹사이트
Electronic Army Serial Number Merged File, ca. 1938–1946 (Enlistment Records)
https://aad.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4-04-09
[3]
뉴스
Lucille Times, Who Inspired the Montgomery Bus Boycott, Dies at 100
2021-08-22
[4]
웹사이트
Montgomery Bus Boycott
http://www.history.c[...]
A+E Networks
2015-11-16
[5]
뉴스
She Set Wheels of Justice in Motion
https://www.latimes.[...]
2011-07-22
[6]
간행물
The Power of 2857
http://americanherit[...]
2005-11
[7]
뉴스
James Blake, 89; Driver Had Rosa Parks Arrested
https://www.latimes.[...]
2002-03-26
[8]
뉴스
City charge faced by negro bus rider
1955-12-02
[9]
웹사이트
Montgomery City Code
http://blogs.kentlaw[...]
2013-02-02
[10]
뉴스
Obituary: James F Blake
https://www.theguard[...]
2002-03-27
[11]
웹사이트
About
http://montgomerytra[...]
2016-03-14
[12]
뉴스
James Blake, 89; Driver Had Rosa Parks Arrested
https://www.latimes.[...]
2023-02-05
[13]
뉴스
Remarkable History Surrounded Man's Unremarkable Life
http://nl.newsbank.c[...]
2009-07-27
[14]
웹사이트
Electronic Army Serial Number Merged File, ca. 1938–1946 (Enlistment Records)
https://aad.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4-04-09
[15]
뉴스
Bus driver who gave her the wrong ticket then had Parks arrested dies at 89
2002-03-24
[16]
웹사이트
Montgomery Bus Boycott
http://www.history.c[...]
A+E Networks
2015-11-16
[17]
뉴스
She Set Wheels of Justice in Motion
http://articles.lati[...]
2011-07-22
[18]
뉴스
James Blake, 89; Driver Had Rosa Parks Arrested
http://articles.lati[...]
2002-03-26
[19]
뉴스
City charge faced by negro bus rider
1955-12-02
[20]
웹사이트
Montgomery City Code
http://blogs.kentlaw[...]
2019-10-01
[21]
뉴스
Obituary: James F Blake
https://www.theguard[...]
2002-03-27
[22]
웹사이트
About
http://montgomerytra[...]
2019-10-01
[23]
뉴스
James Blake, 89; Driver Had Rosa Parks Arrested
http://articles.lati[...]
2002-03-26
[24]
뉴스
James Blake, 89; Driver Had Rosa Parks Arrested
http://articles.lati[...]
2002-03-26
[25]
웹인용
Electronic Army Serial Number Merged File, ca. 1938–1946 (Enlistment Records)
https://aad.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4-04-09
[26]
뉴스
Lucille Times, Who Inspired the Montgomery Bus Boycott, Dies at 100
2021-08-22
[27]
웹인용
Montgomery Bus Boycott
http://www.history.c[...]
A+E Networks
2015-11-16
[28]
뉴스
She Set Wheels of Justice in Motion
http://articles.lati[...]
2011-07-22
[29]
잡지
The Power of 2857
http://americanherit[...]
2005-11
[30]
뉴스
Obituary: James F Blake
https://www.theguard[...]
2002-03-27
[31]
웹인용
About
http://montgomerytra[...]
2023-09-07
[32]
뉴스
James Blake, 89; Driver Had Rosa Parks Arrested
https://www.latimes.[...]
2023-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