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퍼슨 기념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퍼슨 기념관은 미국 제3대 대통령 토머스 제퍼슨을 기리기 위해 워싱턴 D.C.의 웨스트 포토맥 공원에 건립된 기념관이다. 1938년에 착공하여 1943년 4월 13일 제퍼슨 탄생 200주년에 맞춰 헌정되었으며, 이후 1966년 국립 사적지로 지정되었다. 기념관은 원형의 이오니아식 기둥과 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제퍼슨의 청동 동상과 독립 선언서, 버지니아 종교 자유 법안 등에서 발췌한 문구들이 새겨져 있다. 2020년에는 제퍼슨의 노예 소유 문제로 인해 기념관의 "제거, 이전 또는 맥락화"를 요구하는 보고서가 발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7년 조각 작품 - 해방기념비
해방기념비는 헝가리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에 의해 해방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겔레르트 언덕에 세워진 14m 높이의 청동 조각상으로, 헝가리의 독립, 자유, 번영을 위해 희생된 모든 이들을 기억하기 위한 기념물이다. - 1943년 완공된 건축물 - 펜타곤
펜타곤은 미국 국방부의 본부 건물로, 세계 최대의 오각형 건물이며 9·11 테러 당시 아메리칸 항공 77편이 충돌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펜타곤 추모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 1943년 완공된 건축물 - 탁심 게지 공원
탁심 게지 공원은 터키 이스탄불 탁심 광장에 위치한 공원으로, 과거 포병 막사 자리에 조성되어 이뇌뉘 공원으로 불렸으나 호텔 건설로 축소되었고, 2013년 재개발 계획으로 사회적, 정치적 논쟁의 중심지가 되었다. - 워싱턴 D.C.의 관광지 - 링컨 기념관
링컨 기념관은 워싱턴 D.C. 내셔널 몰에 있는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을 기리는 그리스 도리아 양식의 기념 건축물로, 내부에는 링컨 좌상과 그의 연설문이 있으며, 시민권 운동의 중요한 장소이자 미국 문화의 상징이다. - 워싱턴 D.C.의 관광지 - 미국 식물원
미국 식물원은 워싱턴 D.C.에 위치한 식물원으로, 1820년에 예술 및 과학 진흥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찰스 윌크스의 탐험대가 수집한 식물을 보관하고, 다양한 서식지를 재현한 온실과 야외 정원을 운영하며, CITES에 참여하여 압수된 식물을 관리한다.
제퍼슨 기념관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국립 몰, 워싱턴 D.C. |
건축 기간 | 1939년–1943년 |
건축가 | 존 러셀 교황; 에거스와 히긴스 |
건축 양식 | 신고전주의 건축 |
국가 사적 등록일 | 1966년 10월 15일 |
국가 사적 기념물 지정일 | 1943년 4월 13일 |
방문객 수 | 2,312,726 (2005년) |
웹사이트 | 토머스 제퍼슨 기념관 |
역사 | |
기공 | 1938년 11월 15일 |
개관 | 1943년 4월 13일 |
법적 지위 | |
NRHP 번호 | 66000029 |
지정 NRHP 유형 | nmem |
추가 정보 | |
높이 | 39 미터 (128 피트) |
돔 직경 | 24.4 미터 (80 피트) |
2. 역사
1943년 워싱턴 D.C. 중심부 내셔널 몰 남쪽 타이들 베이신 기슭에 제퍼슨 기념관이 세워졌다. 기념관 안에는 1947년 완성된 제퍼슨 동상이 있다. 미국 국립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1934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토머스 제퍼슨을 존경하여 미술 위원회에 기념관 건립을 문의했고, 존 J. 보일런 하원 의원의 촉구로 의회는 기념관 건립을 위해 300만달러를 배정했다.
1935년 존 러셀 포프가 기념관 건축가로 선정되었으며, 타이들 베이가 링컨 기념관, 국회의사당, 백악관을 잇는 맥밀란 계획을 완성하는 위치로 선정되었다. 포프는 사각형 플랫폼 위에 대규모 판테온과 같은 구조를 설계하고, 양쪽에 두 개의 작은 직사각형 기둥 건물을 배치했다.
1938년 12월 15일 제퍼슨 기념관 건설이 시작되었고, 1939년 11월 15일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직접 초석을 놓았다. 1937년 존 러셀 포프가 사망하여, 그의 동료인 다니엘 P. 히긴스와 오토 R. 에거스가 건설을 이끌었으며, 건설 비용은 약 300만달러였다.
미술 위원회와 일부 시민들은 기념관 디자인과 부지에 대해 반대했지만, 수정된 계획이 벚나무를 보존하는 방향으로 제시되면서 반대는 줄어들었다. 1939년 기념 위원회는 제퍼슨 동상 조각가 선정을 위한 공모전을 개최하여 루돌프 에반스가 주 조각가로, 아돌프 알렉산더 와인만이 페디먼트 부조 조각가로 선정되었다.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 주니어가 기념관 조경을 설계했으며, 초기에는 상록수 중심의 단순한 디자인이었으나, 이후 백송 등이 추가되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념관이 잘 보이도록 나무를 자르라고 명령했고, 링컨 기념관과의 시야 확보를 위한 가지치기 작업도 이루어졌다.
1943년 4월 13일, 제퍼슨 탄생 200주년에 맞춰 기념관이 공식 헌정되었으나,[2]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자재 부족으로 에반스의 동상은 완성되지 않은 상태였다. 임시 석고 조각상이 설치되었다가 1947년에 청동 동상으로 교체되었다.
1966년 10월 15일, 제퍼슨 기념관은 국립 사적지로 지정되었다.[1][6]
2. 1. 초기 구상
백악관 바로 남쪽에 위치하여 백악관이 보이는 제퍼슨 기념관 건설 부지는 지리적 이점 때문에 매력적인 장소였다. 1901년, 맥밀란 계획의 상원 공원 위원회는 이 부지에 판테온과 유사한 구조물을 건설할 것을 제안했지만, 의회는 위원회의 권고에 대해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2]1908년 타이들 베이슨 입구 다리의 완공은 이스트 및 웨스트 포토맥 공원의 레크리에이션 이용을 촉진하고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1918년에는 다리 아래에 대형 액체 염소 분사기가 설치되어 물을 처리함으로써 타이들 베이슨은 수영에 적합하게 되었으며, 트와이닝 호수로도 알려져 있다. 미래의 제퍼슨 기념관 부지에 있는 타이들 베이슨 비치는 1918년 5월에 개장하여, 인종 통합 여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1925년에 영구 폐쇄될 때까지 "백인 전용" 시설로 운영되었다.[8] 같은 해, 시어도어 루스벨트 기념관을 위한 디자인 공모전이 열렸고, 존 러셀 포프가 제출한 우승 디자인은 원형 분지 옆에 위치한 반원형 기념관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1901년의 맥밀란 계획과 마찬가지로 이 계획 역시 의회에서 자금을 지원받거나 실행되지 않았다.[2]
2. 2. 건립 추진 및 승인
1934년,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은 클로드 G. 바워스가 쓴 제퍼슨에 관한 책을 읽고 그를 존경하여 미술 위원회에 기념관 건립을 문의했다. 루스벨트는 당시 건설 중이던 연방 삼각지구 프로젝트에 제퍼슨 기념관 계획을 포함시키려 했다.[2] 같은 해 존 J. 보일런 하원 의원은 루스벨트의 뜻을 따라 토머스 제퍼슨 기념 위원회 설립을 촉구했고, 의회는 기념관 건립을 위해 300만달러를 배정했다.[2]1935년, 위원회는 존 러셀 포프를 기념관 건축가로 선정했다. 포프는 국립 문서 보관소, 국립 미술관 서관 등을 설계한 경험이 있었다. 포프는 아나코스티아 강의 이스트 캐피톨 스트리트 끝, 링컨 공원, 국립 문서 보관소 맞은편, 타이달 베이 등 4곳의 부지를 제안했고, 위원회는 타이달 베이를 선정했다. 타이달 베이는 링컨 기념관, 국회의사당, 백악관을 잇는 맥밀란 계획을 완성하는 위치였다.[2] 포프는 사각형 플랫폼 위에 대규모 판테온과 같은 구조를 설계하고, 양쪽에 두 개의 작은 직사각형 기둥 건물을 배치했다.[2]
2. 3. 건설 과정



제퍼슨 기념관 건설은 1938년 12월 15일에 시작되었다. 초석은 약 11개월 후인 1939년 11월 15일, 루스벨트 대통령이 직접 놓았다.[9] 포프가 1937년에 사망했기 때문에, 그의 동료인 히긴스와 에거스가 건설을 이끌었다. 미술 위원회의 요청에 따라 기념관 설계는 다소 보수적으로 변경되었다. 건설 비용은 약 300만달러였다.[9]
일부 반대 여론 속에서도 건설은 시작되었다. 미술 위원회는 기념관 디자인과 부지에 반대하는 팸플릿을 발행하기도 했다.[2] 또한, 일부 시민들은 랑팡의 도시 계획과 맞지 않고, 벚나무를 포함한 많은 나무들이 제거될 것이라는 이유로 반대했다.[10] 건설 현장 주변 벚나무에 자신을 묶는 여성 시위자들도 있었지만, 수정된 계획이 벚나무를 보존하는 방향으로 제시되면서 반대는 줄어들었다.[10]
1939년, 기념 위원회는 제퍼슨 동상 조각가 선정을 위한 공모전을 개최했다. 루돌프 에반스가 주 조각가로, 아돌프 알렉산더 와인만이 페디먼트 부조 조각가로 선정되었다.[2]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 주니어가 기념관 조경을 설계했다. 초기에는 상록수 중심의 단순한 디자인이었으나, 이후 백송 등이 추가되었다. 1993년과 2000년에는 옴스테드의 초기 디자인 복원 시도가 있었다.[11] 루스벨트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념관이 잘 보이도록 나무를 자르라고 명령했고, 링컨 기념관과의 시야 확보를 위한 가지치기 작업도 이루어졌다.[2]
1943년 4월 13일, 제퍼슨 탄생 200주년에 맞춰 기념관이 공식 헌정되었으나,[2]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자재 부족으로 에반스의 동상은 완성되지 않은 상태였다. 임시 석고 조각상이 설치되었다가 1947년에 청동 동상으로 교체되었다.
2. 4. 개관 이후
1966년 10월 15일, 제퍼슨 기념관은 국립 사적지로 지정되었다.[1][6]2020년 9월 2일, 조지 플로이드 시위에 대한 대응으로 워싱턴 D.C. 시장 뮤리엘 바우저는 토머스 제퍼슨의 노예 소유를 이유로 제퍼슨 기념관을 "제거, 이전 또는 맥락화"하도록 미국 연방 정부에 요청할 것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12]
3. 특징
제퍼슨 기념관 건설은 1938년 12월 15일에 시작되었으며, 초석은 약 11개월 후인 1939년 11월 15일에 루즈벨트 대통령이 직접 놓았다. 최초 설계자인 존 러셀 포프가 1937년에 사망하면서, 그의 동료인 다니엘 P. 히긴스와 오토 R. 에거스가 기념관 건설을 이끌게 되었다. 미술 위원회의 요청으로 디자인이 좀 더 보수적으로 변경되었고, 건설 비용은 약 300만달러였다.[9]
건설 초기, 미술 위원회는 디자인과 부지에 반대하는 팸플릿을 발행했고, 일부 워싱턴 시민들은 랑팡의 도시 원래 계획과의 불일치 및 벚나무를 포함한 오래된 나무들의 제거를 이유로 반대했다. 특히 1912년 일본에서 기증한 희귀 벚나무 제거에 반대하는 여성 시위자들이 벚나무에 자신을 묶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2][10] 그러나 수정된 계획이 벚나무 보존을 포함하면서 반대는 줄어들었다.[10]
1939년, 기념 위원회는 루돌프 에반스를 주 조각가로, 아돌프 알렉산더 와인만을 페디먼트 부조 조각가로 선정하는 공모전을 개최했다.[2]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 주니어가 설계한 조경은 상록수 중심의 단순한 디자인이었으나, 이후 백송 등이 추가되었고, 1970년대에 추가 변경, 1993년과 2000년에는 초기 디자인 복원 시도가 있었다.[11] 루즈벨트 대통령은 백악관에서의 시야 확보를 위해 나무를 자르도록 명령했고, 링컨 기념관과의 시야 확보를 위한 가지치기도 이루어졌다.[2]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자재 부족으로, 1943년 4월 13일 제퍼슨 탄생 200주년 기념일에 임시 석고 조각상으로 기념관이 개관되었다. 에반스의 청동 동상은 1947년에 완성되어 설치되었으며, 뉴욕의 로만 브론즈 웍스에서 주형을 개발했다.
3. 1. 외관
제퍼슨 기념관은 원형의 대리석 계단, 포르티코, 이오니아식 기둥으로 이루어진 원형 열주, 얕은 돔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은 외부로 개방되어 있으며 지름은 약 이다.[9]
기념관은 버몬트에서 채취한 흰색 임페리얼 댄비 대리석으로 지어졌으며, 일련의 화강암과 대리석 계단식 테라스 위에 놓여 있다. 화강암 부벽으로 둘러싸인 화강암과 대리석 계단과 플랫폼이 타이들 베이신에서 삼각 페디먼트가 있는 포르티코까지 이어진다.
페디먼트에는 미국 독립 선언서 초안을 작성하도록 위임된 위원회인 5인 위원회를 묘사한 아돌프 알렉산더 와인먼의 조각이 있다. 주요 저자인 제퍼슨 외에 위원회 위원으로는 존 애덤스, 벤저민 프랭클린, 로버트 R. 리빙스턴, 로저 셔먼이 있다. 계란과 다트 몰딩이 있는 처마 돌림띠가 이 페디먼트를 둘러싸고 있으며, 그 아래에는 평평한 프리즈가 있다.[2]
3. 2. 내부
기념관 내부에는 약 5.79m 높이에 약 4535.92kg 무게의 청동 토머스 제퍼슨 동상이 있다.[14] 이 동상은 조각가 루돌프 에반스가 제작했으며, 기념관 헌정 4년 후인 1947년에 설치되었다.기념관 내부에는 제퍼슨의 명언들이 새겨져 있는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돔 아래 프리즈에 새겨진 "나는 인간의 정신에 대한 모든 형태의 억압에 대해 신 앞에 영원한 적대감을 맹세했다."[15]라는 문구이다. 이 문구는 제퍼슨이 1800년 9월 23일 벤자민 러시에게 보낸 편지에서 발췌한 것으로, 국가 종교를 인정하지 않도록 하는 헌법적 거부를 옹호한 내용이다.[16]
남서쪽 벽면에는 미국 독립 선언서의 다음 발췌문이 새겨져 있다:[17]
>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진실을 자명한 것으로 여긴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창조되었으며, 창조주로부터 생명, 자유, 행복 추구와 같은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부여받았고, 이러한 권리를 확보하기 위해 인간 사이에 정부가 수립되었다. 우리는... 이 식민지가 자유롭고 독립된 국가이며, 마땅히 그러해야 함을 엄숙히 선언한다... 그리고 이 선언을 지지하기 위해, 신의 섭리에 대한 굳건한 믿음으로, 우리 각자는 우리의 생명, 재산, 그리고 신성한 명예를 상호 맹세한다.
이 비문에는 최종 선언에 사용된 "''un''alienable" 대신 제퍼슨 초안에 나타난 "''in''alienable"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18]
북서쪽 벽면에는 1777년 버지니아 종교 자유 법안에서 발췌한 구절과 1789년 8월 28일 제임스 매디슨에게 보낸 편지에서 가져온 구절이 있다:[17][19]
> 전능하신 하나님은 자유로운 정신을 창조하셨다...시간적 처벌이나 부담으로 정신에 영향을 미치려는 모든 시도는...우리 종교의 거룩한 창시자의 계획에서 벗어나는 것이다...어떤 사람도 종교적 예배나 봉사를 강요받거나 지원하도록 강요받아서는 안 되며, 종교적 의견이나 신념 때문에 고통받아서도 안 된다. 모든 사람은 종교 문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고백하고 논쟁을 통해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나는 단독으로 행동하든 집단적으로 행동하든, 인간에게 단 하나의 도덕률만 있다고 생각한다.
북동쪽 벽면에는 제퍼슨의 여러 글에서 발췌한 명언들이 새겨져 있다. ''영국령 아메리카 권리 개요'',[20] ''버지니아주에 관한 노트'',[21] 제퍼슨의 자서전,[22] 1786년 8월 13일 조지 와이드에게 보낸 편지,[23] 1786년 1월 4일 조지 워싱턴에게 보낸 편지[17][24]에서 발췌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하나님은 우리에게 생명을 주셨으니 자유도 주셨다. 우리가 이러한 자유가 하나님의 선물이라는 확신을 제거했을 때, 한 국가의 자유가 안전할 수 있을까? 나는 하나님이 공정하시고, 그분의 정의가 영원히 잠들 수 없다는 것을 생각할 때 진정으로 내 조국을 걱정한다. 주인과 노예 간의 상업은 전제주의이다. 운명의 책에 이 백성이 자유로울 것이라고 쓰여 있는 것보다 더 확실한 것은 없다. 일반 대중을 교육하기 위한 법을 제정하라. 이것이 국가가 해야 할 일이며, 일반적인 계획에 따라야 한다.
남동쪽 벽면에는 제퍼슨이 1816년 7월 12일 새뮤얼 커체발에게 보낸 편지에서 발췌한 구절이 새겨져 있다:[17][25]
> 나는 법과 헌법의 빈번한 변화를 옹호하지 않는다. 그러나 법과 제도는 인간 정신의 진보와 함께 가야 한다. 정신이 더 발전하고, 더 계몽되고, 새로운 발견이 이루어지고, 새로운 진실이 발견되고, 풍습과 의견이 상황의 변화와 함께 변하면, 제도 또한 시대에 발맞춰 발전해야 한다. 마치 문명 사회가 야만적인 조상의 규율 아래 영원히 머물러야 하는 것처럼, 소년 시절에 맞았던 옷을 계속 입도록 요구하는 것과 같다.
건물 하층에는 기념품 가게와 제퍼슨의 생애와 정치 경력을 다룬 박물관이 있다.
4. 위치
제퍼슨 기념관은 워싱턴 D.C.의 웨스트 포토맥 공원에 있으며, 포토맥 강의 타이들 베이신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26] 이 공원에는 1912년 일본 국민들이 기증한 벚꽃나무들이 많이 심어져 있다.[26]
제퍼슨 기념관은 내셔널 몰, 워싱턴 메트로 등 워싱턴 D.C.의 다른 건물 및 기념물들과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지만,[26] 매년 추모 행사, 부활절 일출 예배, 연례 국립 벚꽃 축제 등 많은 행사와 의식을 주최하며, 매년 도시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 중 하나이다.[26]
5. 논란
제퍼슨 기념관에서 춤을 추던 여성이 체포되고, 이에 대한 항의 시위가 벌어지면서 체포의 적절성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27]
5. 1. 댄스 시위 사건
2008년, 제퍼슨이 남겼다고 전해지는 "Dancing is a healthy and elegant exercise, a specific against social awkwardness."라는 말에 맞춰, 이어폰으로 음악을 들으며 제퍼슨 기념관 홀에서 춤을 추던 여성이 공원 경찰에 체포되었다. 부당 체포를 주장하며 여성이 재판을 제기했지만, 2011년 경찰을 지지하는 판결이 내려졌다. 같은 해 5월에 법원의 결정에 항의하는 활동가들이 해당 홀에서 춤을 추다가 공원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 모습이 동영상 사이트 등에서 퍼지면서 체포가 과도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27]참조
[1]
간행물
NRISref
[2]
뉴스
President Roosevelt Dedicates a National Memorial to Thomas Jefferson
1943-04-14
[3]
웹사이트
Documentation of the Jefferson Memorial.
http://memory.loc.go[...]
Office of the Historic American Buildings Survey/Historic American Engineering Record (HABS/HAER), of the [[National Park Service]].
1994-09
[4]
서적
The Pantheon: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간행물
'"To the immortal name and memory of George Washington": The United States Army Corps of Engineer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Washington Monument'
http://www.publicati[...]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8-04-11
[6]
웹사이트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Inventory-Nomination: Thomas Jefferson Memorial
"{{NRHP url|id=66000[...]
National Park Service
1981-01-12
[7]
웹사이트
America's Favorite Architecture.
https://www.npr.org/[...]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ure.
[8]
웹사이트
http://www.cr.nps.go[...]
2015-02-23
[9]
웹사이트
Thomas Jefferson Memorial--Presidents: A Discover Our Shared Heritage Travel Itinerary
https://www.nps.gov/[...]
2019-11-01
[10]
뉴스
'Stop the massacre!': When women chained themselves to Washington's cherry trees
https://www.washingt[...]
2019-03-30
[11]
웹사이트
Thomas Jefferson Memorial Features
https://www.nps.gov/[...]
2016-11-11
[12]
뉴스
Bowser task force targets Washington Monument, Jefferson Memorial, dozens more
https://www.nbcnews.[...]
2024-04-11
[13]
서적
American Creation: Triumphs and Tragedies at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Knopf
2007
[14]
뉴스
Model of building for Jefferson Memorial.
1943-03-07
[15]
웹사이트
interview
http://www.playboy.c[...]
2012-10-16
[16]
웹사이트
FROM REVOLUTION TO RECONSTRUCTION: Presidents: Thomas Jefferson: Letters: I HAVE SWORN UPON THE ALTAR OF GOD
http://odur.let.rug.[...]
2004-08-02
[17]
웹사이트
Quotations on the Jefferson Memorial
http://www.monticell[...]
monticello.org
2012-08-11
[18]
웹사이트
Unalienable / Inalienable
http://www.ushistory[...]
ushistory.org
2012-08-11
[19]
서적
The Works of Thomas Jefferson
http://oll.libertyfu[...]
G.P. Putnam's Sons
2012-08-11
[20]
서적
The Writings of Thomas Jefferson
[21]
서적
The Works of Thomas Jefferson
http://oll.libertyfu[...]
G.P. Putnam's Sons
2012-08-11
[22]
서적
The Works of Thomas Jefferson
http://oll.libertyfu[...]
G.P. Putnam's Sons
2012-08-11
[23]
웹사이트
'Letter Wythe "A CRUSADE AGAINST IGNORANCE" To George Wythe Paris, August 13, 1786 1786081'
http://etext.virgini[...]
Electronic Text Center, University of Virginia Library
2012-08-11
[24]
웹사이트
Thomas Jefferson letter to George Washington, 4 January 1786
http://www.familytal[...]
FamilyTales
2012-08-11
[25]
웹사이트
Teaching American History
http://teachingameri[...]
[26]
웹사이트
Cherry Blossom History
http://www.nps.gov/n[...]
"[[National Park Service]]"
2009-01-13
[27]
웹사이트
http://www.wtop.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