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군 (이탈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군(이탈리아)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이탈리아 왕립 육군의 군대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트렌티노 전선을 담당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군과 전투를 벌였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프랑스 침공에 참여했고,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독일군과 함께 연합군에 맞서 싸웠다. 주요 지휘관으로는 로베르토 브루사티, 굴리엘모 페코리 지랄디, 아드리아노 마리네티, 피에트로 핀토르, 조반니 메세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1군 (이탈리아)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군대 정보 | |
부대명 | 제1군 |
원어 부대명 | 1ª Armata |
국가 | 이탈리아 왕국 |
군종 | 이탈리아 왕국 육군 |
종류 | 야전군 |
역할 | 해당 없음 |
규모 | 해당 없음 |
명령 체계 | 해당 없음 |
장비 | 해당 없음 |
활동 기간 | 1914년 – 1918년 1939년 – 1943년 |
별명 | 해당 없음 |
표어 | 해당 없음 |
색 | 해당 없음 |
군가 | 해당 없음 |
마스코트 | 해당 없음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조반니 메세 |
전투 | |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전투 |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서부 사막 전역 튀니지 전역 |
튀니지 전역 세부 전투 | 메드닌 전투 마레스선 전투 엘 게타르 전투 와디아카리트 전투 |
기타 정보 | |
![]() |
2. 제1차 세계 대전 (1915-1918)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제1군은 스위스-오스트리아-이탈리아 3국 국경에 위치한 스텔비오 고개에서 아시아고 고원까지 이르는 긴 전선을 담당했다. 이 군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징벌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이후 담당 구역이 축소되어, 트렌티노 국경과 베로나 지역 방어에 국한되었다.[1]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
- 로베르토 브루사티 (1915년 5월 - 1916년 5월)
- 굴리엘모 페코리 지랄디 (1916년 5월 - 1919년 12월)
제1군은 1914년 10월에 제1군이 된 밀라노 군단에서 유래되었다.[1] 다양한 군단(최대 5개) 외에도, 군단에 포함되지 않은 대규모 부대, 즉 보병 및 기병 사단과 알파인 부대(Alpine troops) 그룹을 보유하고 있었다. ''truppe altipiani'' 사령부도 나중에 이 군대에 배치되었다.[2] 제1군은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까지 주로 백색 전쟁에 참여했다.
1915년 5월 25일, 이탈리아군은 몬테 알티시모, 코니 숭가, 발다디제, 발라르사 일부, 가르다 호 근처 등 전략적 가치가 있는 지형을 정복했다.[9]
1916년 3월, 육군 정보국[10]은 오스트리아군이 트렌티노 지역에 집중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다. 이는 프란츠 콘라트 폰 횣첸도르프 원수가 계획한 징벌 원정의 준비였다.
1917년 카포레토 전투 동안 아시아고 고원을 방어하여 후퇴하는 이탈리아군이 피아베 강에 방어선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9]
1918년 6월 피아베 강 전투에서 트렌티노 전선 방어를 담당했다.[25]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공세 압력을 가했다.[25]
1918년 11월 3일 오후, 제1군 병력이 트렌토에 도착했다. "알레산드리아" 기병 연대, 제24 아르디티, 제4 알피니 그룹이 먼저 도착했고, 이탈리아 병사들은 주민들의 환영을 받았다.[30]
2. 1. 초기 편성 및 작전 (1915)
1915년 이탈리아가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을 때, 제1군은 트렌티노 전선을 담당했다. 이탈리아군 최고 사령관의 계획에 따르면, 제1군은 전쟁 준비 기간과 루이지 나바 장군 휘하의 제4군이 카도레에서 티롤로 가는 길을 열기 위한 작전을 펼치는 동안 전략적으로 방어적인 자세를 유지해야 했다.[6] 그러나 제1군은 이탈리아 국경의 안전을 보장하고, 가능한 한 편리한 곳에서 적 영토를 점령하기 위해 제한적인 공세를 수행해야 했다.[7]로베르토 브루사티 중장이 지휘하는 제1군은 비토리오 카메라나 중장이 지휘하는 제3군단과 플로렌조 알리프란디 중장이 지휘하는 제5군단으로 구성되었다.[3] 각 군단은 야전 포병대와 공병 부대를 포함하여 3개의 보병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베르사리에리, 알피니, 기병, 포병 및 기타 전문가로 구성된 군단 부대와 군대 부대가 있었다.[4]

제1군은 스텔비오 고개에서 롤레 고개/치스몬까지 약 200km에 걸쳐 배치되었으며, 제3군단은 스위스 국경에서 가르다 호 지역까지, 제5군단은 가르다에서 롤레/치스몬까지 담당했다.[5]
방어 태세를 유지해야 하는 임무에도 불구하고, 브루사티는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국경 너머의 방어선으로 물러났다는 사실을 카도르나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에 좌절했다. 따라서 제1군은 적극적으로 공격 작전을 수행했다.[8] 1915년 5월 25일, 이탈리아군은 몬테 알티시모, 코니 숭가와 발다디제, 발라르사의 일부 지역, 그리고 가르다 호 근처와 같이 상당한 전략적 가치를 가진 지형을 정복했다.[9]
그러나 8월부터 발다스티코의 머리 부분을 지키는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영구 요새에 대한 공격이 실패한 후, 카도르나 장군은 제1군에게 방어 태세로 복귀하도록 지시했다. 그럼에도 브루사티는 전선을 강화하기 위한 추가 작전을 포기하지 않고 병력을 공격적으로 배치했다. 이러한 배치는 방어 준비를 소홀하게 하여 가용한 병력의 대부분이 전진 위치에 집중하도록 이끌었다.[9]
2. 2. 1916년 작전
1916년 3월, 육군 정보국[10]은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트렌티노 지역에 집중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다. 이는 프란츠 콘라트 폰 횣첸도르프 원수가 계획한 징벌 원정의 준비였다. 이 공세는 이탈리아군을 격파하고 제1군 전선을 통해 이탈리아 이손초 배치 전체를 후방에서 점령하려는 의도였다.[11] 적의 공세가 예상되자 카도르나는 브루사티에게 다섯 개 사단을 추가로 배정했다.[11]브루사티의 부대는 공격적 진격 이후 지쳐 있었고 방어 상태는 제대로 준비되지 않았다. 카도르나와 의견이 일치하지 않은 브루사티는 강화 작업의 견고함을 믿고 전진 배치 끝에 방어를 배치했다.[12] 4월 1일, 육군은 다시 공세에 나서 부분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방어에 대한 대가를 치렀다.
4월 후반, 카도르나 장군은 제1군 전선을 방문했고, 브루사티를 만나는 것을 거부했다. 5월 8일,[13] 브루사티는 카도르나에 의해 지휘권을 박탈당했고,[14] 오스트리아-헝가리 반격이 시작되기 8일 전에 구글리엘모 페코리 지랄디 장군으로 교체되었다.

제1군은 새로 창설된 제5군과 함께 이 주요 오스트리아-헝가리 작전에서 승리했으며, 폰 횣첸도르프가 이탈리아 공세에서 부대를 빼서 동부 전선으로 이동하도록 요구한 갈리시아의 러시아 브루실로프 공세의 도움을 받았다.
1916년 8월, 제1군은 레지오 에제르시토 전체와 함께 재편성되고 확장되었다. 제1군은 이제 트렌티노의 같은 전선을 담당하는 6개 군단을 보유했다.
군단 | 사단 | 지휘관 |
---|---|---|
제3군단 | 제5, 제6, 제37사단 | 카메라나 장군 |
제5군단 | 제44, 제47, 제32사단 | 베르토티 중장 |
제10군단 | 제9, 제20사단 | 그란디 중장 |
XII 군단 | 제30, 제29, 제25사단 | 조피 중장 |
XX 군단 (알티피아니 부대) | 제13, 제28, 알피니 부대 | 몬투오리 중장 (Mambretti 중장의 지휘) |
제18군단 | 제15사단과 제2기병대 | 에트나 중장 |
베로나에는 보병 대대, 포병, 폭탄 부대, 기병대 및 공병 부대로 구성된 군단 병력이 있었다.[15]
1916년의 나머지 기간 동안, 이 육군은 백색 전쟁으로 알려진 전투와 기타 작전에 참여했다. 9월과 10월에 몬테 파수비오, 9월에 몬테 시모네, 8월과 9월에 발 수가나에 공격이 있었으며, 발 수가나, 발 포시나, 알티피아노 다시아고에서 수많은 소규모 작전이 있었다.[16] 많은 병사들이 눈사태로 사망했다.
1916년 11월, 제1군은 카도르나의 동의를 받아 "작전 K"(암호명)를 계획했는데, Mambretti 장군의 ''알티피아니 부대''와 제18군단을 사용하여 몬테 오르티가라를 목표로 하는 소규모 반격 작전이었다.[17] 이 작전은 폭설로 인해 취소되었다. 이탈리아 사령부는 나중에 1917년 6월 계획을 재개하고 확대할 것이다. 1916년 12월 1일, Mambretti는 이제 새로운 제6군 (이탈리아)을 지휘하게 되었고, XX 군단과 제18군단을 인수했다. 이 부대에 새로 창설된 제22군단과 제26군단이 추가되었다.
2. 3. 1917년 작전
카포레토 전투 이후 이탈리아군 재편 과정에서 1917년 XXIX, V, XXVI, XXII 군단을 포함한 여러 신규 군단이 제1군에 배속되었다(1916-1917).[18] 이때 제1군은 트렌티노 전선을 방어했는데, III 군단 (제5 및 제6 사단 및 발텔리나 여단)이 스테비오에서 가르다까지, XXIX 군단 (제37 및 제27 사단), V 군단 (제55 및 제69 사단), X 군단 (제32 및 제9 사단), 세 개의 '알티피아니 부대' 군단 (XXVI – 제12 및 제11 사단, XXII – 제57 및 제2 사단 및 XX – 제29 및 제52 사단)이 가르다에서 수가나까지 방어했다.[18]제1군은 1917년에 주요 방어전이나 반격전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카포레토 전투 동안 아시아고 고원을 방어하여 11월에 후퇴하는 이탈리아군이 피아베 강에 강력한 방어선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9]
1917년에도 제1군은 트렌티노 산맥의 고립된 계곡에서 6월과 10월 사이에 일련의 소규모 작전을 통해 백색 전쟁을 계속했다. 다음은 보고된 소규모 작전이다:[20]
작전 지역 | 참여 부대 |
---|---|
코르노 디 카벤토(아다멜로) | 제5사단 |
카시나 가리오니 / 카시나 파스콘 | X군단 |
마시오 | III군단 |
모리와 Mt. 지오보의 발라가리나 | XXIX군단 |
발 디 레드로 | III군단 |
발 포시나 | V군단 |
마시코 델 오르틀러 | 아르디티 |
발 콘체이와 도소 프리겐 | III군단 |
발 주디카레 | III군단 |
Mt. 알티시모 | XXIX군단 |
발 카모니카 | III군단 |
2. 4. 1918년 작전 및 종전
1918년 6월, 피아베 강 제2차 전투에서 제1군은 트렌티노 전선 방어를 담당했다.[25] 이 지역에서는 큰 전투는 없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공세 압력을 가했다.[25] 8월부터는 다음과 같은 소규모 전투가 시작되었다:[27]전투명 | 날짜 | 내용 |
---|---|---|
도소 알토 디 주레즈 전투 | 8월 3일 | 제29군단(아르디티)이 오스트리아군 점령 지역을 탈환했다. |
발 포지나의 몬테 마조 전투 | 8월 30일 | 제5군단(베르사글리에리 및 아르디티)이 언덕 1500을 점령했다. |
노르드 사노 | 9월 11일 | 아르디티는 체코 연대의 지원을 받아 오스트리아 전초 기지를 점령하고 포로 12명을 생포했다. |
도소 알토 및 사소 세가 | 9월 21일 | 체코 군단은 오스트리아군의 탈환 시도를 격퇴했다. |
치마 트레 페치 | 9월 24일 | 베르사글리에리와 체코군(제10군단 구역)은 영국 사단의 포병 지원을 받아 이곳을 점령했다. |
발로네 디 벨라시 | 9월 25일 | 알피니(제10군단)는 오스트리아 진지를 점령했다. |
파수비오 - 콜 산토 | 9월 26일 | 베르사글리에리(제5군단)는 오스트리아군의 공격 시도를 격퇴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이탈리아 제1군은 움베르토 2세 왕세자 휘하의 서부군 집단을 구성하는 3개 군대 중 하나였다. 이탈리아 제4군과 이탈리아 제7군(예비대)과 함께 프랑스 침공에 참여하여 프랑스군을 공격했다.[32]
10월 말,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가 시작되면서 제1군은 방어 태세를 유지했다.[28] 그러나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후퇴하면서 제1군은 로베레토와 트렌토 시를 향해 공세를 시작했다.
11월 2일, 이탈리아 최고 사령부는 제1군 병력을 움직이기 시작했다. 제10군단이 발 다스티코에서 공격을 개시하여 별다른 저항을 받지 않았고, 제1군은 토네자 고원과 루세르나 고원으로 진격했다. 32사단은 발라가리나로 진격하여 로베레토를 점령했다.[29]
11월 3일 오후, 제1군 병력이 트렌토에 도착했다. 도시에 처음 들어선 부대는 기병 연대 "알레산드리아", 제24 아르디티, 제4 그룹의 알피니였다. 이탈리아 병사들은 주민들로부터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30] 휴전이 발효되었을 때, 제1군 사령관 지랄디가 트렌토에 들어섰다.
휴전 이후, 제1군은 트렌티노, 남티롤 및 오스트리아 티롤 전체에 대한 점령을 책임지게 되었다. 1919년 9월 20일, 제1군 사령부는 트렌토 지역 사령부가 되었다.[31]
3. 제2차 세계 대전 (1940-1943)
1942년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아프리카 기갑군이 패배하고 횃불 작전으로 연합군이 상륙한 후, 에르빈 롬멜 육군 원수는 이집트와 리비아에서 철수하여 프랑스가 건설한 마레트 선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롬멜은 아프리카 육군 집단 지휘를 맡고, "독일-이탈리아 기갑군"(구 "아프리카 기갑군") 지휘권을 조반니 메세 장군에게 넘겼다.[33]
아프리카 육군 집단 소속 제1군은 버나드 몽고메리 중장이 지휘하는 영국 제8군을 상대로 메데닌 전투(카프리 작전)에서 공격을 감행했으나 참패했다. 롬멜과 아르님의 튀니지 돌파 시도 역시 실패했다.[33]
3. 1. 프랑스 침공 (1940)
1940년 6월, 이탈리아 제1군은 서부 알프스 전선에서 프랑스군을 공격했다. 당시 제1군은 피에트로 핀토르 장군이 지휘했으며, 프란체스코 베르티니 장군이 지휘하는 제2군단, 마리오 아리시오 장군이 지휘하는 제3군단, 가스토네 감바라 장군이 지휘하는 제15군단 등 3개 군단으로 구성되었다.[32]
1940년 6월 10일, 이탈리아 제1군의 전투 서열은 다음과 같았다.[32]
지휘관 | 부대 |
---|---|
프란체스코 베르티니 장군 | |
마리오 아리시오 장군 | |
가스토네 캄바라 장군 |
3. 2. 북아프리카 전역 (1942-1943)
1942년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아프리카 기갑군이 패배하고 횃불 작전 상륙이 이루어진 후, 육군 원수 에르빈 롬멜은 이집트와 리비아의 "서부 사막"에서 철수하여 프랑스가 건설한 마레트 선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롬멜은 새로 창설된 아프리카 육군 집단의 지휘권을 잡고 "독일-이탈리아 기갑군"(구 "아프리카 기갑군")을 이탈리아 장군 조반니 메세에게 넘겨주었다.[33]롬멜이 지휘하는 아프리카 육군 집단 소속이었던 제1군은 버나드 몽고메리 중장이 지휘하는 영국 제8군을 상대로 카프리 작전(마레트 선 동쪽의 메데닌 전투)에서 공격을 감행했으나 참패했다. 롬멜과 아르님에 의한 튀니지 돌파 시도도 실패했다.[33]
1943년 4월의 전투 서열은 다음과 같다.[33]
부대 |
---|
제21기갑사단 |
제15기갑사단 |
제90경보병사단 |
제164경보병사단 |
제16기동사단 "피스토이아" |
제101기동사단 "트리에스테" |
제131기갑사단 "첸타우로" |
제136기갑사단 "조바니 파시스티" |
L특수여단 |
4. 튀니지 전투 서열 (1943년 4월)
1943년 4월, 튀니지 전투 당시 이탈리아 제1군은 아프리카 집단군의 휘하에 있었으며, 독일군 부대와 함께 편제되어 있었다.[33] 제20차량화군단, 제21군단, 아프리카 군단 등이 제1군에 배속되어 있었다.
4. 1. 이탈리아군 부대
4. 2. 독일군 부대
5. 지휘관
제2차 세계 대전
- 아드리아노 마리네티 장군 (1939년 - 1940년 6월)
- 피에트로 핀토르 장군 (1940년 6월 10일 – 1940년 6월 24일)
- 조반니 메세 장군 (1943년 2월 23일 – 1943년 5월 13일)[33]
5. 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제1군은 스위스-오스트리아-이탈리아 3국 경계에 위치한 스텔비오 고개에서 아시아고 고원까지 이르는 긴 전선을 담당했다. 이 군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징벌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이후 담당 구역이 축소되어, 트렌티노 국경과 베로나 지역 방어에 국한되었다.제1군의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1]
- 로베르토 브루사티 (1915년 5월 - 1916년 5월)
- 굴리엘모 페코리 지랄디 (1916년 5월 - 1919년 12월)
제1군은 1914년 10월 밀라노 군단에서 유래되었다.[1] 제1군은 최대 5개의 다양한 군단 외에도, 군단에 포함되지 않은 대규모 부대(보병 및 기병 사단, 알파인 부대(Alpine troops) 그룹)를 보유했다. ''truppe altipiani'' 사령부도 나중에 이 군대 내에 배치되었다.[2] 제1군은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Battaglia di Vittorio Veneto)까지 정복, 실패, 재정복(주로 백색 전쟁)에 참여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이탈리아로 확대되면서, 제1군은 로베르토 브루사티 중장의 지휘 하에 비토리오 카메라나 중장의 밀라노 제3군단과 플로렌조 알리프란디 중장의 베로나 제5군단으로 구성되었다.[3] 각 군단은 야전 포병대와 공병 부대를 포함하여 3개의 보병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베르사리에리(bersaglieri), 알피니(alpini), 기병, 포병 및 기타 전문가로 구성된 군단 부대와 보병, 기병, 포병 및 전문가로 구성된 군대 부대가 있었다.[4]
베로나에 사령부를 둔 제1군은 스텔비오 고개에서 롤레 고개/치스몬까지 약 200km의 전선을 담당했다. 제3군단은 스위스 국경에서 가르다 호 지역까지, 제5군단은 가르다에서 롤레/치스몬까지 담당했으며, 그곳에서 제4군이 구역을 시작했다. 이곳은 트렌티노 전선으로 지정되었다.[5] 군 최고 사령관의 계획에 따르면, 제1군은 루이지 나바 장군 휘하의 제4군이 카도레에서 티롤로 가는 길을 열기 위한 작전을 펼치는 동안 전략적으로 방어적인 자세를 유지해야 했다.[6]
그러나 제1군은 이탈리아 국경의 안전을 보장하고, 가능한 한 적 영토를 점령하기 위해 제한적인 공세를 수행해야 했다.[7] 루이지 카도르나의 계획에서 제1군은 트렌티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스트리아 공세를 방어하여, 이손초 전선에 투입된 이탈리아군 주력 부대의 후방을 제4군과 함께 보호할 예정이었다.
브루사티는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국경 너머의 방어선으로 물러났다는 사실을 카도르나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에 좌절했다. 따라서 브루사티의 제1군은 열정적으로 공격 작전을 수행했다.[8] 1915년 5월 25일, 이탈리아군은 몬테 알티시모, 코니 숭가, 발다디제, 발라르사의 일부 지역, 가르다 호 근처와 같이 전략적 가치를 가진 지형을 정복했다.[9]
8월부터, 발다스티코의 오스트리아-헝가리군 요새(베체나 고원)에 대한 공격이 실패한 후, 카도르나 장군은 제1군 사령부에 방어 모드로 복귀하도록 지시했다. 그럼에도 브루사티는 전선을 강화하기 위한 추가 작전을 포기하지 않고 병력을 공격적인 자세로 배치했다.
1916년 3월, 육군 정보국[10]은 오스트리아군이 트렌티노 지역에 집중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다. 이는 프란츠 콘라트 폰 횣첸도르프 원수가 계획한 징벌 원정의 준비였다. 카도르나는 브루사티에게 다섯 개 사단을 더 배정했지만,[11] 그 지역에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브루사티의 부대는 공격적 진격 이후 지쳐 있었고 방어 상태는 제대로 준비되지 않았다. 카도르나와 의견이 일치하지 않은 브루사티는 강화 작업의 견고함을 믿고 전진 배치 끝에 방어를 배치했다.[12] 4월 1일, 육군은 다시 공세에 나섰지만 방어에 대한 대가를 치렀다.
4월 후반, 카도르나 장군은 제1군 전선을 방문했고, 브루사티를 만나는 것을 거부했다. 5월 8일,[13] 브루사티는 카도르나에 의해 지휘권을 박탈당했고,[14] 오스트리아-헝가리 반격 8일 전 굴리엘모 페코리 지랄디 장군으로 교체되었다.
제1군은 새로 창설된 제5군과 함께 오스트리아-헝가리 작전에서 승리했으며, 폰 횣첸도르프가 동부 전선으로 이동하도록 요구한 러시아 브루실로프 공세의 도움을 받았다.
1916년 8월, 제1군은 레지오 에제르시토 전체와 함께 재편성되고 확장되었다. 제1군은 트렌티노 전선을 담당하는 6개 군단을 보유했다. 제3군단(제5, 제6, 제37사단)은 카메라나 장군, 제5군단(제44, 제47, 제32사단)은 베르토티 중장, 제10군단(제9, 제20사단)은 그란디 중장 휘하였다. XII 군단(제30, 제29, 제25사단)은 조피 중장, XX 군단(제13, 제28, 알피니 부대)은 몬투오리 중장 휘하의 ''알티피아니 부대''는 Mambretti 중장이 지휘했다. 제18군단(제15사단과 제2기병대)은 에트나 중장 휘하였다. 베로나에는 보병 대대, 포병, 폭탄 부대, 기병대 및 공병 부대로 구성된 군단 병력이 있었다.[15]
1916년 나머지 기간 동안, 제1군은 백색 전쟁으로 알려진 전투와 기타 작전에 참여했다. 9월과 10월에 몬테 파수비오, 9월에 몬테 시모네, 8월과 9월에 발 수가나에 공격이 있었으며, 발 수가나, 발 포시나, 알티피아노 다시아고에서 소규모 작전이 있었다.[16] 많은 병사들이 눈사태로 사망했다.
1916년 11월, 제1군은 "작전 K"(암호명)를 계획했는데, Mambretti 장군의 ''알티피아니 부대''와 제18군단을 사용하여 몬테 오르티가라를 목표로 하는 소규모 반격 작전이었다.[17] 이 작전은 폭설로 취소되었다. 이탈리아 사령부는 1917년 6월 계획을 재개하고 확대할 것이다. 1916년 12월 1일, Mambretti는 제6군 (이탈리아)을 지휘하게 되었고, XX 군단과 제18군단을 인수했다. 제22군단과 제26군단이 추가되었다.
1917년 재편성의 일환으로 (카포레토 이후) XXIX, V, XXVI, XXII 군단을 포함한 여러 신규 군단이 제1군에 배속되었다(1916-1917). 이때 트렌티노 전선은 III 군단 (제5 및 제6 사단 및 발텔리나 여단)이 스테비오에서 가르다까지, XXIX 군단 (제37 및 제27 사단), V 군단 (제55 및 제69 사단), X 군단 (제32 및 제9 사단), 세 개의 '알티피아니 부대' 군단 (XXVI – 제12 및 제11 사단, XXII – 제57 및 제2 사단 및 XX – 제29 및 제52 사단)이 가르다에서 수가나까지 방어했다.[18]
제1군은 1917년 주요 방어전이나 반격전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카포레토 전투 동안 아시아고 고원을 방어하여 11월에 후퇴하는 이탈리아군이 피아베 강에 방어선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9]
1917년에도 제1군은 트렌티노 산맥의 고립된 계곡에서 소규모 작전(6월과 10월 사이)을 통해 백색 전쟁을 계속했다. 다음의 소규모 작전이 보고되었다:[20]
- 코르노 디 카벤토(아다멜로) (제5사단), 카시나 가리오니 / 카시나 파스콘 (X군단)
- 마시오 (III군단), 모리와 Mt. 지오보의 발라가리나 (XXIX군단)
- 발 디 레드로 (III군단), 발 포시나 (V군단)
- 마시코 델 오르틀러 (아르디티)
- 발 콘체이와 도소 프리겐 (III군단)
- 발 주디카레 (III군단)
- Mt. 알티시모 (XXIX군단) 및
- 발 카모니카 (III군단)
10월 말, 최종 전투(비토리오 베네토)가 시작되면서 제1군(제7군과 함께)은 엄격한 방어 태세를 유지해야 했다.[28] 그러나 전투가 진행되고 제1군 주둔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후퇴하여 혼란스러운 퇴각으로 붕괴되면서 제1군은 로베레토와 트렌토 시를 향해 공세를 시작했다.
11월 2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상황이 비관적으로 변하면서 이탈리아 최고 사령부도 지랄디의 제1군 병력을 움직이기 시작했다. 제10군단이 발 다스티코에서 공격을 개시하여 별다른 저항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지랄디는 작전을 가속화했고 병력은 토네자 고원과 루세르나 고원으로 진격했다. 32사단의 발라가리나 행군은 이른 오후에 시작되었고, 가스토네 감바라 소령의 아르디티 부대와 3개 알피니 대대가 계곡으로 진격하여 로베레토를 점령했다.[29]
이탈리아군의 진격은 일반화되었다. 아디제 강 좌안에서는 피체노와 리구리아 여단이 발라르사에서 행군했고, 파수비오에서는 발 포시나에서 행군했다. 아디제 계곡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붕괴는 파멸적이 되었고, 물자와 차량이 버려졌으며, 북쪽으로 향하는 열차는 병사들에게 공격을 받았고, 공황과 규율 부족이 퍼졌다.
11월 3일 오후, 제1군 병력이 트렌토에 도착했다. 도시에 처음 들어선 부대는 기병 연대 "알레산드리아", 제24 아르디티, 제4 그룹의 알피니였다. 피스토이아 여단의 보병은 나중에 도착했다. 최종 진격은 반대에 직면하지 않았고, 이탈리아 병사들은 주민들로부터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30] 그날 저녁에는 지아르디노 장군의 제4군 "파도바" 기병 연대 부대가 트렌토에 도착했고, 다음 날 오후에는 제1군 사령관인 지랄디가 휴전이 발효되었을 때 트렌토에 들어섰다.
5. 2.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 프랑스 침공 당시 이탈리아 제1군은 피에트로 핀토르 장군의 지휘 하에 움베르토 2세 왕세자가 이끄는 서부군 집단의 일부였다. 제1군은 이탈리아 제4군, 이탈리아 제7군과 함께 프랑스군을 공격했다.[33] 제1군은 3개 군단으로 구성되었다.[33]- 제2군단 (프란체스코 베르티니 장군 지휘)
- 제3군단 (마리오 아리시오 장군 지휘)
- 제15군단 (가스토네 감바라 장군 지휘)
사단 | 지휘관 |
---|---|
제4 보병 사단 "리보르노" | 벤베누토 지오다 장군 |
제33 보병 사단 "아쿠이" | 프란체스코 사르토리스 장군 |
제36 보병 사단 "포를리" | 줄리오 페루지 장군 |
제4 알피니 사단 "쿠네엔세" | 알베르토 페레로 장군 |
사단 | 지휘관 |
---|---|
제3 보병 사단 "라벤나" | 에도아르도 네비아 장군 |
제6 보병 사단 "쿠네오" | 카를로 멜로티 장군 |
사단 | 지휘관 |
---|---|
제5 보병 사단 "코세리아" | 알베르토 바사리 장군 |
제37 보병 사단 "모데나" | 알레산드로 글로리아 장군 |
제44 보병 사단 "크레모나" | 움베르토 몬디노 장군 |
1942년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아프리카 기갑군이 패배하고 횃불 작전 상륙 이후, 에르빈 롬멜 원수는 이집트와 리비아에서 철수하여 프랑스가 건설한 마레트 선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롬멜은 아프리카 육군 집단 지휘권을 잡고 "독일-이탈리아 기갑군"을 이탈리아 조반니 메세 장군에게 넘겨주었다.[33]
1943년 제1군은 버나드 몽고메리 중장이 지휘하는 영국 제8군을 상대로 메데닌 전투에서 공격을 감행했으나 참패했다. 롬멜과 아르님에 의한 튀니지 돌파 시도는 실패했다.[33]
1943년 4월, 제1군의 전투 서열은 다음과 같았다.[33]
부대 |
---|
제21기갑사단 |
제15기갑사단 |
제90경보병사단 |
제164경보병사단 |
제16기동사단 "피스토이아" |
제101기동사단 "트리에스테" |
제131기갑사단 "첸타우로" |
제136기갑사단 "조바니 파시스티" |
L특수여단 |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제1군을 지휘한 장군은 다음과 같다.[33]
- 아드리아노 마리네티 장군 (1939년 - 1940년 6월)
- 피에트로 핀토르 장군 (1940년 6월 10일 – 1940년 6월 24일)
- 조반니 메세 장군 (1943년 2월 23일 – 1943년 5월 13일)
참조
[1]
웹사이트
Regio Esercito Website
http://www.regioeser[...]
2003
[2]
웹사이트
Italian Ministry of Defence – History
http://www.esercito.[...]
[3]
웹사이트
Ordinamenti: organici di Corpi d'Armata, Divisioni, Reggimenti dal 1915 ad oggi
https://digilander.l[...]
[4]
문서
1st Army Order of Battle
[5]
서적
L'Esercito Italiano Nella Grande Guerra (1915-1918), Volume II Le Operazioni Del 1915
Stato Maggiore dell'Esercito, Ufficio Storico
1929
[6]
서적
La guerra alla fronte italiana: Fino all'arresto sulla linea della Piave e del Grappa. (24 maggio 1915-9 novembre 1917)
Fratelli Treves
1921
[7]
서적
1921
[8]
서적
The White War: Life and Death on the Italian Front, 1915-1919
Basic Books
2008
[9]
서적
1921
[10]
서적
2008
[11]
서적
2008
[12]
서적
L'amico del re. Il diario di guerra inedito di Francesco degli Azzoni Avogadro, aiutante di campo del Re Vol.2 (1916)
Gaspari editore, Udine
2011
[13]
서적
2010
[14]
서적
2011
[15]
서적
L'Esercito Italiano Nella Grande Guerra (1915-1918), Volume III, Tomo 3, Le Operazioni Del 1916
Stato Maggiore dell'Esercito, Ufficio Storico
1937
[16]
서적
Operazioni Del 1916, Volume III, Tomo 3
1937
[17]
서적
Storia della grande guerra sul fronte italiano
Mursia, Milano
2009
[18]
서적
L'Esercito Italiano Nella Grande Guerra (1915-1918), Volume IV, Tomo 3, Le Operazioni Del 1917
Stato Maggiore dell'Esercito, Ufficio Storico
1967
[19]
서적
Caporetto and the Isonzo Campaign: The Italian Front, 1915–1918
Pen & Sword
2011
[20]
서적
L'Esercito Italiano Nella Grande Guerra (1915-1918), Volume IV, Tomo 2, Le Operazioni Del 1917
Stato Maggiore dell'Esercito, Ufficio Storico, Roma
1967
[21]
서적
L'Esercito Italiano Nella Grande Guerra (1915-1918), Volume V, Tomo 1, Le Operazioni Del 1918 gennaio da Maggio
Stato Maggiore dell'Esercito, Ufficio Storico, Roma
1980
[22]
서적
L'Esercito Italiano, Volume V, Tomo 1
1980
[23]
문서
Italian Ministry of Defence – History
[24]
서적
L'Esercito Italiano, Volume V, Tomo 1
1980
[25]
서적
Disaster Ending in Final Victory: The Dissolution of the Austro-Hungarian Empire ..., Volume 3
Xlibris
2010
[26]
서적
L'Esercito Italiano, Volume V, Tomo 1
1980
[27]
서적
L'Esercito Italiano, Volume V, Tomo 1
1980
[28]
서적
L'Esercito Italiano, Volume V, Tomo 1
1980
[29]
서적
Storia della Grande Guerra sul fronte italiano. 1914-1918
Mursia, Milano
2009
[30]
서적
1993
[31]
문서
Italian Ministry of Defence – History
[32]
웹사이트
Axis History Factbook
http://www.axishisto[...]
2005-07-18
[33]
간행물
The Army at War:Tunisia
HMSO
194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