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오렌지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오렌지 공의회는 529년 오랑주에서 열린 시노드로, 펠라기우스주의와 반(半)펠라기우스주의 논쟁을 다루었다. 이 공의회는 펠라기우스주의를 단죄한 이전 공의회들의 결정을 재확인하고, 인간의 믿음은 자유 의지에 의해 시작되지만 하나님의 은총에 의해 가능해진다고 정의했다. 또한 이중 예정설을 부정하고, 교황 펠릭스 4세의 승인을 받았다. 제2차 오렌지 공의회의 결정은 아우구스티누스의 가르침을 따르며, 중세 학자들과 개신교, 알미니우스주의 신학에 영향을 미쳤다.
펠라기우스 신학은 (비공의회) 418년 카르타고 공의회에서 단죄되었고,[1] 이러한 단죄는 431년의 공의회인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비준되었다.[1] 그 후 펠라기우스주의의 좀 더 온건한 형태가 지속되었는데, 이는 인간의 믿음이 이전의 내적 은총의 도움 없이 자유 의지의 행위라고 주장했다. 529년 7월 3일 오랑주에서 시노드가 열렸다. 이 행사는 나르보넨시스 갈리아의 리베리우스 (프라이토리아니우스)가 오랑주에 세운 교회의 봉헌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 아를의 카이사리우스 주재 하에 14명의 주교가 참석했다.
2. 펠라기우스주의 논쟁과 배경
2. 1. 펠라기우스주의
2. 2. 반(半)펠라기우스주의
2. 3. 아우구스티누스의 은총론
3. 공의회의 개최
3. 1. 배경 및 목적
펠라기우스 신학은 418년 카르타고 공의회에서 단죄되었고,[1] 이러한 단죄는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비준되었다.[1] 그 후 펠라기우스주의의 좀 더 온건한 형태가 지속되었는데, 이는 인간의 믿음이 이전의 내적 은총의 도움 없이 자유 의지의 행위라고 주장했다. 529년 7월 3일 오랑주에서 시노드가 열렸는데, 이 행사는 나르보넨시스 갈리아의 리베리우스 (프라이토리아니우스)가 오랑주에 세운 교회의 봉헌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 아를의 카이사리우스 주재 하에 14명의 주교가 참석했다.
3. 2. 참여 주교
아를의 카이사리우스, 카르팡트라의 율리아누스 아마르톨루스 주교, 갸프의 콘스탄티우스 주교, 키프리아누스 (툴롱 주교), 아비뇽의 에우케리우스 주교, 에우케리우스, 생폴트르와샤토의 헤라클리우스 주교, 프린키피우스, 카바이용의 필라그리우스 주교, 막시무스, 압트의 프라텍스타투스 주교, 베종의 알레티우스 주교, 프레쥐의 루페르시아누스 주교, 오랑주의 빈데미알리스 주교가 참여했다.
4. 공의회의 결정과 영향
문제는 온건한 형태의 펠라기우스주의가 옹호될 수 있는지, 아니면 아우구스티누스의 교리가 옹호되어야 하는지였다. 이 공의회의 결정은 "반(半)아우구스티누스주의"로 간주될 수 있다.[2][3] 공의회는 신앙이 인간의 자유로운 행위이지만, 그 시작부터 하나님의 은총에서 비롯되며, 이는 인간의 마음을 비추고 믿음을 가능하게 한다고 정의했다.[4][5][6] 그러나 또한 이중 예정설 ( 동일 궁극성의 종류)을 명시적으로 부정하며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우리는 어떤 사람이 하나님의 능력에 의해 악으로 예정되었다고 믿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만약 그렇게 사악한 것을 믿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그들은 저주받을 것이라고 극도로 혐오하며 말한다." 이 문서는 은총을 세례와 연결하는데, 이는 당시에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주제였다. 이 결정은 교황 펠릭스 4세 치하에서 교황의 승인을 받았다.[7]
제2차 오렌지 공의회의 정령들은 10세기에 분실된 것으로 보이나, 후에 회수되어 1543년에 출판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공의회의 가르침은 아우구스티누스의 가르침을 면밀히 따랐으며, 이후 중세 학자들, 특히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계속 준수되었다. 이 공의회의 'Capitula'의 기초가 된 펠릭스 4세의 'Capitula'는 트렌트 공의회에서 루터를 단죄할 때 자유롭게 사용되었다. 일부 고전적 개신교는 제2차 오렌지 공의회의 신학을 긍정한다. 알미니우스주의 신학자들[8][9] 역시 오렌지 공의회가 선행 은총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옹호하고, 신성한 은총을 거부할 수 없는 것으로 제시하지 않으면서도, 중생하지 않은 자의 믿음으로 회개하려는 자유 의지를 부인하거나, 예정론에 대한 엄격한 아우구스티누스적 견해를 지지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긴다.
4. 1. 주요 결정
문제는 온건한 형태의 펠라기우스주의가 옹호될 수 있는지, 아니면 아우구스티누스의 교리가 옹호되어야 하는지였다. 이 공의회의 결정은 "반(半)아우구스티누스주의"로 간주될 수 있다.[2][3] 공의회는 신앙이 인간의 자유로운 행위이지만, 그 시작부터 하나님의 은총에서 비롯되며, 이는 인간의 마음을 비추고 믿음을 가능하게 한다고 정의했다.[4][5][6] 그러나 또한 이중 예정설 ( 동일 궁극성의 종류)을 명시적으로 부정하며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우리는 어떤 사람이 하나님의 능력에 의해 악으로 예정되었다고 믿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만약 그렇게 사악한 것을 믿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그들은 저주받을 것이라고 극도로 혐오하며 말한다." 이 문서는 은총을 세례와 연결하는데, 이는 당시에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주제였다. 이 결정은 교황 펠릭스 4세 치하에서 교황의 승인을 받았다.[7]4. 2. 신학적 의의
제2차 오렌지 공의회의 정령들은 10세기에 분실된 것으로 보이나, 후에 회수되어 1543년에 출판되었다.[8][9]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공의회의 가르침은 아우구스티누스의 가르침을 면밀히 따랐으며, 이후 중세 학자들, 특히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계속 준수되었다. 이 공의회의 'Capitula'의 기초가 된 펠릭스 4세의 'Capitula'는 트렌트 공의회에서 루터를 단죄할 때 자유롭게 사용되었다.[8][9] 일부 고전적 개신교는 제2차 오렌지 공의회의 신학을 긍정한다. 알미니우스주의 신학자들[8][9] 역시 오렌지 공의회가 선행 은총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옹호하고, 신성한 은총을 거부할 수 없는 것으로 제시하지 않으면서도, 중생하지 않은 자의 믿음으로 회개하려는 자유 의지를 부인하거나, 예정론에 대한 엄격한 아우구스티누스적 견해를 지지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긴다.4. 3. 현대 신학에 미친 영향
제2차 오렌지 공의회의 정령들은 10세기에 분실된 것으로 보이나, 후에 회수되어 1543년에 출판되었다.[8][9]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공의회의 가르침은 아우구스티누스의 가르침을 면밀히 따랐으며, 이후 중세 학자들, 특히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계속 준수되었다. 이 공의회의 'Capitula'의 기초가 된 펠릭스 4세의 'Capitula'는 트렌트 공의회에서 루터를 단죄할 때 자유롭게 사용되었다.[8][9] 일부 고전적 개신교는 제2차 오렌지 공의회의 신학을 긍정한다. 알미니우스주의 신학자들[8][9] 역시 오렌지 공의회가 선행 은총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옹호하고, 신성한 은총을 거부할 수 없는 것으로 제시하지 않으면서도, 중생하지 않은 자의 믿음으로 회개하려는 자유 의지를 부인하거나, 예정론에 대한 엄격한 아우구스티누스적 견해를 지지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긴다.4. 4. 한국 교회에 미친 영향
제2차 오렌지 공의회의 정령들은 10세기에 분실된 것으로 보이나, 후에 회수되어 1543년에 출판되었다.[8][9] 이 공의회의 가르침은 아우구스티누스의 가르침을 면밀히 따랐으며, 이후 중세 학자들, 특히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계속 준수되었다. 펠릭스 4세의 'Capitula'는 트렌트 공의회에서 루터를 단죄할 때 자유롭게 사용되었다.[8][9]일부 고전적 개신교는 제2차 오렌지 공의회의 신학을 긍정한다. 알미니우스주의 신학자들[8][9] 역시 오렌지 공의회가 선행 은총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옹호하고, 신성한 은총을 거부할 수 없는 것으로 제시하지 않으면서도, 중생하지 않은 자의 믿음으로 회개하려는 자유 의지를 부인하거나, 예정론에 대한 엄격한 아우구스티누스적 견해를 지지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긴다.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Philosophy and Religion
Humanities Press
[2]
서적
The Medieval Experience: Foundations of Western Cultural Singularit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88-01-01
[3]
서적
An Exploration of Christian Theology
Baker Books
[4]
문서
Cf. Second Council of Orange ch.5-7; H. J. Denzinger Enchiridion Symbolorum et Definitionum, 375-377
[5]
서적
The New Catholic Encyclopedia
[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Councils of Orange | Christian synods
https://www.britanni[...]
[8]
서적
Arminian Theology: Myths and Realities
InterVarsity Press
2009-08-20
[9]
서적
Jacob Arminius: Theologian of Gra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