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회 EBS 국제다큐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대 영화제
- 2.1. 제1회 (2004)
- 2.2. 제2회 (2005)
- 2.3. 제3회 (2006)
- 2.4. 제4회 (2007)
- 2.5. 제5회 (2008)
- 2.6. 제6회 (2009)
- 2.7. 제7회 (2010)
- 2.8. 제8회 (2011)
- 2.9. 제9회 (2012)
- 2.10. 제10회 (2013)
- 2.11. 제11회 (2014)
- 2.12. 제12회 (2015)
- 2.13. 제13회 (2016)
- 2.14. 제14회 (2017)
- 2.15. 제15회 (2018)
- 2.16. 제16회 (2019)
- 2.17. 제17회 (2020)
- 2.18. 제18회 (2021)
- 2.19. 제19회 (2022)
- 2.20. 제20회 (2023)
- 3. 부문별 상영작
- 4. 수상 내역
- 참조
1. 개요
제18회 EBS 국제다큐영화제는 2021년에 개최된 EBS 국제다큐영화제이다. 페스티벌 초이스, 컨템포러리 다큐 파노라마, 클로즈업 아이콘, 공간의 기억, 다큐의 열기, 무형다큐제, 키즈 앤 틴즈 등 다양한 섹션으로 구성되어 여러 다큐멘터리 영화들을 상영했다. 주요 수상작으로는 사카하라 아쓰시 감독의 《옴진리교: 지하철 사린 사건과 나》, 기에드레 히츠키타 감독의 《시마스 씨의 도약》, 이정준 감독의 《울림의 탄생》, 심영화 감독의 《그만 좀 하소》 등이 있다.
2. 역대 영화제
2. 1. 제1회 (2004)
2. 2. 제2회 (2005)
2. 3. 제3회 (2006)
2. 4. 제4회 (2007)
2. 5. 제5회 (2008)
2. 6. 제6회 (2009)
2. 7. 제7회 (2010)
2. 8. 제8회 (2011)
2. 9. 제9회 (2012)
2. 10. 제10회 (2013)
2. 11. 제11회 (2014)
2. 12. 제12회 (2015)
2. 13. 제13회 (2016)
2. 14. 제14회 (2017)
2. 15. 제15회 (2018)
2. 16. 제16회 (2019)
2. 17. 제17회 (2020)
2. 18. 제18회 (2021)
2. 19. 제19회 (2022)
2. 20. 제20회 (2023)
3. 부문별 상영작
3. 1. 페스티벌 초이스
페스티벌 초이스 경쟁 부문에서는 국제적인 다큐멘터리 영화들을 선보인다. 독일의 프란츠 봄 감독의 디어 퓨쳐 칠드런, 이정준 감독의 울림의 탄생, 스위스의 토머스 임바치 감독의 네메시스, 리투아니아의 기에드레 히츠키타 감독의 시마스 씨의 도약이 상영된다. 또한, 미국의 앨리슨 쿤 감독의 너의 이야기, 수잰 크로커 감독의 최초의 만찬, 인도의 사마르트 마하잔 감독의 국경담, 이스라엘의 예핌 그라보이 감독의 라야 할머니의 전쟁이 포함된다. 중국의 우쯔안 감독의 디아스포라의 해안, 일본의 사카하라 아쓰시 감독의 옴진리교: 지하철 사린 사건과 나, 대한민국의 심영화 감독의 그만 좀 하소, 김기성 감독의 봉명주공, 태국의 프리차 스리수완 감독의 표류하는 마을도 페스티벌 초이스 섹션에서 상영된다.
3. 2. 컨템포러리 다큐 파노라마
3. 3. 클로즈업 아이콘
마이크를 잡은 소나는 딥티 굽타가 제작하였다. 그웬 버돈: 할리우드 댄싱 퀸은 크리스 존슨 외 1명이 제작하였다. 국부 존 포드는 장크리스토프 클로츠가 제작하였다. 슈퍼 에이블은 아르얀마 레베타가 제작하였다. 송해 1927은 윤재호가 제작하였다. 한니발 홉킨스와 안소니 경은 클라라 쿠퍼버그 외 1명이 제작하였다. 아이스다이버 키키는 나이스 바하이가 제작하였다. 공개수배 뱅크시는 오렐리아 루비에 외 1명이 제작하였다. 감성건축가, 알바 알토는 비르피 수타리가 제작하였다.
3. 4. 공간의 기억
체르노빌: 지옥의 묵시록은 이아라 리 감독의 작품이다. 행복의 속도는 박혁지 감독이 제작하였다. 유타카 쿠와하라 감독의 한 시대의 끝에서도 상영되었다. 바네사 델 캄포 감독의 오만 속 화성도 포함되었다. 이혜린 감독의 위안도 상영되었다. 군산전기는 문승욱 외 1명이 감독을 맡았다.
3. 5. 다큐의 열기
wikitext3. 6. 무형다큐제(祭)
Silencio는 유딧 클라마르(Judit Klamar) 등이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최상진은 바람의 춤꾼을 제작하였다. 쿠반 댄서는 로베르토 샐리나스(Roberto Salinas)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박철우는 상자루의 길을 제작하였다.
3. 7. 키즈 앤 틴즈
3. 8. EIDF-고양 모바일 단편 공모전
wikitable
작품명 | 감독 |
---|---|
쑥가라 | 김찬우 |
수선 | 김준희 |
학성동을 기록하다_기억의 골목 | 이이향 |
이안과 세상 | 박가영 |
흰여울 | 신혜연 |
문득, 향기가 나는 날엔 | 장다인 |
우리 결혼할 수 있을까? | 김신천 |
아빠, 나 어떻게 생겼는지 보여? | 장병섭 |
3. 9. 특별전
폴 신 남 리흐터의 죽음에 대하여, 산드라 비렌즈의 그들이 부른 내 이름, 헤티 나이켄스레텔 헴리히의 락앤롤 네덜란드!, 사비나 페델리의 안네 프랑크를 찾아서가 상영되었다.4. 수상 내역
4. 1. 대상
옴진리교: 지하철 사린 사건과 나 - 사카하라 아쓰시 수상4. 2. 대상(글로벌)
시에마스 쿠디르카의 망명 시도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시마스 씨의 도약이 제18회 EBS 국제다큐영화제 대상을 수상했다.4. 3. 심사위원 특별상(글로벌)
- 울림의 탄생 - 이정준
4. 4. 심사위원 특별상(아시아)
- 표류하는 마을 - 프리차 스리수완 수상
4. 5. 시청자 관객상(글로벌)
- 울림의 탄생 - 이정준 수상
4. 6. 시청자 관객상(아시아)
- 그만 좀 하소 - 심영화 수상
4. 7. 심사위원 특별 언급
- 라야 할머니의 전쟁 - 예핌 그라보이 수상
4. 8. EIDF-고양 모바일 단편 공모전 대상
- 이안과 세상 - 박가영 수상
4. 9. EIDF-고양 모바일 단편 공모전 최우수상
흰여울 - 신혜연이 최우수상을 수상했다.4. 10. EIDF-고양 모바일 단편 공모전 우수상
장병섭의 아빠, 나 어떻게 생겼는지 보여?가 수상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