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긴은 일본 에도 시대에 사용된 은화로, 정은(丁銀)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16세기 중반 은산 개발과 회취법 보급으로 은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은 매매 및 정련업자가 등장하였고, 이들이 긴자의 전신이 되었다. 에도 막부는 은 품위가 일정한 정은을 발행했으며, 겐나 연간 이후에는 소액 통화인 두판은을 함께 발행했다. 에도 시대 후반에는 정은보다 은 함유량이 적은 명목 화폐가 발행되면서 정은 유통은 쇠퇴했고, 메이지 유신 이후 은목 폐지령으로 유통이 중지되었다. 조긴은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은의 함유량에 따라 가치가 달랐다. 조선 후기 상업 발달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한국 사회에 역사적, 경제적, 문화적 의의를 지닌다.
조긴은 해삼 모양과 비슷한, 다소 고르지 않은 막대 모양의 은괴이다. 무게는 일정하지 않지만 대략 160.4g 전후였으며, 실제로는 120g에서 180g 사이가 많았다.[4][5] 액면가는 정해져 있지 않고 무게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는 평량화폐였다.[3] 표면에는 "보(寳)", "다이코쿠(大黒)", "죠제(常是)" 등의 극인이 찍혀 있었다. 게이초은(慶長銀)과 달리 은 품위가 낮은 쵸긴에는 "원(元)・보(宝)・영(永)・문(文)・보(保)・정(政)"과 같은 연대인이 찍혀 구분되었다. 니츠호은(二ツ宝銀)・산츠호은(三ツ宝銀)・욘츠호은(四ツ宝銀)은 "보(宝)"자 극인의 수 및 서체로, 겐분은(元文銀)과 분세이은(文政銀)은 "문(文)"자 서체로 구분되었다. 호에이 시기에는 다이코쿠 죠제(大黒常是)가 면직되었기 때문에 "죠제(常是)" 극인은 찍히지 않았다.[6][7][8][9]
2. 어원
쵸긴은 해삼 모양과 비슷한, 다소 고르지 않은 막대 모양의 은괴이다. 무게는 일정하지 않지만 대략 43몬메[3](약 160.4g) 전후였으며, 실제로는 30몇 몬메에서 40몇 몬메 정도(120g~180g 정도)가 많았다.[4][5] 액면가는 적혀 있지 않았고, 무게에 따라 화폐 가치가 결정되는 평량화폐였다.[3]
표면에는 "보(寳)", "다이코쿠", "죠제(常是)" 등의 극인이 찍혀 있었다. 게이초은과 달리 은 함량이 낮은 쵸긴에는 "원(元)・보(宝)・영(永)・문(文)・보(保)・정(政)"과 같은 연대인이 찍혀 구분되었다. 니츠호은(二ツ宝銀)・산츠호은(三ツ宝銀)・욘츠호은(四ツ宝銀)은 "보(宝)"자 극인의 수와 글씨체로 구분되었으며, 겐분은(元文銀)과 분세이은(文政銀)은 "문(文)"자 글씨체로 구분되었다. 다만, 호에이 시대에는 다이코쿠 죠제(大黒常是)가 면직되었기 때문에 "죠제(常是)" 극인은 찍히지 않았다.[6][7][8][9]
쵸긴은 금(코반) 및 전과 함께 삼화 제도의 한 축을 담당했으며, 당시에는 '''은'''이라고 불렸다. 에도 시대에는 주로 오사카를 중심으로 한 서일본 및 호쿠리쿠, 도호쿠 등 넓은 지역에서 유통되었다.
3. 역사
조긴은 해삼 모양의 불규칙한 봉 형태 은괴로, 무게는 일정하지 않았지만 대략 161.25g 전후였다. 액면가는 표시되지 않았고, 무게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는 칭량화폐였다.
조긴은 에도 시대 이전에는 주조와 유통을 담당하는 상인들이 극인[56]을 찍어 유통시켰다. 1601년 에도 막부는 후시미 긴자(伏見銀座)에서 게이초 조긴(慶長丁銀)을 주조하고, 은 함량이 정해진 조긴을 발행했다. 조긴은 주로 오사카를 중심으로 서일본에서 유통되었으며, 사용할 때마다 중량을 재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쓰쓰미긴(包銀) 형태로 사용되었다. 1868년 메이지 유신 정부는 조긴 유통을 금지하였다.
겐로쿠 8년 (1695년)부터 메이지 2년 (1869년)까지 조긴 및 정위 은화의 유통고는 아래 표와 같다.[48] (정위 은화는 금 1량을 은 60목으로 환산)[49]연도 유통고 (관) 겐로쿠 8년 (1695년) 157,059 호에이 3년 (1706년) 405,850 호에이 7년 (1710년) 394,175 쇼토쿠 4년 (1714년) 777,563 겐분 원년 (1736년) 331,025 안에이 원년 (1772년) 526,783 분세이 원년 (1818년) 882,760 덴포 3년 (1832년) 1,389,688 안세이 원년 (1854년) 1,466,100 만엔 원년 (1860년) 3,254,747 메이지 2년 (1869년) 3,354,211
3. 1. 에도 시대 이전
해삼 형태의 불규칙적인 봉 형태 은괴로, 무게는 일정하지 않았지만 약 161.25g 전후였다. 액면가는 표시되지 않았고, 무게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는 칭량화폐였다.
에도 시대 이전에는 호상과 화폐교환 상인이 주조와 유통을 담당하며 극인[56]을 찍어 유통시켰다. 당시 통화량을 제한하는 관행도 있었다. 이 시기에 발행된 조긴을 고초긴(古丁銀)이라고 부른다.
16세기 중반, 은산 개발과 회취법 보급으로 일본 국내 은 생산량이 급증하면서, '''은옥'''(かなや/かねや) 또는 '''은취옥'''(かねふきや)이라 불리는 은과 지금 매매 및 정련업자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훗날 긴자와 환전상의 전신이 되었다[16]. 사카이 남료좌의 은세공사 유아사 사쿠베 등은 여러 나라의 회취은을 모아 극인을 찍어 매매했고, 후시미 긴자 설립 전 이에야스에게 바칠 정은을 시험 주조하기도 했다[17][18][19][20]。이 시기의 조긴은 '''고조긴'''(こちょうぎん)이라 불리며, 이것을 잘라 쓴 것은 '''절은'''(きりぎん)이라고 불린다.
극인은 및 고조긴의 은 함량은 은산마다 달랐지만, 대략 90% 이상이었다. 특히 이와미 은산에서 생산된 세키슈은(소마은)(佐摩)은 품질이 좋고 양도 많았지만, 은 산지에 따라 품질 차이가 있었다[21]。
3. 2. 에도 시대
1601년 에도 막부는 후시미 긴자(伏見銀座)에서 게이초 조긴(慶長丁銀)을 주조하고, 은 함량이 정해진 조긴을 발행했다.[56] 조긴은 오사카를 중심으로 서일본에서 유통되었다.
조긴은 칭량화폐여서 사용할 때마다 중량을 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쓰쓰미긴(包銀) 형태로 사용되었다. 쓰쓰미긴은 조긴과 보조화폐인 마메이타긴(豆板銀)을 합쳐 일정 중량으로 만든 후 종이로 싸서 봉인한 것이다.
정은은 액면이 기재되지 않은 칭량 화폐였기 때문에, 실제 거래 때마다 칭량하여 사용한 것은 두판은(소옥은)뿐이었다. 정은은 소옥은을 더하여 500목 포(1865g) 등 포은 형태로 사용되었다.[11] 은 수십 匁에 달하는 정은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에는 너무 고액이었다. 예를 들어 40목(149.2g)의 게이초 정은은 쌀 2~3석을 구매할 수 있는 가치를 지녔으며, 지갑에 넣어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두판은과 달리 포장하지 않은 나은은 일상적인 지불에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12][13][14][15]
칭량 은화의 무게를 정하고 포장하는 것은 환전상의 중요한 업무 중 하나였다. 여러 번에서의 연공미 판매, 물품 구매 대금 관리를 임명받은 환전상, 그리고 천령인 이와미 은산, 이쿠노 은산 등에서 생산되는 상납 회취은의 무게를 계산하고 개정한 직책은 '''걸옥'''이라고 불렸다.
3. 3. 메이지 유신 이후
1868년 메이지 유신 정부는 조긴의 유통을 금지하였다.[43][47]
에도 시대 후반, 메이와 연간의 난료니슈긴 주조를 시작으로, 분세이 연간, 막부 말기의 덴포・가에이 연간을 중심으로 이치분긴, 잇슈긴 등 정은에 비해 함유 은량이 적어 차익 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금화 단위의 명목 화폐가 다발적으로 발행되었다. 분세이 연간 이후에는 이러한 정위 화폐의 유통이 대다수를 차지하게 되었고, 정은의 유통은 점차 쇠퇴하여 은목 거래는 번찰 및 어음으로 대체되는 등 명목화되었다.[44]
또한, 대체 주조가 있을 때마다 일어나는 구은의 퇴장과 정위 은화로의 개주에 따른 정은의 부족, 또는 고액의 정은이 아닌 소액의 은목 거래의 필요성에서 몬메센 계산이 이루어졌고, 은찰 대신 전몬메찰이 발행되었다.[45][46]
게이오 4년 5월 (1868년)에, 메이지 유신 정부는 은목 폐지령을 공포하여, 정은은 마메이타긴과 함께 유통이 중지되었다.[43][47] 메이지 원년 10월, 정은·마메이타긴(메이와 고몬메긴 포함)은 순은의 함유량에 따라 금화 단위(량·분·슈)로 교환 비율이 정해져, 량·분·슈 단위의 금화와 은화로 교환되었다. 그 교환은 1874년 9월에 종료되었고, 그 후에는 지금 취급을 받았기 때문에, 직접 신화(엔·센·린)로 교환되지는 않았다.
정은·소다마긴, 그리고 정위 은화의 유통고는 아래 표와 같다.[48](정위 은화는 "금" 1량을 은 60목으로 환산)[49]연도 유통고 (관) 겐로쿠 8년 (1695년) 157,059 호에이 3년 (1706년) 405,850 호에이 7년 (1710년) 394,175 쇼토쿠 4년 (1714년) 777,563 겐분 원년 (1736년) 331,025 안에이 원년 (1772년) 526,783 분세이 원년 (1818년) 882,760 덴포 3년 (1832년) 1,389,688 안세이 원년 (1854년) 1,466,100 만엔 원년 (1860년) 3,254,747 메이지 2년 (1869년) 3,354,211
4. 종류
금(코반) 및 전과 함께 삼화 제도의 한 축을 담당했으며, 당시에는 '''은'''이라고 불렸다. 에도 시대에는 주로 오사카를 중심으로 한 서일본 및 호쿠리쿠, 도호쿠 등 광범위하게 유통되었다.
4. 1. 고정은(古丁銀)
에도 시대 이전에는 부유한 상인이나 환전상들이 회취은과 극인은을 유통시켰는데, 당시에는 은을 끊어 쓰는 관행이 있었다[16]. 이러한 은화를 령국 화폐인 '지방 은'이라고 불렀다. 16세기 중반부터 은산 개발과 회취법 보급으로 은 생산량이 급증하면서, '은옥'(かなや) 또는 '은취옥'(かねふきや)이라 불린 은과 지금을 매매하고 정련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후일 긴자 및 환전상의 전신이 되었다[16]. 사카이의 남료좌 소속 은세공사유아사 사쿠베 등은 여러 나라의 회취은을 모아 극인을 찍어 매매했으며, 후시미 긴자 설립 이전에 이에야스에게 바칠 정은을 시험 주조하기도 했다[17][18][19][20]. 이 시대의 은화를 '''고정은'''(古丁銀)이라고 부르며, 잘라 쓴 것은 '''절은'''(きりぎん)이라고 한다.
고정은과 극인은의 은 함유율은 은광산에 따라 달랐지만, 대체로 90% 이상이었다. 특히 이와미 은산에서 생산된 은으로 만든 세키슈은(소마은)은 품질이 좋고 양도 많았지만, 은 산지에 따라 품질 차이가 있었다[21].
고정은의 종류는 다음과 같지만, 현존하는 예는 매우 드물다[1][50][51].
종류 | 특징 |
---|---|
하기 고정은(萩古丁銀) | 무명의 정은(丁銀)으로 세키슈 정은(石州丁銀)이라고도 한다. 석주은(石州銀)이지만 조슈 번(長州藩)에 소장되어 "하기"(萩)라고 칭한다. |
유즈리하 정은(譲葉丁銀) | 하기 고정은보다 가늘고 긴 유즈리하(ゆずりは, 둥근 잎) 모양이다. |
어취납 정은(御取納丁銀) | 유즈리하 정은에 "어취납"(御取納) 극인이 찍혀 있다. 모리 씨(毛利氏)가 에이로쿠(永禄) 3년(1560년) 고요제이 천황(正親町天皇) 즉위식 때 헌상했다. |
분로쿠 석주 정은(文禄石州丁銀) | 분로쿠(文禄) 2년(1593년) 분로쿠의 역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여러 다이묘에게 하사하기 위해 주조했다. |
어공용 정은(御公用丁銀) | "어공용"(御公用) 극인이 찍혀 있으며, 모리 씨가 조정에 헌납했다. |
하카타 어공용 정은(博多御公用丁銀) | "어공용"(御公用) "분로쿠 2 나카야마 요자에몬"(文禄二中山与左衛門) 극인이 찍혀 있다. 분로쿠의 역 때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주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텐마타이치 정은(天又一丁銀) | 분로쿠 2년(1593년) 주조. 야마부교(山奉行, 산지기)인 아마노 마타에몬(天野又衛門) 및 스오 국(周防国) "이치노사카 은산"(一の坂銀山)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
소긴(小銀) | 유즈리하 정은에 "소긴"(小銀) 극인이 찍혀 있다. |
하치후쿠 정은(八福丁銀) | 가로쓰기 "후쿠하치"(福八) 극인이 찍혀 있다. |
다이요다이 정은(大与大丁銀) | "다이요다이"(화압(花押)) 극인이 찍혀 있다. |
국일문자 인은(菊一文字印銀) | 게이초 3년(1598년)경 사카이(堺) 난료자(南鐐座) 장인이 게이초 정은(慶長丁銀)을 주조할 때, 이에야스에게 바친 것이다. |
이비스 일문자 인은(夷一文字印銀) | 난료자 장인이 게이초 정은을 주조할 때, 이에야스에게 바친 것이다. |
괄고 정은(括袴丁銀) | 난료자 유아사 사쿠베에(湯浅作兵衛)가 게이초 정은을 주조할 때, 이에야스에게 바쳐 선정된 것이다. 대흑천(大黒天) 바지(袴) 자락이 묶여 있다. |
오모다카 정은(澤瀉丁銀) | 유아사 사쿠베에가 게이초 정은 발행 전에 시험 주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우제"(常是), "보"(寳), "대흑상"(大黒像), 택갈 문장(沢瀉紋) 극인이 찍혀 있다. |
4. 2. 에도 시대 주조 조긴
에도 시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조긴이 주조되었다. 각 조긴은 주조 시기와 순도(은 함량)에 따라 구분된다.명칭 | 주조 시기 | 추정 발행량 | 은 함량(%) |
---|---|---|---|
게이초 쵸긴 | 게이초 6년 7월 (1601년) | 1,200,000관 | 80 |
겐로쿠 쵸긴 | 겐로쿠 8년 9월 (1695년) | 405,850관 | 64 |
호에이 후타츠보 쵸긴 | 호에이 3년 7월 (1706년) | 278,130관 | 50 |
호에이 나가지 쵸긴 | 호에이 7년 3월 (1710년) | 5,836관 | 40 |
호에이 밋츠보 쵸긴 | 호에이 7년 4월 (1710년) | 370,487관 | 32 |
호에이 욧츠보 쵸긴 | 쇼토쿠 원년 8월 (1711년) | 401,240관 | 20 |
교호 쵸긴 (쇼토쿠 쵸긴) | 쇼토쿠 4년 8월 (1714년) | 331,420관 | 80 |
겐분 쵸긴 | 겐분 원년 6월 (1736년) | 525,465관 900문 | 46 |
분세이 쵸긴 | 분세이 3년 5월 (1820년) | 224,981관 900문 | 36 |
덴포 쵸긴 | 덴포 8년 11월 (1837년) | 182,108관 | 26 |
안세이 쵸긴 | 안세이 6년 12월 (1859년) | 102,907관 | 13[55] |
4. 3. 무역 거래, 이국 피하 은
이름 | 연도 | 무게 | 순도 |
---|---|---|---|
인삼대왕고은 | 보영 7년 9월(1710년) | 5337.156kg | 80% |
보영 정자 정은 | 보영 7년(1710년) | 40kg | 80% |
5. 특징
조긴은 해삼 모양과 비슷한 불규칙한 막대 모양의 은괴였다. 무게는 일정하지 않았지만 대략 161.25g 전후였으며, 액면이 표시되지 않고 무게에 따라 가치가 정해지는 칭량화폐였다.[3] 표면에는 "보(寳)", "다이코쿠", "죠제(常是)" 등의 극인이 찍혀 있었다. 금화(고반) 및 전과 함께 삼화 제도의 한 축을 담당했으며, 당시에는 '''은'''이라고 불렸다. 에도 시대에는 주로 오사카를 중심으로 한 서일본 및 호쿠리쿠, 도호쿠 등 광범위하게 유통되었다.
1868년 메이지 유신 정부는 조긴 유통을 금지하였다.
5. 1. 칭량 화폐
조긴은 액면이 표시되지 않고 무게에 따라 가치가 정해지는 칭량화폐였다.[3] 해삼 모양과 비슷한 불규칙한 막대 모양의 은괴로, 무게는 일정하지 않았지만 대략 161.25g 전후였다.에도 시대에는 주로 오사카를 중심으로 서일본에서 유통되었다. 조긴은 칭량화폐였기 때문에 사용할 때마다 무게를 재야 했다. 이러한 불편함 때문에 쓰쓰미긴(包銀) 형태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조긴과 보조 화폐인 마메이타긴(豆板銀)을 합쳐 일정 무게로 만든 후 종이로 싸서 봉인한 것이다.
상거래에서는 은의 무게를 은목 단위로 나타냈다. 예를 들어 은 몇 관, 은 몇 匁과 같이 표기했다. 상업적 목적에서는 43匁를 은 한 잎으로 하는 단위가 사용되었는데, 이것이 정은 무게의 기준이 되었다.[10] 당시 사용된 분동의 질량 단위는 "냥"이었지만, 금의 통화 단위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匁"가 은의 통화 단위로 사용되었다.
원래 조긴은 사용할 때마다 무게를 측정해야 했지만, 실제로는 두판은(소옥은)만 칭량하여 사용되었고, 조긴은 소옥은과 함께 500匁(약 1865g) 등의 포은 형태로 사용되었다.[11] 은 수십 匁에 달하는 조긴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에는 너무 고액이었기 때문에 포장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12][13][14][15]
1868년 메이지 유신 정부는 조긴 유통을 금지하였다.
5. 2. 개주(改鋳)
에도 시대에는 은화의 가치를 조정하기 위해 여러 차례 개주(改鋳, 화폐를 다시 주조함)가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각 지역의 은광에서 생산된 은의 품위가 90% 이상으로 높았지만, 간에이 연간(1624년~1644년)부터 은 생산이 쇠퇴하고 해외로 은 유출이 늘어나면서 상황이 변했다.[31]겐로쿠 8년(1695년), 막부는 재정난을 해결하기 위해 겐로쿠 쵸긴을 발행하여 은 함량을 80%에서 64%로 낮추었다.[32][33][34] 이후 호에이 연간(1704년~1711년)에는 잦은 자연재해와 재정 악화로 인해 오기하라 시게히데의 주도로 추가적인 개주가 단행되었다. 하지만 아라이 하쿠세키는 개주에 반대하여 중지를 요청했고, 결국 에이지은, 미츠호은, 요츠호은은 정식 발행 절차 없이 유통되었다.[35][36][37][38]
쇼토쿠 연간(1711년~1716년)에는 교호 쵸긴이 발행되어 은 함량이 다시 80%로 높아졌지만, 이전에 발행된 다양한 품위의 은화가 함께 유통되면서 혼란이 빚어졌다.[39][40][41][42] 겐분 연간(1736년~1741년) 이후에는 통화량 조절을 위해 다시 은 함량을 낮추는 개주가 이루어졌다.[43]
다음은 시대별 조긴의 은 함량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조긴 종류 | 발행 연도 | 은 함량(%) |
---|---|---|
게이초 쵸긴 | 게이초 6년 (1601년) | 80 |
겐로쿠 쵸긴 | 겐로쿠 8년 (1695년) | 64 |
호에이 후타츠보 쵸긴 | 호에이 3년 (1706년) | 50 |
호에이 나가지 쵸긴 | 호에이 7년 (1710년) | 40 |
호에이 밋츠보 쵸긴 | 호에이 7년 (1710년) | 32 |
호에이 욧츠보 쵸긴 | 쇼토쿠 원년 (1711년) | 20 |
교호 쵸긴 (쇼토쿠 쵸긴) | 쇼토쿠 4년 (1714년) | 80 |
겐분 쵸긴 | 겐분 원년 (1736년) | 46 |
분세이 쵸긴 | 분세이 3년 (1820년) | 36 |
덴포 쵸긴 | 덴포 8년 (1837년) | 26 |
안세이 쵸긴 | 안세이 6년 (1859년) | 13 (맘마 자료에는 14)[55] |
5. 3. 정위 은화의 대두
에도 시대 후반, 메이와 연간에 난료니슈긴 주조를 시작으로, 분세이 연간, 막부 말기의 덴포, 가에이 연간을 중심으로 이치분긴, 잇슈긴 등 정은에 비해 은 함유량이 낮은, 차익 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금화 단위의 명목 화폐가 다발적으로 발행되었다. 분세이 연간 이후에는 이러한 정위 화폐의 유통이 대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한편, 정은의 유통은 점차 쇠퇴하여 은목 거래는 번찰 및 어음으로 대체되는 등 명목화되었다[44]。또한, 대체 주조가 있을 때마다 일어나는 구은의 퇴장과 정위 은화로의 개주에 따른 정은의 부족, 또는 고액의 정은이 아닌 소액의 은목 거래의 필요성에서 몬메센 계산이 이루어졌고, 은찰 대신 전몬메찰이 발행되었다[45][46]。
게이오 4년 5월 (1868년)에, 메이지 유신 정부는 은목 폐지령을 공포하여, 정은은 마메이타긴과 함께 유통이 중지되었다[43][47]。 메이지 원년 10월, 정은·마메이타긴(메이와 고몬메긴 포함)은 순은의 함유량에 따라 금화 단위(량·분·슈)로 교환 비율이 정해져, 량·분·슈 단위의 금화와 은화로 교환되었다. 그 교환은 메이지 7년 9월에 종료되었고, 그 후에는 지금 취급을 받았기 때문에, 직접 신화(엔·센·린)로 교환되지는 않았다.
정은·소다마긴, 그리고 정위 은화의 유통고는 다음과 같다.[48](정위 은화는 "금" 1량을 은 60목으로 환산)[49]
연도 | 유통고 (관) | 비고 |
---|---|---|
겐로쿠 8년 | 157,059 | |
호에이 3년 | 405,850 | |
호에이 7년 | 394,175 | |
쇼토쿠 4년 | 777,563 | |
겐분 원년 | 331,025 | |
안에이 원년 | 526,783 | 정은 |
분세이 원년 | 882,760 | |
덴포 3년 | 1,389,688 | |
안세이 원년 | 1,466,100 | |
만엔 원년 | 3,254,747 | |
메이지 2년 | 3,354,211 | 정위 은화 |
6. 유통량
에도 시대 후반, 메이와 연간에 난료니슈긴이 주조되기 시작한 이후, 분세이 연간, 그리고 막부 말기의 덴포・가에이 연간에는 이치분긴, 잇슈긴 등 정은보다 은 함량이 낮은 금화 단위의 명목 화폐가 다수 발행되었다. 이러한 정위 화폐는 차익 획득을 목적으로 발행되었으며, 분세이 연간 이후에는 유통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반면, 정은의 유통은 점차 감소하여 은목 거래는 번찰 및 어음으로 대체되는 등 명목상의 거래로 변화하였다.[44]
또한, 화폐 개주가 있을 때마다 구 화폐는 회수되고 정위 은화로 교체되면서 정은이 부족해졌고, 고액권인 정은 대신 소액 은목 거래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몬메센 계산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은찰 대신 전몬메찰이 발행되기도 했다.[45][46]
게이오 4년(1868년) 5월, 메이지 유신 정부는 은목 폐지령을 공포하여 정은과 마메이타긴의 유통을 중지시켰다.[43][47] 메이지 원년(1868년) 10월, 정은과 마메이타긴(메이와 고몬메긴 포함)은 순은 함량에 따라 금화 단위(량, 분, 슈)로 교환 비율이 정해졌고, 금화 및 은화로 교환되었다. 이 교환은 메이지 7년(1874년) 9월에 종료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지금(地金)으로 취급되어 엔, 센, 린 단위의 신화폐로는 직접 교환되지 않았다.
연도 | 유통량 | 비고 |
---|---|---|
겐로쿠 8년(1695년) | 157059관 | |
호에이 3년(1706년) | 405850관 | |
호에이 7년(1710년) | 394175관 | |
쇼토쿠 4년(1714년) | 777563관 | |
겐분 원년(1736년) | 331025관 | |
안에이 원년(1772년) | 526783관 | 정은 |
분세이 원년(1818년) | 882760관 | |
덴포 3년(1832년) | 1389688관 | |
안세이 원년(1854년) | 1466100관 | |
만엔 원년(1860년) | 3254747관 | |
메이지 2년(1869년) | 3354211관 | 정위 은화 |
참조
[1]
인용
[2]
인용
[3]
인용
[4]
인용
[5]
문서
[6]
인용
[7]
인용
[8]
인용
[9]
인용
[10]
인용
[11]
인용
[12]
인용
[13]
인용
[14]
인용
[15]
인용
[16]
인용
[17]
인용
[18]
인용
[19]
인용
[20]
인용
[21]
인용
[22]
문서
[23]
학술지
江戸時代貨幣表の再検討
https://doi.org/10.2[...]
社会経済史学会
1973
[24]
인용
[25]
인용
[26]
인용
[27]
인용
[28]
인용
[29]
인용
[30]
인용
[31]
인용
[32]
인용
[33]
인용
[34]
인용
[35]
인용
[36]
서적
滝沢(1996)
[37]
서적
久光(1976)
[38]
서적
貨幣商組合(1998)
[39]
서적
田谷(1963)
[40]
서적
小葉田(1958)
[41]
서적
滝沢(1996)
[42]
서적
瀧澤・西脇(1999)
[43]
서적
久光(1976)
[44]
서적
三上(1996)
[45]
간행물
銭匁勘定と銭遣い : 江戸期幣制の特色を再検討する
https://doi.org/10.1[...]
同志社大學經濟學會
2009-07
[46]
서적
〔書評〕藤本隆士『近世匁銭の研究』吉川弘文館、2014年
http://www.osaka-ue.[...]
[47]
서적
瀧澤・西脇(1999)
[48]
서적
大蔵省(1875)
[49]
문서
[50]
서적
青山(1982)
[51]
문서
『輝きふたたび 石見銀山展』
島根県立古代出雲歴史博物館 石見銀山資料館
2007
[52]
서적
田谷(1963)
[53]
서적
貨幣秘録
1843
[54]
서적
吹塵録
1887
[55]
문서
[5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