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비 (고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비는 고려 충선왕의 왕비로, 충선왕 즉위 전에 혼인하여 세자빈이 되었다. 충선왕의 총애를 받았으나, 충선왕의 정비인 계국대장공주의 질투로 인해 모함당하여 원나라로 압송되었다. 이 사건으로 충선왕은 폐위되었고, 조비 일가는 복권되어 고려 후기 재상 가문으로 발전했다. 조비는 원나라 압송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전하지 않으며, 자녀는 없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양 조씨 - 조태용
조태용은 대한민국의 외교관 출신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후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교부에서 활동하며 북핵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국회의원과 주미대사, 국가안보실장을 역임한 뒤 국가정보원장에 임명되었다. - 평양 조씨 - 조박
- 14세기 사망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는 14세기 독일의 도미니크 수도회 신학자이자 신비주의자로, "신성의 무(無)" 개념을 중심으로 신과 인간의 합일과 자아 초월을 강조하는 독특한 신학 사상으로 이단 논란에 휩싸였으나, 후대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며 재평가되고 있다. - 14세기 사망 - 경순왕후
경순왕후 박씨는 원나라 천호 박광의 딸이자 조선 도조 이춘의 비로, 환조 이자춘을 비롯한 5남 2녀를 두었으며 조선 개국 후 경비로 추존되었다가 태종 때 경순왕후로 시호가 올려진 문주 박씨이다. - 13세기 출생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는 14세기 독일의 도미니크 수도회 신학자이자 신비주의자로, "신성의 무(無)" 개념을 중심으로 신과 인간의 합일과 자아 초월을 강조하는 독특한 신학 사상으로 이단 논란에 휩싸였으나, 후대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며 재평가되고 있다. - 13세기 출생 - 구스노키 마사시게
구스노키 마사시게는 가마쿠라 막부 말기부터 겐무 신정기에 활약한 무장으로, 고다이고 천황을 지지하여 막부에 맞섰으나 아시카가 다카우지와의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그의 충절은 높이 평가받고 출신 배경과 생애에 대한 다양한 논쟁이 존재한다.
조비 (고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조비 |
작위 | 비 |
시호 | 미상 |
배우자 | 충선왕 |
자녀 | 없음 |
왕조 | 고려 |
아버지 | 조인규 |
친척 | 조서(남매), 조련(남매), 조후(남매), 조위(남매), 박의(매부), 노영수(매부), 박경량(매부), 최충소(매부)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고려 |
사망일 | 미상 |
능묘 | 미상 |
국적 | 고려 |
2. 생애
2. 1. 가계 및 초기 생애
증조부는 용양위(龍驤衛)를 지내고 밀직사(密直事)에 추증(追贈)된 조홍유(趙洪裕)이며, 조부는 금오위별장(金吾衛別將)을 지내고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에 추증(追贈)된 조영(趙瑩)이다. 아버지 조인규(趙仁規)는 평양군(平壤君)이며, 외조부는 한양조씨(漢陽趙氏) 사재경(司宰卿) 조온려(趙溫呂)이다. 조인규는 몽골어와 한어(漢語)에 밝아 조정의 조칙을 틀리는 곳 없이 번역하였다.2. 2. 충선왕비 책봉과 계국대장공주와의 갈등
조비는 1292년(충렬왕 18년)에 당시 세자였던 충선왕과 혼인하여 세자비가 되었다.[2] 이는 충선왕의 정비인 계국대장공주보다 4년 앞선 혼인이었다. 조비는 충선왕의 총애를 받았으나, 이는 계국대장공주의 질투를 유발했다.1298년(충선왕 즉위년) 4월, 계국대장공주는 외오아 문자[3]로 원나라 태후에게 조비를 저주하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이 편지는 충선왕에게 발각되었으나, 충렬왕은 계국대장공주를 옹호하며 사건을 무마하려 했다.[5]
같은 해 5월, 궁궐 문에 조인규의 처가 무당을 시켜 계국대장공주를 저주한다는 내용의 익명서가 붙었다.[6] 이는 사재주부 윤언주가 붙인 것으로, 이 사건으로 인해 조인규와 그 가족, 사위들까지 모두 투옥되었다.
계국대장공주는 유모를 통해 원나라에 조비가 자신을 투기한다는 내용을 고하게 하였고,[6] 원나라 태후는 사신을 보내 조비와 관련 인물들을 모두 가두었다.[7] 조인규의 처는 혹독한 국문을 이기지 못하고 허위 자백을 하였으며,[8] 결국 조비와 조인규 일가는 원나라로 압송되었다.[9]
이 사건으로 충선왕은 즉위 7개월 만에 폐위되었고, 충렬왕이 복위하였다. 이후 조비 일가는 복권되었고, 고려 후기 재상 가문으로 발전하였다.[11]
2. 3. 조비 사건과 원나라 압송
조비는 평소 충선왕의 총애를 받았는데, 이는 조비보다 4년 후에 고려로 시집 온 계국대장공주(이하 공주)의 엄청난 질투를 샀다.[3]1298년(충선왕 즉위년) 4월 공주는 당시 원나라에서 사용하던 문자인 외오아 문자를 사용하여 원나라 태후에게 편지를 썼다.[3] 편지에는 "조비가 저를 저주하여, 왕이 저를 사랑하지 못하도록 합니다."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공주는 자신의 시종인 활활대와 활활불화를 시켜 원나라로 편지를 보내려 했다. 그러나 이를 알아챈 충선왕이 박선(조인규의 사위)을 시켜 두 사람에게 편지의 내용을 물었으나, 두 사람은 편지의 내용을 말하지 않고 도리어 박선을 구타하였다. 충선왕은 충렬왕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충렬왕은 공주의 처소로 가서 공주와 활활불화, 활활대, 장길철리 등을 위로하고 노비, 여자 등을 하사하였다.[5] 하지만 공주는 끝내 두 사람을 원나라로 보내 원나라 태후에게 이 일을 알렸다.
1298년(충선왕 즉위년) 5월 궁궐 문에 익명서 한 장이 붙었는데, "조인규의 처가 무당을 시켜서 저주를 하여, 왕이 공주는 사랑하지 않고 자기 딸만을 사랑하게 해 달라고 했다."라는 내용이었다. 이 익명서는 사재주부 윤언주가 붙인 것이었다. 이 익명서로 인해 공주는 조인규와 그 처, 조인규의 아들 조서·조련·조후, 조인규의 사위 박의·노영수와 딸들까지 모조리 가두어 버렸다. 공주는 다시 사람을 시켜 원나라에 이 사실을 고하게 하였는데, 충선왕, 상락백 김방경 등은 이를 막으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6]
같은 해 5월 병술일, 공주가 조비를 투기하자 공주의 유모가 무뢰배들과 함께 음모를 꾸며, 공주가 왕에게서 소박을 맞았다고 하면서 코케부카·코케다이와 대장군 김정·오정규 등을 원나라에 보내 태후에게 고자질하게 했다. 같은 달 활활불화 등이 원나라 태후의 사신과 함께 고려로 들어와 황제의 명이라며 조비와 최충소,[7] 장군 유온 등을 모두 가두었다.
1298년(충선왕 즉위년) 6월 정사일, 원나라의 사신은 조인규와 그 처를 국문하였는데, 조인규의 처는 매우 참혹한 국문을 이기지 못하고 끝내 허위 자백을 하고 말았다.[8] 결국 조비와 환관 이온을 비롯하여 조인규와 그 처, 아들과 사위 최충소·박선 모두 원나라에 압송되었다.[9] 또 원나라 태후는 홍군상을 시켜 충선왕과 공주를 동침하게 하였다.[8]
1305년(충렬왕 31년) 조비의 아버지 조인규는 방면되었다.[10] 이 사건 이후 충선왕은 즉위 7개월 만에 폐위되고, 태상왕으로 있던 충렬왕이 복위한다. 이 사건을 기점으로 충렬왕과 충선왕 부자 및 두 왕 주변의 세력들은 정적이 되어 약 10여 년간의 정쟁으로 비화된다.
훗날 조비 일가는 복권되었을 뿐 아니라 고려 후기의 대표적 재상 가문으로 발전하였다.[11] 조비가 원나라로 끌려간 이후 어떻게 되었는지는 기록이 전혀 전하지 않는다. 또 생몰년이나 사망지, 능지에 대한 기록 역시 없다. 시호도 전하는 것이 없고, 단지 그녀의 성인 조(趙)에 비(妃)를 붙여 '''조비'''(趙妃), 또는 '''충선왕비 조씨'''(忠宣王妃 趙氏)라고만 한다. 충선왕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조서, 조련, 조후, 조위 등은 그녀와 남매이다. 이중 조련은 훗날 조선의 개국 공신이 되는 조준의 할아버지이다.[12]
2. 4. 복권과 가문의 부흥
2. 5. 사망
조비가 원나라로 끌려간 이후의 행적에 대해서는 전혀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생몰년, 사망 장소, 능지에 대한 기록도 없으며, 시호 또한 전해지지 않는다. 단지 성인 조(趙)에 비(妃)를 붙여 '''조비'''(趙妃), 또는 '''충선왕비 조씨'''(忠宣王妃 趙氏)라고만 불린다. 충선왕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조서, 조련, 조후, 조위 등은 그녀와 남매간이다. 이중 조련은 훗날 조선의 개국 공신이 되는 조준의 할아버지이다.
3. 가족 관계
- 아버지 : 조인규(1237~1308)[8]
- 오빠 : 조서(趙瑞, ?~1313)
- 남동생 : 조련(?~1322)
- 남동생 : 조후(1278~1325)
- 남동생 : 조의선(趙義旋)
- 남동생 : 조위(1287~1348)
- 형부[8] : 박의(?~1321[13])
- 형부 : 지제교 노영수
- 남편 (재혼) : 평장정사 오말(吳抹) 또는 오마아(烏馬兒)
- 제부 : 최충소(생몰년 미상[14])
- 제부 (재혼) : 지각문사 백효주(白孝珠)
- 제부[15] : 박경량(또는 박선, ?~1320[16])
- 제부 (재혼) : 용양위대호군 염세충(廉世忠)
- 시아버지 : 제25대 충렬왕(1236~1308, 재위:1274~1308)
- 시어머니 : 제국대장공주(1259~1297)
- 남편 : 제26대 충선왕(1275~1325, 재위:1298, 1308~1313)
3. 1. 친정
조비는 조인규의 딸로, 고려 충선왕의 왕비이다.[8] 오빠는 조서, 남동생은 조련, 조후, 조의선, 조위이다.[8] 형부는 박의와 지제교 노영수이다.[8][13] 남편은 평장정사 오말(또는 오마아)이며, 제부는 최충소, 지각문사 백효주, 박경량(또는 박선), 용양위대호군 염세충이다.[8][14][15][16] 시아버지는 고려 충렬왕이며, 시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이다.[8]3. 2. 시댁
조비의 아버지 조인규는 1237년에 태어나 1308년에 사망했다.[8] 조비의 오빠는 조서(趙瑞)이며 1313년에 사망했고, 남동생으로는 조련(趙璉, ?~1322), 조후(趙珝, 1278~1325, 조연수로 개명), 조의선(趙義旋), 조위(趙瑋, 1287~1348)가 있다. 조비의 형부로는 박의(朴義, ?~1321)와[13] 지제교(知制誥) 노영수(盧潁秀)가 있다. 조비는 평장정사(平章政事) 오말(吳抹) 또는 오마아(烏馬兒)와 재혼하였다. 조비의 제부로는 최충소(崔忠紹, 생몰년 미상)가 있고,[14] 재혼한 제부로는 지각문사(知閣門事) 백효주(白孝珠)가 있다. 또 다른 제부로는 박경량(朴景亮, 또는 박선, ?~1320)이 있고,[15][16] 재혼한 제부로는 용양위대호군(龍虎軍大將軍) 염세충(廉世忠)이 있다.[15]조비의 시아버지는 제25대 고려 국왕 충렬왕(1236~1308, 재위:1274~1308)이며, 시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1259~1297)이다. 조비의 남편은 제26대 고려 국왕 충선왕(1275~1325, 재위:1298, 1308~1313)이다.
4. 평가 및 의의
5. 기타
참조
[1]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충선왕비조씨〉항목
https://web.archive.[...]
2012-06-10
[2]
서적
고려사 권30 세가 권30
[3]
웹사이트
동사강목 제12-하
http://db.itkc.or.kr[...]
2016-12-20
[4]
웹사이트
동사강목 제13-상
http://db.itkc.or.kr[...]
2016-12-20
[5]
웹인용
고려사절요 권22
https://web.archive.[...]
2018-11-01
[6]
웹인용
동사강목 제12-하
https://web.archive.[...]
2018-11-01
[7]
웹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최충소〉항목
http://people.aks.ac[...]
2016-03-17
[8]
서적
고려사 권89 열전 권2
[9]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조서〉항목
https://web.archive.[...]
2012-06-10
[10]
웹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조인규〉항목
https://terms.naver.[...]
[11]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조비〉항목
https://web.archive.[...]
2012-06-10
[12]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조련〉항목
https://web.archive.[...]
2012-06-10
[13]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박의〉항목
https://web.archive.[...]
2012-06-10
[14]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최충소〉항목
https://web.archive.[...]
2012-06-10
[15]
웹인용
동사강목 제13-상
https://web.archive.[...]
2018-11-01
[16]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박경량〉항목
https://web.archive.[...]
2012-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