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너선 리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너선 레텀은 미국의 소설가, 에세이 작가, 만화 작가로, 1964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났다. 그는 SF, 탐정 소설, 자전적 요소를 결합한 독특한 스타일로 유명하며, 여러 장르를 넘나드는 작품을 선보였다. 레텀은 1994년 데뷔 소설 《총, 그리고 행사음악》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마더리스 브루클린》으로 전미 도서 비평가 협회상 등을 수상하며 주류 문학계에서도 인정받았다. 그는 또한 밥 딜런과의 인터뷰를 진행하고, 마블 코믹스의 오메가 디 언노운 시리즈를 집필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닝턴 대학교 동문 - 도나 타트
미시시피주 출신 미국 소설가 도나 타트는 『비밀의 역사』, 『작은 친구』, 퓰리처상 수상작 『황금방울새』 등의 작품으로 비평적,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독특한 서사 구조와 심리 묘사, 섬세한 문체로 인정받고 있다. - 베닝턴 대학교 동문 - 앤 램지
앤 램지는 브로드웨이 연극 배우로 시작해 할리우드에서 조연으로 활동하며 《구니스》의 플라텔리 어머니 역으로 유명해졌고, 《엄마는 나와 기차를 타다》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후보에 오른 미국의 배우이다. - 로커스상 수상작가 - 아서 C. 클라크
영국의 SF 작가이자 발명가, 해저 탐험가인 아서 C. 클라크는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리즈로 유명하며 SF계의 '빅3'로 불리고, 정지 궤도 통신 위성의 개념을 제안하여 '클라크 궤도'라는 용어를 탄생시킨 인물이다. - 로커스상 수상작가 - 아이작 아시모프
아이작 아시모프는 20세기 미국의 소설가이자 생화학자, 과학 대중화 저술가로, 로봇 공학 3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통해 SF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세계 환상 문학상 수상작가 - 조지 손더스
조지 손더스는 소비주의와 기업 문화를 풍자적으로 비판하며 도덕적, 철학적 질문을 던지는 작품들로 부커상 등 유수의 문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소설가이자 에세이스트이다. - 세계 환상 문학상 수상작가 - 루시어스 셰퍼드
루시어스 셰퍼드는 SF, 매직 리얼리즘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작품 활동을 했으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소설가이다.
조너선 리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조너선 앨런 레섬 |
별칭 | 해리 콘클린 |
출생일 | 1964년 2월 19일 |
출생지 | 미국 뉴욕주 뉴욕시 |
직업 | 소설가 에세이스트 단편 소설 작가 |
활동 기간 | 1989년 – 현재 |
배우자 | 셸리 잭슨 (1987–1997) 줄리아 로젠버그 (2000–2002) 에이미 배럿 |
자녀 | 2명 |
웹사이트 | 조너선 레섬 공식 웹사이트 |
대표 작품 | |
수상 | |
수상 내역 | 전미 도서 비평가 협회상 세계 환상 문학상 |
2. 초기 생애
조너선 레텀은 뉴욕 브루클린에서 정치적 활동가인 주디스 프랭크 레텀과 아방가르드 화가인 리처드 브라운 레텀 사이에서 태어났다.[7][2] 그는 세 자녀 중 장남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스코틀랜드와 영국계 혈통을 가진 개신교 신자였고, 그의 어머니는 독일, 폴란드, 러시아에 뿌리를 둔 유대인 가문 출신이었다.[3][4] 그의 형제 블레이크는 초기 뉴욕 힙합계에 참여한 예술가가 되었고, 그의 여동생 마라는 사진작가, 작가, 번역가가 되었다. 가족은 브루클린의 코뮌에서 거주했으며, 고와너스(현재는 보럼 힐로 불림) 인근 북쪽에 위치해 있었다. 레텀이 근처 코블힐의 P.S. 29에서 4학년 때 담임이었던 카르멘 파리냐는 미래의 뉴욕시 교육감이 되었으며, 그는 파리냐를 "완벽한" 교사라고 칭하며 첫 소설인 ''가끔 음악이 있는 총''에 헌정했다.[5]
인종적 긴장과 갈등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보헤미안적 어린 시절을 "짜릿하고" 문화적으로 광범위했다고 묘사했다.[6] 밥 딜런의 음악에 대한 백과사전적 지식을 얻었고, 개봉 당시 ''스타워즈''를 스물한 번 보았으며,[7] SF 작가 필립 K. 딕의 전 작품을 읽었다. 레텀은 딕의 작품이 자신의 인생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말했다.[8]
그의 부모는 레텀이 어렸을 때 이혼했다. 그가 13살 때, 그의 어머니 주디스는 악성 뇌종양으로 사망했으며,[9] 그는 이 사건에 시달렸고 그의 글쓰기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7]
그는 아버지처럼 시각 예술가가 되기를 희망하며 뉴욕의 음악 & 미술 고등학교에 다녔다.[10] 음악 & 미술 고등학교에서 그는 미술 작품과 글을 실은 자신의 잡지 ''The Literary Exchange''를 제작했다. 그는 또한 애니메이션 영화를 만들었고, 아직 출판되지 않은 125페이지 분량의 소설 ''Heroes''를 썼다.
고등학교 졸업 후, 레텀은 1982년 버몬트의 베닝턴 칼리지에 입학했다. 하지만, 레텀은 베닝턴에서 계급 현실과의 충돌을 경험하고, 예술보다 글쓰기에 더 관심이 있다는 것을 깨달아 2학년 중간에 자퇴했다.[7] 그는 1984년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캘리포니아주 버클리까지 히치하이킹으로 여행했으며,[11] 12년 동안 캘리포니아에서 살면서 헌책방 점원으로 일하며 틈틈이 글을 썼다.[12] 레텀은 1989년에 첫 단편 소설을 출판했고, 1990년대 초에 몇 편 더 출판했다.[13]
3. 경력
3. 1. 초기 작품
조너선 리섬의 첫 소설인 ''가끔 음악이 있는 총(Gun, with Occasional Music)''은 SF와 레이먼드 챈들러 풍의 탐정 소설을 결합한 작품이다.[7] 이 소설에는 말하는 캥거루, 급진적인 미래 버전의 마약 장면, 저온 보존 감옥이 등장한다.[7] 1994년 하코트 브레이스에서 출판되었으며, ''뉴스위크''는 이 소설을 "대담하고 자신감 넘치는 첫 소설"이라고 평했다.[14] ''가끔 음악이 있는 총''은 1994년 네뷸라상 최종 후보에 올랐으며, 1995년 ''로커스 매거진'' 독자 투표에서 "최우수 첫 소설" 부문 1위를 차지했다.[7] 1990년대 중반, 영화 제작자 겸 감독인 앨런 J. 파큘라는 이 소설의 영화 판권을 구매했다.[7]
''기억 상실의 달(Amnesia Moon)''(1995)은 레텀의 전국 히치하이킹 경험에서 부분적으로 영감을 얻은[7] 두 번째 소설로, 인지 트릭이 만연한 포스트 아포칼립스 시대의 미래 풍경을 탐구하기 위해 로드 트립 내러티브를 사용한다. 1996년에는 단편집 ''하늘의 벽, 눈의 벽(The Wall of the Sky, the Wall of the Eye)''에 초기 단편들을 많이 수록했다.
세 번째 소설 ''그녀가 테이블을 가로질러 기어올랐을 때(As She Climbed Across the Table)''(1997)는 물리학 연구원이 "결핍"이라고 불리는 인공적으로 생성된 공간적 이상 현상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1996년, 레텀은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에서 브루클린으로 돌아왔다.[7] 그가 브루클린으로 돌아온 후 출판한 다음 작품은 ''풍경 속의 소녀(Girl in Landscape)''였다. 이 소설에서 어린 소녀는 사춘기를 겪는 동시에 아치빌더라고 알려진 외계인이 거주하는 새롭고 이상한 세계에 직면해야 한다. 레텀은 ''풍경 속의 소녀''의 플롯과 등장인물이 1956년 존 웨인 주연의 서부극 영화인 ''수색자''에 "매우 강하게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15]
3. 2. 주류적 성공과 장르 혼합
리덤은 뉴욕으로 돌아온 후 탐정 테마를 차용한 ''마더리스 브루클린''을 집필했다.[16] 이 소설에서 그는 타자성에 대한 주관적인 탐구를 하면서 객관적인 현실주의를 유지하고자 했다.[16] 주인공은 뚜렛 증후군을 앓고 있으며 언어에 집착하는 인물로, 리덤은 이 주인공을 자신과 가장 동일시하는 캐릭터라고 언급했다.[16] 1999년에 출판된 ''마더리스 브루클린''은 전미 도서 비평가 협회 소설 부문 상, 범죄 소설 부문 맥칼란 골든 대거, 살롱 북 어워드를 수상했으며, ''에스콰이어''는 이 책을 올해의 책으로 선정했다.[16] 에드워드 노턴은 이 소설을 각색하여 직접 쓰고 연출하고 출연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2019년에 영화가 개봉되었다.[16]
''뉴욕 타임스''는 ''마더리스 브루클린''의 성공으로 리덤이 "일종의 힙스터 유명인사"가 되었으며, "장르 벤더"로 여러 번 언급되었다고 평가했다.[17] 비평가들은 리덤의 소설이 하드보일드 탐정 소설, 공상 과학 소설, 자전적 소설 등 다양한 장르를 혼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17] 리덤은 자신의 장르 혼합에 대한 편안함이 아버지의 예술에서 비롯되었다고 설명했는데, 그의 아버지는 "항상 관찰된 현실과 상상된 현실을 매우 자연스럽고, 자의식 없이 동일한 캔버스에 결합"했기 때문이다.[7] 타임 지의 레브 그로스만은 리덤을 마이클 섀본(리덤의 친구),[18] 마거릿 애트우드, 수재너 클라크와 함께 문학 작품과 대중적인 글쓰기를 혼합하려는 작가로 분류했다.[19]
2003년, 리덤은 "장르 벤딩"에 대해, "높음"과 "낮음", 장르와 그 경계, 그리고 그러한 경계의 모호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든 것이 책에 대해 자신을 움직이고 흥미롭게 만드는 것을 피하기 위한 방식일 뿐이라고 언급하며, 자신이 좋아하는 것은 소박한 현실에 있는 책, 책의 내부, 캐릭터와 상황의 신비로운 움직임, 그리고 그러한 움직임에 수반되는 감정, 문장의 유희라고 말했다.
2000년대 초, 리덤은 단편 소설집을 출판하고, 두 권의 선집을 편집하고, 잡지 기사를 썼으며, 55페이지 분량의 중편 소설 ''This Shape We're In''(2000)을 출판했다. 2000년 11월, 리덤은 록 저널리스트로 성장하는 아이에 대한 "크고 광범위한" 소설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7] 이 소설은 2003년에 ''솔리튜드의 요새''로 출판되었는데, 1970년대 후반 브루클린에서 일어난 인종 갈등과 소년 시절의 이야기를 담은 반자전적인 교양 소설이다.[7] ''뉴욕 타임스''는 이 책을 올해의 9권의 "편집자 선정" 도서 중 하나로 선정했으며, 15개 언어로 출판되었다.
2004년 말, 리덤은 두 번째 단편 소설집 ''Men and Cartoons''을 출판했고, 2005년 3월에는 첫 번째 에세이집인 ''The Disappointment Artist''를 출간했다. 2005년 9월 20일, 리덤은 맥아더 펠로우십을 받았다.
2009년 인터뷰에서 리덤은 단편 소설에 대해, 소설 사이사이에 쓰는 것을 즐기며 매우 헌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소설가로서 행복한 삶을 살고 있지만, 출판한 단편 소설집과 아직 수집되지 않은 이야기가 자신이 가장 자랑스러워하는 글에 속한다고 덧붙였다.
3. 3. 2005년 이후
2006년 9월, 레텀은 밥 딜런과의 인터뷰 "밥 딜런의 천재성"을 ''롤링 스톤''에 게재했다.[22] 이 인터뷰에서 딜런은 현대 녹음 기술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고, 자신의 지위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고아 브루클린''과 ''고독의 요새'' 이후, 레텀은 "[어떤] 문학적 의미에서 브루클린을 떠날 때가 되었다... 나는 정말 장소와 기억에 관한 모든 것을 거부할 필요가 있었다."[7]라고 결정했다. 2007년, 그는 초기 소설의 배경이었던 캘리포니아로 돌아와 신생 록 밴드에 관한 소설 ''You Don't Love Me Yet''을 썼다. 레텀은 이 책이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 캘리포니아에서 신생 밴드의 리드 싱어로 보낸 시절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23] 이 소설은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2005년, 레텀은 마블 코믹스 캐릭터 오메가 디 언노운을 2006년에 출판될 10개의 호 시리즈로 부활시킬 계획이라고 발표했다.[25] 오메가 공동 제작자 스티브 게르버는 이 프로젝트에 대해 개인적인 분노를 표했지만, 나중에 레텀과 논의했고 그를 "잘못 판단했다"고 인정했다.[26] 2006년 5월, 마블 편집장 조 케사다는 이 시리즈가 2007년으로 연기되었다고 설명했다.[27] 개편된 ''오메가 디 언노운'' 시리즈는 2007년 10월부터 2008년 7월까지 10개의 월간 호로 출판되었으며, 2008년 10월에는 단일 권으로 출판되었다.
2007년 초, 레텀은 ''크로닉 시티'' 작업을 시작했다.[28][29] 2008년 7월, 레텀은 ''크로닉 시티''가 "맨해튼의 어퍼 이스트 사이드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솔 벨로우, 필립 K. 딕, 찰스 G. 피니, 알프레드 히치콕의 ''현기증''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한물간 아역 배우, 문화 평론가, 자서전 대필 작가, 시 공무원을 포함한 친구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30]라고 말했다.
그의 에세이 "영향의 황홀경: 표절" (2007)은 표절에 대한 변호이자 예술 분야에서 "기프트 이코노미"로의 복귀를 촉구하는 글로, 2011년 그의 컬렉션인 ''영향의 황홀경: 논픽션, 등''에 포함되었다.[31]
2011년, 파멜라 잭슨과 레텀이 편집한 ''필립 K. 딕의 주해''가 출판되었다. 레텀은 존 카펜터의 영화 ''그들이 산다''(2010년 10월에 ''그들이 산다''로 출판됨)와 토킹 헤즈 앨범 ''Fear of Music''에 대한 짧은 책을 출판했다.[32] 2011년부터 그는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가 맡았던 포모나 칼리지의 창작 문학 로이 E. 디즈니 교수로 재직했다.[33]
레텀의 아홉 번째 소설 ''이단적 정원''은 2013년 9월 10일에 발매되었다.[34]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레텀은 이 소설이 "미국 좌파", 특히 "미국 공산주의의 유산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내려는 빨간 기저귀 베이비 세대"를 다룬다고 밝혔다.[35]
''이단적 정원''은 2015년 2월 레텀의 다섯 번째 단편 소설집인 ''럭키 앨런과 기타 이야기''로 곧바로 이어졌다.
레텀의 열 번째 소설, ''도박사의 해부학''(또는 영국에서는 ''The Blot'')은 2016년 10월에 출판되었으며 "자신이 초능력이 있다고 생각하는 국제 바둑 사기꾼"을 다룬다.[36] 레텀은 2018년 11월 ''도박사의 해부학'' / ''The Blot''에 이어 ''The Feral Detective''를 출간했다.[37][38]
레텀의 열두 번째 소설인 ''The Arrest''는 2020년 11월에 출판되었다.[39]
레텀은 2017년에 발매된 리 라날도 앨범 ''Electric Trim''에 수록된 9곡 중 6곡을 공동 작사했다. 그는 데이비드 보우먼의 2019년 소설 ''Big Bang''의 서문을 썼다.[40]
4. 작품 목록
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1994 | 총, 그리고 행사음악 | Gun, with Occasional Music | |
1995 | 불면의 달 | Amnesia Moon | |
1997 | 그녀가 탁자를 넘어갈 때 | As She Climbed Across the Table | |
1998 | 초상화의 소녀 | Girl in Landscape | |
1999 | 머더리스 브루클린 | Motherless Brooklyn | |
2003 | 고독의 요새 | The Fortress of Solitude | |
2007 | 당신은 아직 날 사랑하지 않아 | 'You Dont Love Me Yet '' | |
2009 | 만성 도시 | Chronic City | |
2013 | 반정원 | Dissident Gardens | |
2016 | 도박사의 해부학 | 'A Gamblers Anatomy'' | |
- 『총, 때때로 음악』, 아사쿠라 히사시 역, 하야카와 쇼보、1996년
- 『마더리스 브루클린』 하야카와 문고, 사사다 마사코 역, The Mysterious Press (하야카와 쇼보), 2000년
- 『고독의 요새』 하야카와 epi 북·플래닛, 사사다 마사코 역, 하야카와 쇼보, 2008년
4. 1. 장편 소설
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1994 | 총, 그리고 행사음악 | Gun, with Occasional Music | |
1995 | 불면의 달 | Amnesia Moon | |
1997 | 그녀가 탁자를 넘어갈 때 | As She Climbed Across the Table | |
1998 | 초상화의 소녀 | Girl in Landscape | |
1999 | 머더리스 브루클린 | Motherless Brooklyn | |
2003 | 고독의 요새 | The Fortress of Solitude | |
2007 | 당신은 아직 날 사랑하지 않아 | 'You Dont Love Me Yet '' | |
2009 | 만성 도시 | Chronic City | |
2013 | 반정원 | Dissident Gardens | |
2016 | 도박사의 해부학 | 'A Gamblers Anatomy'' | |
2018 | 야생 탐정 | The Feral Detective | |
2020 | 체포 | The Arrest | |
2023 | Brooklyn Crime Novel |
4. 2. 중편 소설
wikitable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1994 | 총, 그리고 행사음악 | Gun, with Occasional Music | |
1995 | 불면의 달 | Amnesia Moon | |
1997 | 그녀가 탁자를 넘어갈 때 | As She Climbed Across the Table | |
1998 | 초상화의 소녀 | Girl in Landscape | 폭 |
1999 | 머더리스 브루클린 | Motherless Brooklyn | |
2003 | 고독의 요새 | The Fortress of Solitude | |
2007 | 당신은 아직 날 사랑하지 않아 | 'You Dont Love Me Yet '' | |
2009 | 만성 도시 | Chronic City | |
2013 | 반정원 | Dissident Gardens | |
2016 | 도박사의 해부학 | 'A Gamblers Anatomy'' | |
- ''이 시대의 모습''(2000)
- ''붕괴하는 프론티어''(2024)
- 『총, 때때로 음악』, 아사쿠라 히사시 역, 하야카와 쇼보、1996년
- 『마더리스 브루클린』 하야카와 문고, 사사다 마사코 역, The Mysterious Press (하야카와 쇼보), 2000년
- 『고독의 요새』 하야카와 epi 북·플래닛, 사사다 마사코 역, 하야카와 쇼보, 2008년
4. 3. 단편 소설집
조너선 리섬은 여러 단편 소설집을 출간했다. 1996년에는 ''하늘의 벽, 눈의 벽''을 출간했고, 1999년에는 카터 숄츠와 함께 ''카프카 아메리카나''를 출간했다. 2004년에는 ''남자들과 만화''를, 2006년에는 ''우리가 시시해진 방법''을 출간했다. 2015년에는 ''럭키 앨런과 다른 이야기들''을 출간했다.리섬의 단편 소설들은 다양한 잡지에 게재되기도 했다. 2004년 ''The New Yorker''에는 〈Super Goat Man〉이 게재되었고, 2009년에는 〈Ava's Apartment〉와 〈Procedure in Plain Air〉가 게재되었다. 〈Procedure in Plain Air〉는 이후 ''Lucky Alan and Other Stories''에 다시 수록되었다. 2013년에는 ''The New Yorker''에 〈The Gray Goose〉가, 2019년에는 〈The Starlet Apartments〉가, 2020년에는 〈The Afterlife〉가 게재되었다.
제목 | 연도 | 최초 출판 | 비고 |
---|---|---|---|
The Crooked House | 2021 | The New Yorker | |
Super Goat Man | 2004 | The New Yorker | |
Ava's Apartment | 2009 | The New Yorker | |
Procedure in Plain Air | 2009 | The New Yorker | Lucky Alan and Other Stories에 재수록 |
The Gray Goose | 2013 | The New Yorker | |
The Starlet Apartments | 2019 | The New Yorker | |
The Afterlife | 2020 | The New Yorker |
4. 4. 논픽션
조너선 리섬은 논픽션 작품도 다수 집필했다. 1997년 1월에는 ''Salon.com''에 에세이 "끔찍한 행위와 작은 살인"을 기고했다. 2002년 여름에는 ''Bookforum''에 "당신은 딕을 모른다"라는 에세이를 발표했다. 2005년에는 에세이집 ''실망 아티스트''를 출간했으며, 같은 해 ''뉴요커''에 "수염"이라는 글을 기고했다.2006년에는 ''롤링 스톤''에 "제임스 브라운 되기"와 "밥 딜런의 천재성"이라는 글을 기고했다. 2007년 2월에는 ''Harper's Magazine''에 "영향력의 황홀경" 에세이를 발표했다. 2011년에는 ''영향력의 황홀경: 논픽션 등''을 출간했고, 파멜라 잭슨과 공동 편집한 ''필립 K. 딕의 주석''을 출간했다. 2012년에는 ''33⅓'' 시리즈로 ''토킹 헤즈의 공포의 음악''을 출간했다. 2013년 3~4월에는 레이먼드 페티본과 함께 ''더 빌리버''에 "레이먼드 페티본의 그림 4점: 새로운 협업"을 기고했다. 2018년에는 ''더 생생하고 덜 외롭게: 책과 작가에 대하여''를 출간했다.
4. 5. 만화
조너선 리섬은 여러 편의 소설을 발표했다. 1994년 《총, 그리고 행사음악》(''Gun, with Occasional Music'')을 시작으로, 1995년 《불면의 달》(''Amnesia Moon''), 1997년 《그녀가 탁자를 넘어갈 때》(''As She Climbed Across the Table''), 1998년 《초상화의 소녀》(''Girl in Landscape'')를 출간했다. 1999년에는 《머더리스 브루클린》(''Motherless Brooklyn'')을 발표했고, 2003년에는 《고독의 요새》(''The Fortress of Solitude'')를 출간했다. 이후 2007년 《당신은 아직 날 사랑하지 않아》(''You Don't Love Me Yet ''), 2009년 《만성 도시》(''Chronic City''), 2013년 《반정원》(''Dissident Gardens''), 2016년 《도박사의 해부학》(''A Gambler's Anatomy'')을 발표했다.2007년에는 오메가 더 언노운 만화를 출간했다.
몇몇 작품은 일본어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는데, 《총, 때때로 음악》은 아사쿠라 히사시 역으로 하야카와 쇼보에서 1996년에 출간되었다. 《마더리스 브루클린》은 사사다 마사코 역으로 하야카와 문고에서, 《고독의 요새》는 사사다 마사코 역으로 하야카와 epi 북·플래닛에서 2008년에 출간되었다.
5. 수상 경력
조너선 리섬은 1995년 《총, 때때로 음악》(''Gun, With Occasional Music'')으로 로커스상 장편 소설 부문과 크로퍼드상을 수상했다. 1997년에는 ''The Wall of the Sky, the Wall of the Eye''로 세계 환상 문학상을 수상했다. 1999년에는 《마더리스 브루클린》(''Motherless Brooklyn'')으로 전미 비평가 협회상을, 2000년에는 영국 추리 작가 협회 골드 다거상을 수상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Jonathan Lethem Reading and Why I Need GPS
http://syntaxofthing[...]
2004-11-15
[2]
웹사이트
医療の不思議
http://www.richardle[...]
[3]
웹사이트
Not Science Fiction
http://www.forward.c[...]
2009-08-11
[4]
간행물
Jonathan Lethem · Diary: My Egyptian Cousin: Saad Eddin Ibrahim · LRB 12 December 2002
http://www.lrb.co.uk[...]
2002-12-12
[5]
웹사이트
Jonathan Lethem says Fariña was a 'perfect' teacher
https://www.politico[...]
2013-12-30
[6]
뉴스
Brooklyn Dodger
https://archive.toda[...]
The Scotsman
2007-05-26
[7]
뉴스
The Borrower
http://books.guardia[...]
The Guardian
2007-06-02
[8]
간행물
Jonathan Lethem to Appear in Shanghai
http://www.timeoutsh[...]
Time Out Shanghai
2011-09-26
[9]
문서
Lethem (2005). pp. 36-37.
[10]
웹사이트
Interview: Jonathan Lethem
http://www.postroadm[...]
Post Road Magazine
2007-09-28
[11]
간행물
Private Hells and Radical Doubts: An Interview with Jonathan Lethem
http://www.depauw.ed[...]
Science Fiction Studies
1998-07
[12]
웹사이트
License at the Margins
http://alumni.berkel[...]
California Magazine
2011-07-25
[13]
웹사이트
A Conversation With Jonathan Lethem
http://www.sfsite.co[...]
The SF Site
2000-11
[14]
뉴스
Jonathan Lethem: Breaking the Barriers Between Genres
http://www.publisher[...]
Publishers Weekly
1998-03-30
[15]
간행물
Breeding Hybrids in the Genre Garden
http://www.locusmag.[...]
Locus Magazine
1997-10
[16]
뉴스
Norton Birthing 'Motherless': New Line Nurturing Lethem Novel
https://variety.com/[...]
Variety
1999-10-13
[17]
뉴스
Untangling the Knots of a Brooklyn Boyhood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2003-09-16
[18]
웹사이트
From Pittsburgh to Sitka: On Michael Chabon’s ''The Yiddish Policemen’s Union''
http://www.vqronline[...]
The Virginia Quarterly Review
2009-10-10
[19]
뉴스
Pop Goes the Literature
http://www.time.com/[...]
Time
2004-12-17
[20]
웹사이트
Jonathan Lethem Interview
http://www.failbette[...]
FailBetter.com
2006-05-10
[21]
문서
Armchair/Shotgun - Issue 1, ''City Chronicle'' p. 114
[22]
간행물
Music News
https://www.rollings[...]
[23]
웹사이트
A Hit Song of the Mind: Profile of Jonathan Lethem, Author, You Don't Love Me Yet
https://web.archive.[...]
zoom-in.com
2007-05-21
[24]
웹사이트
Interview: Jonathan Lethem
https://www.avclub.c[...]
2007-04-05
[25]
뉴스
Meta-Hero Worship
https://web.archive.[...]
Time
2005-05-01
[26]
웹사이트
Into the Unknown
http://www.comicbook[...]
Comic Book Resources
2007-10-13
[27]
웹사이트
Joe Fridays: Week 51
http://www.newsarama[...]
Newsarama.com
2007-09-29
[28]
문서
Jonathan Lethem
http://trashotron.co[...]
2007-04-16
[29]
웹사이트
Chronic City listing
https://www.amazon.c[...]
Amazon.com
[30]
뉴스
Lethem Exits the Unknown with ''Omega''
http://www.comicbook[...]
Comic Book Resources
2008-07-18
[31]
간행물
The Ecstasy of Influence: A Plagiarism
https://harpers.org/[...]
2007-02
[32]
웹사이트
The Rumpus Long Interview with Jonathan Lethem
http://therumpus.net[...]
The Rumpus
2010-01-19
[33]
웹사이트
Jonathan Lethem Appointed Disney Professor of Creative Writing at Pomona College
http://www.pomona.ed[...]
Pomona College website
2012-03-06
[34]
서적
Dissident Gardens: A Novel
Random House Incorporated
[35]
웹사이트
Jonathan Lethem on his upcoming novel, 'Dissident Gardens' [video]
https://www.latimes.[...]
2013-04-22
[36]
웹사이트
A Gambler's Anatomy by Jonathan Lethem - PenguinRandomHouse.com
http://www.penguinra[...]
2017-05-07
[37]
웹사이트
Ecco to Publish Jonathan Lethem's Next Novel
https://www.publishe[...]
2018-03-15
[38]
웹사이트
Prize winner Jonathan Lethem has new novel and new publisher
http://www.nydailyne[...]
2018-03-15
[39]
웹사이트
The Arrest
https://www.harperco[...]
[40]
웹사이트
Big Bang by David Bowman | Little, Brown and Company
https://web.archive.[...]
2019-07-04
[41]
간행물
The Brooklyn Fridge: Jonathan Lethem
http://www.ediblebro[...]
Edible Brooklyn
2007
[42]
웹사이트
Lucky Alan
https://web.archive.[...]
2015-07-07
[43]
IMDb title
Light and the Sufferer
[44]
웹사이트
The Epiphany
http://violetfilms.c[...]
2012-02-07
[45]
웹사이트
The Epiphany (II)
https://www.imdb.com[...]
2012-02-07
[46]
웹인용
The Jonathan Lethem Reading and Why I Need GPS
http://syntaxofthing[...]
2017-07-19
[47]
웹인용
알라딘: 조너선 리섬
https://www.alad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