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산악사단 (독일 국방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산악사단은 1938년 오스트리아 병합 이후 인스브루크에서 창설된 독일 국방군의 산악 사단이다. 폴란드 침공, 노르웨이 전역, 바르바로사 작전에 참전했으며, 핀란드에서 노르웨이로 철수 후 서부 전선에 투입되어 미군과 전투를 벌였다. 1945년 뷔르템부르크에서 연합군에 의해 격파되었으며, 주요 지휘관으로는 발렌틴 퓨어스틴, 한스 데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산악사단 - 제4산악사단 (독일 국방군)
    제4산악사단은 1940년 10월 창설되어 발칸 전역, 바르바로사 작전, 에델바이스 작전에 참전, 코카서스 점령 실패 후 여러 지역에서 후퇴하다 1945년 5월 소련군에 항복한 독일 국방군 소속의 산악 사단이다.
  • 독일의 산악사단 - 제1산악사단 (독일 국방군)
    제1산악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 소속으로 창설되어 주요 전선에 투입되었으나, 유고슬라비아와 그리스에서 전쟁 범죄를 저지르고 미군에 항복한 산악 사단이다.
  • 1938년 설립 - 허시 베어스
    허시 베어스는 초콜릿 제조업체 밀턴 허시가 설립한 북미에서 가장 오래된 프로 아이스하키팀 중 하나로, 1932년 창단되어 13회의 캘더컵 우승을 기록했으며 현재는 워싱턴 캐피털스의 AHL 제휴팀으로 활동하고 있다.
  • 1938년 설립 - 공주교육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는 1938년 공주여자사범학교로 시작하여 초등교사 양성을 목표로 12개의 학부 과정을 운영하며, 교육대학원 및 국제 교류를 실시한다.
  • 1945년 폐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45년 폐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제2산악사단 (독일 국방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부대 명칭제2산악사단
원어 명칭2. Gebirgs-Division
부대 휘장
복무 기간1938년 10월 – 1945년 5월 8일
소속 군독일 국방군
병과산악엽병
역할산악전
규모사단
주둔지Wehrkreis XVIII, 인스브루크
별칭해당 사항 없음
주요 참전제2차 세계 대전
관련 부대해당 사항 없음
지휘관
주요 지휘관해당 사항 없음

2. 부대 역사

1938년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 이후 인스브루크에 주둔하고 있던 구 오스트리아군의 제6사단을 주축으로 창설되었으며 병사들은 주로 오스트리아의 티롤 지방이나 잘츠부르크 출신이었다.

창설 후 제2산악사단은 발렌틴 퓨어스틴(Valentin Feursteinde) 중장의 지휘 아래 남부집단군에 소속되어 독일의 폴란드 침공 중 폴란드 전역에서 싸웠다. 1940년 베저위붕 작전에 참여해 노르웨이 전역에 참전했다. 그 후 나르비크 전투에서 영국군에게 포위된 제3산악사단 구출 작전을 벌이기도 했다.

1941년에는 노르웨이 산악군단 소속으로 핀란드의 랩랜드로 이동하여 바르바로사 작전의 일부로 소련의 북극 지방을 공격하는 은빛 여우 작전(Operation Silberfuchs)에 참가했다. 무르만스크를 목적으로 진격했으나 소련군의 강한 저항으로 실패했다. 1944년 말, 핀란드가 모스크바 휴전 협정으로 전쟁에서 나가자 소련군과 전투를 하며 노르웨이로 철수했다가 다시 덴마크로 이동되었다. 유럽 본토로 복귀하고 결원 인원이 충원되었다.

1945년, 서부전선으로 배치되 자르-모젤 삼각주에서 미군과 전투했다. 이 시기에 지휘관으로 있던 한스 데겐(Hans Degende) 중장이 부상을 입어 빌리발트 우츠(Willibald Utz) 중장으로 교체되었다. 전쟁 초기의 2 산악 사단은 정예 사단이었으나 이 시점에서는 이미 전투력이 대부분 상실되었다. 연합군은 뷔르템부르크 근처에서 2 산악 사단을 격파했고, 생존자들은 미군에 항복했다.

2. 1. 창설 초기

1938년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 이후 인스부르크에 주둔하고 있던 구 오스트리아군의 6 산악사단을 주축으로 창설되었으며 병사들은 주로 오스트리아의 티롤 지방이나 잘츠부르크 출신이었다. 창설 후 제2산악사단은 발렌틴 포이어슈타인 중장의 지휘 아래 남부집단군에 소속되어 독일의 폴란드 침공 중 폴란드 전역에서 싸웠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1938년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 이후 인스부르크에 주둔하고 있던 구 오스트리아군의 6 산악사단을 주축으로 창설되었으며 병사들은 주로 오스트리아의 티롤 지방이나 잘츠부르크 출신이었다.

창설 후 제2산악사단은 발렌틴 퓨어스틴 (Valentin Feurstein) 중장의 지휘 아래 남부집단군에 소속되어 폴란드 전역에서 싸웠다. 1940년 베저위붕 작전에 참여해 노르웨이 전역에 참전했다. 그 후 나르비크 전투에서 영국군에게 포위된 제3산악사단 구출 작전을 벌이기도 했다.

1941년에는 노르웨이 산악군단 소속으로 핀란드의 랩랜드로 이동하여 바르바로사 작전의 일부로 소련의 북극 지방을 공격하는 은빛 여우 작전(Operation Silberfuchs)에 참가했다. 무르만스크를 목적으로 진격했으나 소련군의 강한 저항으로 실패했다. 1944년 말, 핀란드가 모스크바 휴전 협정으로 전쟁에서 나가자 소련군과 전투를 하며 노르웨이로 철수했다가 다시 덴마크로 이동되었다. 유럽 본토로 복귀하고 결원 인원이 충원되었다.

1945년, 서부전선으로 배치되 자르-모젤 삼각주에서 미군과 전투했다. 이 시기에 지휘관으로 있던 한스 데겐 중장이 부상을 입어 윌리발드 우츠 중장으로 교체되었다. 전쟁 초기의 2 산악 사단은 정예 사단이었으나 이 시점에서는 이미 전투력이 대부분 상실되었다. 연합군은 뷔르템부르크 근처에서 2 산악 사단을 격파했고, 생존자들은 미군에 항복했다.

2. 3. 전후

1945년, 제2산악사단은 서부전선으로 배치되어 사르-모젤 삼각지대에서 미군과 전투했다. 이 시기에 지휘관이었던 한스 데겐 중장이 부상을 입어 윌리발드 우츠 중장으로 교체되었다. 전쟁 초기의 2 산악 사단은 정예 사단이었으나 이 시점에서는 이미 전투력이 대부분 상실되었다. 연합군은 뷔르템부르크 근처에서 2 산악 사단을 격파했고, 생존자들은 미군에 항복했다.

3. 주요 참전 전투

발렌틴 포이어슈타인 야전군 중장의 지휘 아래, 제2산악사단은 폴란드 침공 당시 남부 집단군의 일부로 참전했다. 1940년 베저위붕 작전의 일환으로 노르웨이 전역에도 참여하여, 나르비크 전투에서 영국군에게 포위된 제3산악사단을 구출하기 위해 험한 지형을 횡단하기도 했다.

1941년에는 북극곰 작전의 일환으로 은여우 작전(Operation Silberfuchs)에 참여, 노르웨이 산악 군단의 일부로서 라플란드로 이동했다. 무르만스크를 향해 진격했지만, 소련군의 강력한 방어에 막혀 실패했다. 1944년 말 핀란드가 모스크바 휴전 협정을 소련과 협상하면서, 사단은 소련군과의 교전을 벌이며 노르웨이로 철수해야 했다.

1945년, 서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미국군과 자르-모젤 삼각주에서 전투를 벌였다.

4. 역대 지휘관


  • 발렌틴 포이어슈타인(Valentin_Feurstein) 중장 (1938년 4월 1일 – 1941년 3월 4일)
  • 에른스트 슐레머(Ernst_Schlemmer) 중장 (1941년 3월 4일 – 1942년 3월 2일)
  • 게오르크 리터 폰 헹글(Georg_Ritter_von_Hengl) 중장 (1942년 3월 2일 – 1943년 10월 23일)
  • 한스 데겐 (Hans_Degen ) 중장 (1943년 11월 1일 – 1945년 2월 6일)
  • 한스 로흐만 (Hans Roschmann) 대령 (1945년 2월 6일 – 1945년 2월 9일)
  • 윌리발트 우츠(Willibald_Utz) 중장 (1945년 2월 9일 – 독일의 항복까지)

5. 부대 편제

제2산악사단은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 제136산악엽병연대
  • 제137산악엽병연대
  • 제111산악포병연대
  • 제67자전거대대
  • 제11정찰대대
  • 제47산악대전차대대
  • 제82산악공병대대
  • 제67산악통신대대
  • 제67산악사단 보급 부대

6. 시기별 배치 현황

1940년, 제2산악사단은 제18군관구에 배속되었다. 인스브루크에 주둔했으며, 병력 대부분은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티롤 지역 출신이었다.

7. 기사십자장 수훈자

wikitable

연도날짜이름
1940년6월 20일아우구스트 조르코
1941년8월 25일게오르그 헨글
1941년11월 19일클라우스 뒤벨
1941년11월 19일아담 에브너
1942년7월 23일오토 쉬탐퍼
1944년11월 26일에른스트 쉬트라비츠 폰 그로스 자우케 운트 카미네츠
1945년3월 11일한스 데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