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시설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시설단은 일본 육상자위대의 시설 부대로, 1961년 창설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쳤다. 창설 당시에는 제1시설군, 여러 중대들로 구성되었으며, 이후 1976년 3개의 시설군 체제로 확대되었다. 2008년 북부 방면 시설대로 축소되었다가 2017년 다시 제3시설단으로 재편성되어 제14시설군을 예속받았다. 2024년에는 일부 중대가 폐지되었다. 현재는 이와미자와 주둔지, 호로베쓰 주둔지, 가미후라노 주둔지 등에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설단 - 제1시설단
제1시설단은 1961년 창설되어 동부방면대 예하에서 재해 복구, 기동 지원, 시설 건설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육상자위대 시설부대이며, 고가 주둔지에 본부를 두고 이바라키현, 가나가와현, 니가타현 일부 지역의 경비대구도 담당한다. - 시설단 - 제2시설단
제2시설단은 일본 육상자위대의 시설 부대로, 1961년 창설되어 후나오카 주둔지에 본부를 두고 제10시설군과 제11시설군 예하 부대를 지휘하며, 제105시설직접지원대대가 정비 지원을 담당하고 미야기현의 각 지역을 경비한다. - 에니와시 - 제4시설단
제4시설단은 1961년 오쿠보 주둔지에서 창설되어 여러 차례 부대 개편을 거쳐 현재 제6, 7시설군 등 여러 부대로 편성되어 있으며, 교토부 남부와 나라현 전역의 경비를 담당한다. - 에니와시 - 메구미노역
메구미노역은 1982년 3월 1일에 영업을 시작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지토세 선의 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교상역이며, 신치토세 공항과 삿포로 방면으로 운행한다. - 1961년 설립 -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군사 정권 기구로, 헌법 일부 조항 효력 정지, 국회 해산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았고, 1963년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해산되었다. - 1961년 설립 - 대한민국 조달청
대한민국 조달청은 정부 물품 구매, 공급 및 시설 공사 계약을 담당하며, 1961년 조달청으로 개편되어 정부 및 공공기관의 조달 시스템 운영, 중요 물자 비축, 군수품 조달 등을 주요 업무로 하고,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나라장터)을 운영하며 대전광역시에 위치해 있다.
제3시설단 | |
---|---|
부대 정보 | |
명칭 | 제3시설단 |
영어 명칭 | JGSDF 3rd Engineer Brigade |
창설 | 1961년 8월 17일 |
폐지 | 2008년 3월 25일 |
재편성 | 2017년 3월 27일 |
규모 | 단 |
병과 | 시설과 |
병종 | 건설 공병 |
위치 | 홋카이도 에니와시 |
편성지 | 미나미에니와 |
최종 상급 부대 | 북부방면대 |
담당 지역 | 홋카이도 |
2. 역사
육상자위대 북부方面隊 예하 최대 시설과 부대인 제3시설단은 1961년 8월 17일 미나미에니와 주둔지에서 창설되었다.[6][7] 3개의 시설군과 직할 부대로 구성되어 북부방면대의 각 부대에 대한 시설 작업 지원과 재해 파견 임무를 수행하며, 국제 공헌 활동 및 민생 협력도 수행한다. 제3시설단장은 미나미에니와 주둔지 사령을 겸임한다.
단 본부 및 예하 6개 부대는 홋카이도 내 미나미에니와, 이와미자와 주둔지, 호로베쓰 주둔지, 가미후라노 주둔지, 굿챤 주둔지, 구시로 주둔지의 6개 주둔지에 배치되어 있다.
중기 방위력 정비 계획(2005)에 의거, 2008년 3월에 북부방면시설대로 개편되어 한 번 폐지되었지만, 2017년 3월에 재편성되었다.[1] 동명의 재편성은 제1육조 교육대에 이어 두 번째 사례이다.[2]
연혁은 다음과 같다.
'''제3시설단(재편성)'''
- 1961년 (쇼와 36년) 8월 17일: 제3시설단이 미나미에니와 주둔지에서 편성 완료.
- 1964년 (쇼와 39년)
- * 3월 26일: 제311지구시설대가 다카다 주둔지에서 하코다테 주둔지로 이전.
- * 8월 1일: 제301패널교 중대 및 제301부교 중대(미나미에니와 주둔지) 폐지, 제301가교 중대 및 제302가교 중대(미나미에니와 주둔지) 편성 완료.
- * 8월 12일: 제302가교 중대가 오고리 주둔지로 이전.
- 1976년 (쇼와 51년) 3월 25일: 구 제1시설군의 시설대대를 단 직할 시설군으로 격상, 제3시설단을 3개 시설군 편성으로 개편.
- 1980년 (쇼와 55년) 3월 25일: 제301가교 중대를 모체로 제105시설 기자재대를 미나미에니와 주둔지에 신편.
- 1982년 (쇼와 57년) 3월 25일: 제303덤프 차량 중대(미나미에니와 주둔지)를 단 직할로, 제304 및 제313덤프 차량 중대 폐지.
- 1988년 (쇼와 63년) 3월 25일: 제3시설단 직할 및 시설군 예하 5개 지구시설대 폐지. 각 시설군 예하에 각 1개 시설 중대 신편, 각 시설군은 4개 시설 중대로 증강.
- 1991년 (헤이세이 3년) 3월 29일: 제301갱도 중대를 미나미에니와 주둔지에 신편하고, 제1시설군 예하에 편합.
- 1996년 (헤이세이 8년) 3월 29일: 제302갱도 중대를 이와미자와 주둔지에 신편하고, 제12시설군 예하에 편합.
- 2000년 (헤이세이 12년) 3월 28일: 제13시설군 시설 중대 기능별 중대로 개편. 정비 부문을 북부 방면 후방 지원대 제101시설 직접 지원대대로 이관.
- 2004년 (헤이세이 16년) 3월 29일: 제1시설군(미나미에니와 주둔지) 폐지. 제301갱도 중대(미나미에니와 주둔지)는 제13시설군 예하에 편합.
'''북부 방면 시설대'''
'''제3시설단(재편)'''
- 2017년 (헤이세이 29년) 3월 27일: 북부 방면 시설대 폐지, 제3시설단 재편[4]。
- 2024년 (레이와 6년) 3월 21일: 제14시설군 제301갱도 중대(가미후라노 주둔지), 제12시설군 제302갱도 중대(이와미자와 주둔지) 폐지.
2. 1. 창설
1961년 8월 17일, 미나미에니와 주둔지에서 제3시설단이 창설되었다. 제3시설단은 제1시설군, 제301패널중대, 제301부교중대, 나요로 주둔지의 제301지구시설대, 비호로 주둔지의 제306지구시설대, 구시로 주둔지의 제307지구시설대, 가미후라노 주둔지의 제308지구시설대, 제303, 304, 313덤프차량중대를 편성하였다.[6][7]1964년 3월 26일, 다카다 주둔지의 제311지구시설대가 하코다테 주둔지로 이전하였다. 같은 해 8월 1일, 제301패널중대와 제301부교중대가 제301, 302가교중대로 재편성되었다. 8월 12일에는 제302가교중대가 오고리 주둔지로 이전하였다.
1976년 3월 25일, 시설단 편제가 변경되었다. 예하 제1시설단의 제102시설대대가 제301지구시설대, 제103시설대대가 제3011지구시설대와 병합되어 제12, 13시설군으로 재편성되고, 제104시설대대와 제307지구시설대는 제1시설군에 병합되었다. 그리고 제306, 308지구시설대는 단 직할부대로 재편성되었다.
1982년 3월 25일, 제301가교중대를 제105시설기재대로 재편성하고 제303덤프차량중대가 단 직할부대가 되었다.
1988년 3월 25일, 지구시설대 편제가 없어짐에 따라 제306, 308시설지구대가 해체되었다.
1991년, 제1시설군 예하에 제301갱도중대가 창설되었고, 3년 뒤인 1994년에 제12시설군 예하에 제302갱도중대가 창설되었다.
1996년 3월, 하코다테 주둔지의 제13시설군 제343시설중대가 굿챤 주둔지로 이전하였다.
2000년 3월 28일, 제13시설군 예하부대가 기능별중대로 개편되고, 후방지원체제 이행에 따라 정비부문이 북부방면후방지원대 제101시설직접지원대대로 넘어갔다.
2004년 3월 23일, 제1시설군의 해체작업에 따라 제314시설중대가 제12시설군 제342시설중대에 병합되고, 제342시설중대가 재편성되었다. 같은 날 제341시설중대가 해체되었다. 3월 29일에는 제1시설군이 해체되고 제301갱도중대가 제13시설군으로 전속하였다.
2008년 3월 26일, 제3시설단이 북부방면시설대로 축소되었다. 그 영향을 받은 제13시설군이 시설대로 규모가 축소되고, 제301갱도중대와 제302수해재해중대가 북부방면시설대 직할부대가 되었다.
2017년 3월 27일, 제3시설단으로 재편성되면서 휘하에 제14시설군이 창설되고, 제12시설군 예하부대는 기능별중대로, 제13시설대가 시설군으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제302수재재해중대가 제13시설군으로 전속, 미나미에니와 주둔지의 제301갱도는 가미후라노 주둔지로 이동하여 제14시설군으로 전속하였다.[1][2]
2024년 3월 21일, 제14시설군 제301갱도중대(가미후라노 주둔지)와 제12시설군 제302갱도중대(이와미자와 주둔지)가 폐지되었다.
2. 2. 개편 및 확대
1961년 8월 17일, 미나미에니와 주둔지에서 제3시설단이 창설되었다. 1976년 3월 25일, 구 제1시설군의 시설대대를 단 직할 시설군으로 격상하여 3개 시설군 편성으로 개편되었다.- 제1시설군을 제104시설대대(미나미에니와 주둔지)를 기반으로 재편, 제307지구시설대(구시로 주둔지) 및 제303덤프 차량 중대(미나미에니와 주둔지)를 편입.
- 제12시설군을 제102시설대대(이와미자와 주둔지)를 기반으로 신편, 제301지구시설대(나요로 주둔지) 및 제304덤프 차량 중대(이와미자와 주둔지)를 편입.
- 제13시설군을 제103시설대대(호로베쓰 주둔지)를 기반으로 신편, 제311지구시설대(하코다테 주둔지)를 편입. 제313덤프 차량 중대(호로베쓰 주둔지)를 신편.
- 제306지구시설대(비호로 주둔지) 및 제308지구시설대(가미후라노 주둔지)는 단 직할.
1988년 3월 25일, 제3시설단 직할 및 시설군 예하의 5개 지구시설대가 폐지되었다. 각 시설군 예하에 각 1개 시설 중대가 신편, 각 시설군은 3개 시설 중대에서 4개 시설 중대로 증강되었다.
2008년 3월 26일, 제3시설단이 폐지되고 북부방면시설대로 개편되었다.[3]
- 제13시설군(호로베쓰 주둔지)을 제13시설대로 개편.
- 제358시설 중대 및 제359시설 중대(호로베쓰 주둔지)는 통합되어, 제383시설 중대 "축성・장애"로 개편[3]。
- 제13시설군 제301갱도 중대(미나미에니와 주둔지) 및 제13시설군 제302수해재해 중대(호로베쓰 주둔지)는 북부 방면 시설대 직할로[3]。
2017년 3월 27일, 북부방면시설대가 폐지되고 제3시설단이 재편되었다.[4]
- 제14시설군을 가미후라노 주둔지에 신편.[5]
- 제12시설군의 시설 중대를 기능별 중대로 개편.
- 제13시설대(호로베쓰 주둔지)를 제13시설군으로 개편.
- 제302수해재해 중대(호로베쓰 주둔지)가 제13시설군 예하로 이동.
- 제301갱도 중대가 미나미에니와 주둔지에서 가미후라노 주둔지로 이전하고, 제14시설군 예하로 이동.
- 제12시설군 제342시설 중대(구시로 주둔지)를 폐지하고, 제14시설군 제397시설 중대 "교통"으로 개편.
2. 3. 북부방면시설대로의 축소 및 재편
2008년 3월 26일, 제3시설단은 북부방면시설대로 축소되었다. 이때 제13시설군은 시설대로 규모가 축소되었고, 제301갱도중대와 제302수해재해중대는 북부방면시설대 직할부대가 되었다.[3]2017년 3월 27일, 제3시설단이 재편되면서 제14시설군이 창설되었다. 제12시설군 예하 부대는 기능별 중대로, 제13시설대는 시설군으로 개편되었다. 제302수재재해중대는 제13시설군으로 전속되었고, 미나미에니와 주둔지의 제301갱도중대는 가미후라노 주둔지로 이동하여 제14시설군으로 전속되었다.[4][5]
3. 편성
부대 | 주둔지 |
---|---|
제3시설단 본부 및 본부중대 | 미나미에니와 주둔지 |
제12시설군 | 이와미자와 주둔지 |
제13시설군 | 호로벳쓰 주둔지 |
제13시설군 제361시설중대 | 굿챤 주둔지 |
제14시설군 | 가미후라노 주둔지 |
제14시설군 제397시설중대 | 구시로 주둔지 |
제105시설기재대 | 미나미에니와 주둔지 |
제303덤프차량중대 | 미나미에니와 주둔지 |
- 제12시설군 (이와미자와 주둔지)
- * 군 본부 및 본부관리중대
- * 제398시설중대
- * 제399시설중대
- * 제400시설중대
- * 제387시설중대
- * 제302갱도중대
- 제13시설군 (호로벳쓰 주둔지)
- * 군 본부 및 본부관리중대
- * 제360시설중대
- * 제361시설중대 (굿챤 주둔지)
- * 제383시설중대
- * 제302수해재해중대
- 제14시설군 (가미후라노 주둔지)
- * 군 본부 및 본부관리중대
- * 제395시설중대
- * 제396시설중대
- * 제397시설중대 (구시로 주둔지)
- * 제301갱도중대
4. 정비 지원 부대
- 북부방면후방지원대 제101시설 직접 지원 대대 "101시설직지"(미나미에니와 주둔지): 2000년 3월 28일부터[1]
- 정비 중대 "101시설직지-정"(미나미에니와 주둔지): 제3시설단 본부 부대, 제105시설 기재대, 제303 덤프 차량 중대를 지원
- 제2직접 지원 중대 "101시설직지-2"(이와미자와 주둔지): 제12시설군을 지원
- 제3직접 지원 중대 "101시설직지-3"(호로베츠 주둔지): 제13시설군을 지원
- 구 훈련 파견대(구 훈련 주둔지): 제361시설 중대 및 주둔지 업무대 등에 대한 야외 정비 지원
- 제4직접 지원 중대 "101시설직지-4"(가미후라노 주둔지): 제14시설군을 지원
- 구시로 파견대(구시로 주둔지): 제397시설 중대를 지원
5. 주요 간부
겸 남에니와 주둔지 사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