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5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하여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197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고,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강팀으로 부상했으나, 1986년 세계 선수권 대회를 마지막으로 주요 국제 대회 출전이 줄었다. 이후 2005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 14년 만에 출전하여 재기를 시도했다. 올림픽에서는 1972년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70년 동메달이 최고 성적이다. 아시안 게임에서는 1974년부터 1990년까지 4위를 기록했으며, 2022년 대회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자 국가대표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9년 국제 무대 데뷔 후 AFC 여자 아시안컵 우승 등 주요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도핑 문제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현재 FIFA 랭킹 10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자 국가대표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대표하는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으로, 1999년 국제 경기에 처음 참가하여 2003년 세계 랭킹 13위까지 올랐으며, 올림픽 자력 출전은 없었으나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남북 단일팀으로 참가했고 세계 선수권 대회, 동계 아시안 게임, IIHF 챌린지 컵 오브 아시아에 꾸준히 참가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
국기
성별여자
협회 정보
연맹아시아 배구 연맹
협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배구 협회
올림픽
출전 횟수1회 (1972)
최고 성적16px 동메달 (1972)
세계 선수권
출전 횟수4회
첫 출전1956년
최고 성적16px 3위 (1970)
아시아 선수권
출전 횟수4회
최고 성적4위 (1991년)
국제 배구 연맹 (FIVB) 랭킹
순위74위 (2020년 3월 기준)

2. 역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5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했다.[3] 1970년 세계 배구 선수권 대회와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86년 세계 선수권 대회를 마지막으로 세계 선수권 대회에는 출전하지 않았고, 1990년 이후 주요 국제 대회 출전도 없었다. 2005년에 14년 만에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7위를 기록했다.

2. 1. 국제 대회 초기 (1955년 ~ 1970년대)

1955년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했다.[3] 197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김증폭, 강옥순 등의 활약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첫 출전한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

2. 2. 침체기와 재도약 (1980년대 ~ 현재)

197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김증폭, 강옥순의 활약으로 동메달을 획득했고,[3] 첫 출전한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3] 세계 선수권 대회는 1986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출전하지 않았다.[3] 1990년 이후 주요 국제 대회 출전이 없었지만, 2005년에 14년 만에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7위를 기록했다.[3]

3. 국제 대회 성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 올림픽에서는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1]
  •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70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다.[2]
  • 아시안 게임에서는 1974년, 1978년, 1982년, 1990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고, 2022년 대회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3]
  •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91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4]


국제 대회 성적 요약
대회최고 성적
하계 올림픽1972년 동메달 [1]
세계 선수권 대회1970년 3위 [2]
아시안 게임4위 (1974, 1978, 1982, 1990년) [3]
아시아 선수권 대회1991년 4위 [4]


3. 1. 올림픽

하계 올림픽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승리패배획득 세트실점 세트선수 명단
1964예선 탈락
1968
1972결승3위532106선수 명단
1976예선 탈락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전체0 우승1/16532106


  • 1972년 - -- 동메달

3. 2. 세계 선수권 대회

연도라운드최종 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점세트 실점선수 명단
1952불참
19567위
1960예선 탈락
196210위
1967예선 탈락
19703위
1974불참
1978예선 탈락
1982예선 탈락
198614위
1990예선 탈락
1994예선 탈락
1998예선 탈락
2002예선 탈락
2006예선 탈락
2010예선 탈락
2014예선 탈락
2018예선 탈락
2022예선 탈락
2025예선 탈락
총계0회 우승4/20-


3. 3.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점세트 실점선수 명단
1962불참
1966
1970
1974결승4위41359
1978결승4위
1982결승4위
1986불참
1990결승4위
1994불참
1998
2002
2006
2010결승4위8531711선수 명단
2014불참
2018
20225–8위 결정전7위624915
합계0회 우승6/16


3. 4. 아시아 선수권 대회

대회결과
1989년5위
1991년4위
2005년7위
2011년6위


4. 주요 선수

연도대회선수감독
1972년 하계 올림픽3위리춘옥, 김명숙, 김중복, 강옥순, 김연자, 황혜숙, 장옥림, 백명숙, 렴춘자, 김수대, 정옥진
2010년 아시안 게임4위김은정, 김용미, 정진심, 한옥심, 민옥주, 최련, 김경숙, 리현숙, 남미향, 김혜옥, 김옥희, 리순종강옥순


5. 역대 감독

연도대회감독
1972년1972년 하계 올림픽자료 없음
2010년2010년 아시안 게임강옥순
2015년-2016년Моро Бранислав|모로 브라니슬라프sr


6. 올림픽 상대 전적

하계 올림픽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승리패배획득 세트실점 세트선수 명단
1964예선 탈락
1968
1972결승3위532106선수 명단
1976예선 탈락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전체0 우승1/16532106



상대경기 수승리패배세트 승세트 패
쿠바11030
체코슬로바키아11030
일본10103
대한민국11030
소련10113
합계532106


참조

[1] 웹사이트 Final standings (1964–2000) http://www.fivb.org/[...] FIVB 2014-08-26
[2] 웹사이트 バレーボール女子世界ランキング https://www.fivb.com[...] 2020-03-18
[3] 웹사이트 Asian Volleyball Confederation (AVC) http://www.fivb.org/[...] FIVB 2010-08-30
[4] 웹인용 Final standings (1964–2000) http://www.fivb.org/[...] FIVB 2014-08-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