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총독부 철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총독부 철도국은 1910년 10월 1일 설치되어 1943년 12월 1일 폐지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소속 관청이다. 1917년부터 1925년까지 남만주 철도에 위탁 경영되기도 하였으며, 1919년 철도부로 개칭되기도 했다. 1925년 총독부 직영으로 복귀된 후 철도국이 신설되었고, 1943년 교통국으로 개편되었다. 철도국은 중앙에 본국을 두고 지방에 지방철도국, 사무소, 출장소 등을 설치하여 운영되었으며, 철도국 직원들의 자치단체인 조선총독부철도국국우회를 운영했다.

2. 연혁


  • 1910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 소속 관청으로 철도국이 설치되었다.[1]
  • 1917년 7월 31일 조선의 국유 철도인 조선총독부 철도가 남만주 철도에 위탁 경영되면서 조선 철도국 관제가 폐지되어 조선총독부 총독관방에 철도국이 설치되었다.[1]
  • 1919년 8월 20일 조선총독부 관제 개정(칙령 제386호)에 의해 철도국을 철도부로 개칭하고 장을 부장으로 하였다.[1]
  • 1925년 3월을 끝으로 조선총독부 철도의 위탁 운영이 해제되어 총독부 직영이 복귀되었고 조선총독부의 외국(外局)으로서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신설되었으며 총독관방 철도부는 폐지되었다.[1]
  • 1925년 4월 1일 조선총독부 철도국 관제(칙령 제84호)가 시행되었다.[1]
  • 1943년 12월 1일 조선총독부의 관제 개정에 의해 철도국이 폐지되고 교통국이 설치되었다.[1]

3. 조직

1941년 9월 1일 당시 조선총독부 철도국은 중앙에 철도국을 두고, 지방에는 지방 철도국, 사무소, 출장소 등을 두었다.[1] 1939년 12월 자료에 따르면, 철도국은 중앙조직과 지방조직으로 나뉘었다.[1][2]

3. 1. 중앙

1941년 9월 1일 당시 조선총독부 철도국은 중앙에 철도국을 두고, 지방에는 지방 철도국, 사무소, 출장소 등을 두었다.[1] 1939년 12월 자료에 따르면, 중앙의 철도국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1]

  • 철도국
  • * 서무과(庶務課)
  • ** 철도도서관(鐵道圖書館)
  • ** 철도박물관
  • ** 철도의원(鐵道醫院)
  • * 조사과(調査課)
  • * 감독과(監督課)
  • * 운수과(運輸課)
  • * 건설과(建設課)
  • * 개량과(改良課)
  • * 보선과(保線課)
  • * 공작과(工作課)
  • * 전기과(電氣課)
  • * 경리과(經理課)
  • * 철도종사원양성소(鐵道從事員養成所)


1939년 12월 자료에는 각 과의 하부 조직도 상세히 나타나 있다.[1]

  • 철도국
  • * 서무과 : 문서계, 인사계, 교양계, 사회계
  • ** 철도도서관
  • ** 철도박물관
  • * 조사과 : 조사계, 기획계, 방공계, 특수계, 심사계
  • * 감독과 : 감리계, 육운계, 기술계
  • * 영업과 : 서무계, 여객계, 화물계, 배차계
  • ** 여관, 구내식당, 열차식당
  • * 운수과 : 서무계, 열차계, 차량계
  • * 건설과 : 서무계, 계량계, 공사계, 설계제일계, 설계제이계
  • * 보선과 : 서무계, 계량계, 선로계
  • * 개량과 : 서무계, 계량계, 공사계, 건축계
  • * 공작과 : 서무계, 차량제일계, 차량제이계, 기계계
  • * 전기과 : 서무계, 통신계, 전력계
  • ** 경성전기수선장
  • * 경리과 : 주계계, 회계계, 창고계, 조도계, 구매제일계, 구매제이계, 물자조사계
  • * 철도종사원양성소 : 본과, 공작과, 전신과, 강습과

3. 2. 지방

1941년 9월 1일 당시 조선총독부 철도국은 중앙의 철도국과 지방의 지방 철도국, 철도사무소, 건설사무소, 개량사무소, 공장, 병원 등으로 구성되었다.[2]

구분소재지하부 조직비고
지방철도국경성, 부산, 함흥
철도사무소부산, 대전, 경성, 평양, 순천, 원산, 성진(서무계, 영업계, 운수계, 공무계, 경리계, 건설계(순천·성진), 전기계(부산·경성·평양), 개량계(성진), 건축계(부산·경성·평양))
역(신호장 및 신호소 포함), 열차구, 기관구, 검차구, 보선구, 전기구, 건축구, 공사구, 자동차구(순천), 철도진료소
건설사무소평양, 안동, 강릉, 경성, 안동공사구(서무계, 기술계)
개량사무소부산, 경성, 평양공사구(서무계, 기술계)
공장부산, 경성, 청진
부산공장(서무계, 작업장, 물품소)
경성공장(서무계, 제일공작계, 제이공작계, 제삼공작계), 작업장, 동력소, 물품소, 검사소, 평양분공장 (작업장, 물품소)
청진공장(서무계), 작업장, 물품소
철도병원
경성철도병원 (1907년 용산동인병원~철도국 서울진료소, 1913년부터 철도국 직영의 용산철도병원. 1984~2011년간은 중앙대학교 부속 용산병원), 부산철도병원 (1901년 초량철도의무실, 1906년부터 철도국 직영의 부산철도병원. 후의 부산교통병원, 1950년에 이전)


4. 역대 국장

성명재임 기간비고
통감부 철도청 장관
오야 곤페이1909년 6월 19일 ~ 1909년 12월 16일
한국철도관리국장
오야 곤페이1909년 12월 16일 ~
조선총독부 철도국 장관
오야 곤페이1910년 10월 1일 ~ 1917년 7월 31일
총독관방 철도국장
히토미 지로1917년 7월 31일 ~ 1919년 5월 17일
아오키 카이조1919년 5월 17일 ~ 1919년 8월 20일
총독관방 철도부장
와다 이치로1919년 8월 20일 ~ 1921년 2월 12일
유게 코타로1921년 2월 12일 ~ 1925년 3월 31일
철도국장
시모오카 주지1925년 3월 31일 ~ 1925년 5월 26일권한 대행
오무라 다쿠이치1925년 5월 26일 ~ 1932년 9월 20일
요시다 히로시1932년 10월 4일 ~ 1938년 5월 4일
쿠도 요시오1938년 5월 4일 ~ 1939년 7월 24일
야마다 신주로1939년 7월 24일 ~ 1943년 12월 1일
교통국장
고바야시 토시카즈1943년 12월 1일 ~일제 치하 최후의 국장


5. 국우회

'''조선총독부 철도국 국우회'''(朝鮮總督府鐵道局局友會)는 일제강점기 조선에 존재했던 조선총독부 철도국(후에 교통국) 직원들을 위한 자치단체이다.[3] 국우들의 위안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3]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한강대로한국어 3가 40번지에 '''철도국 국우회관'''(鐵道局局友會館)을 운영했다.[4] 회관은 영화관으로도 기능했으며, 『영화연감 昭和十七年版』에는 경성부민관(종로구 태평로 1가 3번지) 등과 함께 상설영화관으로 기재되었다.[4] 기관지 『국우』를 편집, 발행했다.

참조

[1] 간행물 朝鮮鐵道状況外秘第30囘 1939
[2] 웹사이트 철도 주요 연표 - 한국철도협회 http://www.korass.or[...]
[3] 서적 (제목 없음) 2005
[4] 간행물 年鑑 194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