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낙하산해병보병연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낙하산해병보병연대는 프랑스 육군에 속한 부대로, 프랑스 공군, 보병, 식민지군, 해병대의 부대를 계승한다. 이 연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된 프랑스 공수 특공 부대의 후계 부대로, 영국 SAS와 협력하여 다양한 작전을 수행했다. 인도차이나 전쟁, 알제리 전쟁, 걸프 전쟁, 유고슬라비아 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말리 내전 등 여러 분쟁 지역에 파병되었으며, 특수 작전, 공중 투입, 수륙 양용 작전, 대테러, 경호, 정글, 사막, 산악 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제1낙하산해병보병연대는 훈장을 많이 받은 부대로, 자주색 베레를 착용하며, "감히 이기는 자"라는 모토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해병연대 - 제1해병포병연대
    제1해병포병연대는 1622년 창설되어 다양한 전쟁에 참전했으며, CAESAR 자주포를 최초로 인수했으나 2015년 해산된 프랑스 육군의 포병 연대이다.
  • 프랑스의 특수부대 - 육군특수부대사령부 (프랑스)
    육군특수부대사령부는 프랑스 육군의 특수 작전을 지휘하는 사단급 부대로, 2016년 창설되어 여러 특수 부대를 지휘하며 주요 작전에 참여했으나 2024년 육군 특수 작전 사령부로 대체되었다.
  • 프랑스의 특수부대 - 제13낙하산용기병연대
    제13낙하산용기병연대는 프랑스군에서 창설되어 특수 정찰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로, '드 로제 연대'로 창설되어 여러 전쟁을 거쳤고 해체와 재창설을 반복하며 다양한 분쟁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프랑스 특수 작전 사령부 직할 부대로 '불가능을 넘어'를 표어로 한다.
제1낙하산해병보병연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대 베레모 배지
연대 베레모 배지
명칭제1해병보병낙하산연대
표어 (번역)대담한 자가 이긴다
약칭1er R.P.I.Ma
식별 기호[[File:Insigne du 1er régiment de parachutistes d'infanterie de marine (1erRPIMA).svg|Insigne de béret du 1er RPIMA "Qui ose gagne"|130px]]
연혁
창설1940년 9월 15일
현재 상황
군종프랑스 육군
규모연대
종류특수부대
현재 사령관Cutajar 대령
주둔지바욘, 프랑스
병력 규모865명 (2017년 기준)
지휘 체계육군특수부대사령부
전투 및 작전
주요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레바논 내전
레바논 다국적군
사막 폭풍 작전
항구적 자유 작전
코르모란 작전
세르발 작전
세계 테러와의 전쟁 (2001년 – 현재)
기타
기념일성 미카엘의 날

2. 역사

연대 이름에도 불구하고, 제1해병강하보병연대는 프랑스 육군 소속이다. 해군 보병의 기원은 1762년 프랑스 육군 부대가 선박 탑재 및 해외 임무를 위해 프랑스 해군에 배속되었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1해병강하보병연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최초의 식민지 공수 특공 반여단의 후계 부대이다. 1940년 9월 15일 조르주 베르제 대위 지휘 하에 제1공수중대가 영국에서 특수 공중 작전부대(SAS)의 공수 부대로 창설되었다. 1941년 스코틀랜드에서 제1 CCP/SAS가 창설되었고, 1942년부터 1944년까지 크레타, 리비아, 튀니지, 브르타뉴, 벨기에, 네덜란드에서 작전에 투입되었다.

이후 중대는 해체되었고, 1946년부터 1949년까지 SAS 공수 반여단, 1949년부터 1955년까지 인도차이나에서 제1식민지 공수 특공 반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1955년부터 1958년까지 알제리에서 B.P.C로, 1959년부터 1960년까지 B.C.C.P는 G.I.B.P.OM으로 해체 및 재지정되었고, 1960년에는 B.P.C.I.Ma, 1962년에는 SAS 휘장을 유지한 제1해병강하보병연대(1erR.P.I.Ma)로 개칭되었다.



1955년 식민지공수여단(BPC)으로 개편, 1960년 제1해병공수보병연대(1er RPIMa)로 개칭.[1] 1973년 특수 작전 임무 부여.[2] 1974년부터 1981년까지 장거리 정찰 임무에 집중했다.

1990년대 이후, 걸프 전쟁, 유고슬라비아 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말리 내전 등 다양한 분쟁 지역에 파병되었다. 1997년 육군 특수 부대 여단(BFST)의 핵심 부대가 되었다.

제1낙하산해병보병연대 주요 참전 목록
참전기간
알제리 전쟁1954년 ~ 1962년
레바논 내전1975년 ~ 1990년
코모로 분쟁1992년
유고슬라비아 분쟁1991년 ~ 2001년
르완다 분쟁1990년 ~ 1993년
코소보 전쟁1998년 ~ 1999년
아프가니스탄 전쟁 (항구적 자유 작전)2001년 ~ 2021년
말리 북부 분쟁2012년 ~ 현재
세르발 작전2013년 ~ 2014년



2017년 10월 4일, 니제르에서 미군 특수부대와 합동 작전 중 전사한 미군을 구조했다. 자세한 내용은 Tongo Tongo ambush|통고 통고 매복영어 참고.

2. 1. 기원 (제2차 세계대전)

1940년 9월 15일, 조르주 베르제 대위의 지휘 아래 제1공수보병중대(1e C.I.A)가 영국에서 창설되었다.[1] 1941년, 자유 프랑스군에 재배속되어 제1공수중대(1er Compagnie Parachutiste)로 개칭되었다.

1942년 1월 1일, 데이비드 스털링 소령 휘하의 특수 공군 부대(SAS) 프랑스 비행대로 편입되어 수에즈 운하의 키브리트 공군 기지에 주둔하는 특수 부대가 되었다. 같은 해 6월, 프랑스 SAS는 크레테에서 독일 항공기 20대를 파괴하고 리비아 전선의 여러 공항을 공격했다.[2] 1943년 1월에는 튀니지에서 독일 후위 부대를 공격했다.

1944년 6월 5일~6일 밤, 브르타뉴에 낙하한 FFL 소속 36명의 공수부대가 노르망디 상륙의 첫 번째 사상자인 에밀 부에타르 상병을 포함하여 프랑스 국내군(FFI) 및 미 육군 제2사단과 연합 작전을 펼쳤다. 같은 해 8월, 파리 해방 작전에 참여했고, 9월 11일에는 한 개 중대가 독일군 3,000명을 포로로 잡았다.

1945년 4월 7일~8일 밤, 애머스트 작전을 통해 네덜란드에 낙하하여 18일까지 전투를 벌였다.

2. 2. 인도차이나 전쟁 (1946-1954)

1946년 2월 1일, 제1공수 사냥 연대(1e R.C.P)와 제2공수 사냥 연대(2e R.C.P)의 병력으로 제1충격 SAS대대(1e B.C-S.A.S)가 창설되었다. 같은 해 2월 23일에는 제1공수 SAS대대(1e B.P-S.A.S)로, 3월 1일에는 제1공수 사냥 연대(1e R.C.P)와 제1충격 공수 보병 연대(1e R.I.C.A.P)의 병력으로 제2충격 SAS대대(2e B.C-S.A.S)가 창설되었다.[4] 1947년 9월 25일, 두 SAS 공수 대대는 제1공수 SAS대대(1e B.P-S.A.S)로 재편성되었다.[4] 1948년 1월 1일, 이 대대는 제1식민지 공수 특공대대(1e B.C.C.P)로 변경되었다가 같은 해 7월 4일 해체되었다.[4]

1949년 12월 7일, 또 다른 제1식민지 공수 특공대대(1e B.C.C.P)가 창설되었다.[4] 1950년 10월 1일에는 제1식민지 공수 특공대(1e G.C.C.P)로, 1951년 3월 1일에는 제1식민지 공수 대대(1e B.P.C)로 변경되었다가 1952년 1월 19일 해체되었다.[4] 1953년 6월 20일, 다시 제1식민지 공수 대대(1er B.P.C)가 창설되었다.[4]

1946년 7월 1일, 제1 및 제2 SAS 낙하산 대대로부터 인도차이나에서 제1 낙하산 수색 연대(1er Demi-Brigade de Parachutistes SAS, 1er D-B.P.SAS)가 창설되었다.[4] 이후 여러 차례 부대 개편을 거쳐 1948년 6월에는 브르타뉴에 제1 D-B.C.C.P, 인도차이나에 제2 D-B.C.C.P가 창설되었다.[4]

프랑스 공수부대는 160회 이상의 전투 강하를 수행했는데, 이 중 일부를 제1낙하산해병보병연대의 전신 부대들이 수행했다.[4]

2. 3. 알제리 전쟁 이후 (1954-현재)

1955년, 식민지공수여단(BPC)으로 개편되었다가, 1960년 제1해병공수보병연대(1er RPIMa)로 개칭되었다.[1] 1973년, 특수 작전 임무를 부여받았다.[2] 1974년부터 1981년까지 장거리 정찰 임무에 집중했다.

1990년대 이후, 걸프 전쟁, 유고슬라비아 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말리 내전 등 다양한 분쟁 지역에 파병되었다. 1997년 육군 특수 부대 여단(BFST)의 핵심 부대가 되었다.

제1낙하산해병보병연대 주요 참전 목록
참전기간
알제리 전쟁1954년 ~ 1962년
레바논 내전1975년 ~ 1990년
코모로 분쟁1992년
유고슬라비아 분쟁1991년 ~ 2001년
르완다 분쟁1990년 ~ 1993년
코소보 전쟁1998년 ~ 1999년
아프가니스탄 전쟁 (항구적 자유 작전)2001년 ~ 2021년
말리 북부 분쟁2012년 ~ 현재
세르발 작전2013년 ~ 2014년



2017년 10월 4일, 니제르에서 미군 특수부대와 합동 작전 중 전사자를 낸 미군을 구조했다. 자세한 내용은 Tongo Tongo ambush|통고 통고 매복영어을 참고.

3. 부대 편성

견장


제1해병낙하산보병연대(1er RPIMa)는 4개의 주요 RAPAS (공수 정찰 및 특수 작전) 전투 중대로 편제되어 있다.

  • 연대 본부
  • 본부 관리 중대
  • 훈련 중대
  • 제1중대: 강하병, HAHO, HALO, 대테러 및 경호[1]
  • 제2중대: 산악, 북극, 사막 및 정글전[2]
  • 제3중대: 기동 순찰[3]
  • 제4중대: 대테러, 인질 구출 및 도시 지역 정찰[4]


각 중대는 RAPAS 분대로 나뉘며, 각 분대는 30명으로 구성된다.

4. 주요 장비

제1낙하산해병보병연대에서 사용하는 주요 장비는 다음과 같다.

구분품목
소총
기관단총
권총
기타 화기
기관총
저격소총
박격포
미사일
차량


5. 특기


  • '''RAPAS (공수 정찰 및 특수 작전) 기본 기술'''
  • RAPAS 기술 훈련은 일련의 연대 및 기본 과정을 마친 사병과 부사관에게 제공된다.
  • RAPAS 훈련은 특수 부대 기능의 모든 기본 사항을 다루며, 강하 지점 (DZ) 및 착륙 지점 (LZ) 표시, 기본 및 고급 근접 전투, 저격 등의 특정 과정으로 보완된다.
  • RAPAS 그룹은 선임 부사관 또는 소위가 이끈다.
  • '''공중 투입'''
  • 낙하산 작전: 연대의 각 구성원은 특정 저고도 (125미터) 강하 기술을 사용하여 정적 강하 낙하산 자격을 갖추고 있다. 제1 낙하산해병보병연대는 HAHO 및 HALO 기술에 능숙한 다양한 팀을 투입할 수 있다.
  • 헬기 작전: 헬기 레펠 및 패스트 로프, 특수 목적 침투 및 추출 장비, LZ 표시, 특수 작전 절차, 헬기 화력 지원, 헬기 탑재 저격 지원, 경헬기 투입 및 추출
  • 공중 투하: 제1 낙하산해병보병연대는 프랑스 공군의 특수 작전 부서의 화물기를 통해 특수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경량에서 중량 화물 및 팔레트를 장착하고 공중 투하할 수 있는 팀을 통합하였다.
  • '''수륙 양용 작전'''
  • 개방형 호흡 장치: 제1 낙하산해병보병연대는 카약과 같은 경량 선박을 사용하여 해변 정찰 또는 강 작전을 위한 완전한 개방형 공기 회로 (수중 호흡기) 팀을 투입할 수 있다.
  • 폐쇄형 호흡 장치: 제1 낙하산해병보병연대는 은밀한 수중 임무를 위해 완전한 폐쇄형 회로 팀을 투입할 수 있다. 이 팀은 전투 잠수 팀이 아니며, 수로를 또 다른 침투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기동 작전'''
  • SAS의 후예답게 제1 낙하산해병보병연대는 항상 기동 정찰 능력을 유지해 왔다. 현재 이 능력은 그러한 작전에 필요한 방법과 장비를 개발하고 개선하는 임무를 맡은 PATSAS 정찰대에 집중되어 있다.
  • 특수 정찰 정찰대 (PRS): PRS는 행동 팀보다 먼저 침투하여 목표 지역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 '''대테러'''
  • 제1 낙하산해병보병연대는 여러 CT 팀을 투입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5.56 mm에서 12.7 mm (.50 구경)에 이르는 구경에 능숙한 전문 저격 팀의 지원을 받는다.
  • 중대의 모든 계급은 CT 훈련을 받는다.
  • 연대는 유럽에서 가장 크고 현대적인 CQB 시설인 Centre d'Entraînement Adapté (CTA)와 가깝다는 이점을 누리고 있다 (CQB = 근접전 또는 킬링 하우스).
  • '''경호 팀'''
  • 제1 낙하산해병보병연대는 지난 25년 동안 경호 임무에 참여해 왔다.
  • 연대는 전술 수준의 고위 관료에게만 경호 팀을 제공한다.
  • 완전한 자격을 갖춘 RAPAS 팀원은 경호 자격도 갖추고 있다.
  • '''정글, 사막 및 산악 작전'''
  • 제1 낙하산해병보병연대의 RAPAS 부대가 어려운 지형에서의 작전을 준비할 수 있도록 세계 각국의 프랑스 및 외국 훈련 센터를 사용할 수 있다.
  • 산악, 정글 및 사막 훈련 훈련이 매년 계획되어 있다.
  • RAPAS 팀원은 프랑스령 기아나 또는 우호적인 아프리카 국가의 정글 및 사막 학교에 정기적으로 파견되어 영구 강사로 활동한다.

6. 전통

바제유 전투(1870년 8월 31일 ~ 9월 1일)는 명령에 따라 네 번이나 점령과 포기를 반복했던 마을에서의 전투를 기념한다.[1]

; ''신을 위하여, 식민지 군대 만세!''

마르수앵과 비고르는 신을 수호성인으로 모신다. 이 군가 제창은 연대 생활의 일부인 친밀한 의례를 마무리한다. 종종 샤를 드 푸코에 대한 은총의 행위로서 기원하기도 한다.

성 미카엘: 제1낙하산해병보병연대는 낙하산부대 연대이므로 매년 9월 29일 낙하산병의 수호성인을 기념한다. 이 기념 행사에는 참전 용사들과 함께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2]

"감히 이기는 자"는 영국 SAS의 일반적인 모토이며, 프랑스어로는 "Qui ose gagne"로 번역된다.

이 부대는 다른 부대의 표준 빨간색 베레와는 달리 자주색 베레를 착용하는 해병대의 유일한 공수 연대이다.

제1 해병 공수 보병 연대(1eR.P.I.Ma)의 연대 기

7. 훈장


  • Croix de la Légion d'Honneur프랑스어[4]
  • Ordre de la Libération프랑스어
  • 6개의 종려가 있는 Croix de guerre 1939–1945프랑스어
  • 3개의 종려가 있는 Croix de guerre des Théâtres d'opérations extérieurs프랑스어
  • 3개의 종려가 있는 Médaille militaire프랑스어
  • Bronzen Leeuwnl


이 연대의 장교와 구성원은 다음 4개의 포라제르(Fourragère프랑스어) 중 하나를 착용한다.

  • 레지옹 도뇌르 훈장의 색상을 나타내는 포라제르
  • T.O.E 무공 십자 훈장의 색상을 나타내는 포라제르
  • 무공 훈장의 색상을 나타내는 포라제르
  • 해방 훈장의 색상을 나타내는 포라제르 (1996년 6월 18일 이후)


참조

[1] 서적 Paras de la France libre
[2] 서적 Histoire des parachutistes français
[3] 간행물 Édition Chronologique n° 45 du 29 octobre 2010 Le Ministère de la Défense
[4] 웹사이트 Collectivité décorées de la Légion d'honneur, 1er brigade de parachutistes coloniaux http://www.france-ph[...] 2010-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