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지 호이트 휘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호이트 휘플은 1878년 태어나 1976년 사망한 미국의 의사이자 의학 연구자이다. 그는 빈혈과 간의 생리학 및 병리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특히 빈혈 환자에게 간을 먹이는 실험을 통해 간이 적혈구 생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밝혀, 1934년 조지 미노트, 윌리엄 머피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또한, 소장에 지방이 축적되는 질환인 위플병을 최초로 기술하기도 했다. 휘플은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체스터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의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로체스터 대학교 의과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병리학자 - 카를 란트슈타이너
    오스트리아 출신의 병리학자이자 면역학자인 카를 란트슈타이너는 ABO식 혈액형 발견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으며, 수혈 의학 발전과 폴리오 바이러스 분리, M, N, P 혈액형 및 Rh 인자 발견 등 면역학 및 바이러스학 분야에 크게 기여하여 '수혈 의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미국의 병리학자 - 현봉학
    현봉학은 한국 전쟁 중 흥남 철수 작전에서 알몬드 장군을 설득하여 9만 8천여 명의 피난민의 남한 탈출을 돕고 한미 의학계에 기여한 의사이자 병리학자로, 그의 공로를 기려 전쟁영웅으로 선정되고 동상이 건립되었다.
  • 로체스터 대학교 교수 - 아키라 이리에
    아키라 이리에는 미국에서 태어난 일본계 미국인 역사학자로, 외교사에 문화적 관점을 통합하여 국제 관계 연구를 확장하고 미국과 동아시아 관계, 냉전 시대 아시아 등에 대한 연구로 학계에 기여했으며, '역사의 국제화'를 주장하며 국제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로체스터 대학교 교수 - 윌리엄 H. 라이커
    윌리엄 H. 라이커는 게임 이론과 사회 선택 이론을 정치학에 도입한 실증적 정치 이론의 창시자이자 합리적 선택 이론의 선구자로, 연방제, 헤리스틱 연구로도 유명하다.
  • 뉴햄프셔주 출신 - 트리플 H
    폴 마이클 레베스크라는 본명을 가진 미국의 프로레슬러 트리플 H는 WWE의 전 최고 콘텐츠 책임자(CCO)이자, '페디그리' 기술과 '슬레지해머' 무기를 사용하며, D-제너레이션 X(DX)의 리더로서 큰 인기를 얻었고, NXT 브랜드의 성공적인 발전에 기여하며 WWE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뉴햄프셔주 출신 - 빅터 앰브로스
조지 호이트 휘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조지 휘플
이름조지 호이트 휘플
출생일1878년 8월 28일
출생지미국 뉴햄프셔주 애슐랜드
사망일1976년 2월 1일
사망지미국 뉴욕주 로체스터
국적미국
학력 및 경력
분야의학
소속 기관로체스터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신 학교존스 홉킨스 의과대학
예일 대학교
업적
주요 업적빈혈 치료에 요법 개발
수상노벨 생리학·의학상 (1934년)
기타
부모애슐리 쿠퍼 휘플, 프랜시스 애나 호이트

2. 생애

조지 호이트 휘플은 1878년 뉴햄프셔주 애슐랜드에서 태어나 1976년 뉴욕주 로체스터에서 사망하기까지 의학 연구와 교육 분야에 헌신한 인물이다.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에서 병리학 연구를 시작하여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의과대학을 거쳐 로체스터 대학교 의과대학(URMC) 설립과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조지 호이트 휘플은 1878년 뉴햄프셔주 애슐랜드에서 의사인 애슐리 쿠퍼 휘플과 프랜시스 안나 호이트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와 할아버지 모두 의사였으며, 할아버지는 뉴햄프셔 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1][4][5] 휘플은 어릴 적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폐렴이나 장티푸스로 잃고,[4][5][6] 어머니와 할머니 밑에서 자라며 근면과 교육의 중요성을 배웠다.[4][6]

휘플은 앤도버의 필립스 아카데미를 거쳐 1896년 예일 대학교에 입학하여 1900년에 학사 학위를 받았다.[1][4] 예일 대학교에서 그는 베타 세타 파이(Beta Theta Pi) 프래터니티 회원, 체조 선수, 조정 선수로 활동하였고,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7] 시그마 자이(Sigma Xi) 명예 학회에 선출되었고 우등으로 졸업하였다.[4][5][6] 특히 예일대 4학년 때 생화학자 러셀 헨리 치텐던(Russell Henry Chittenden)과 라파예트 멘델(Lafayette Mendel)과의 교류는 그의 삶과 경력에 큰 영향을 주었다.[4][8]

예일 대학교 졸업 후 1년간 홀브룩 군사학교에서 수학, 과학을 가르치고 운동 코치로 일했다.[4][6] 1901년, 존스홉킨스 의과대학(Johns Hopkins School of Medicine)에 진학하여 1905년 의학 박사(M.D.) 학위를 받았다.[1][4] 존스홉킨스에서는 윌리엄 웰치, 유진 오피, 윌리엄 맥캘럼 등의 지도 아래 병리학 연구에 매진했다.[4]

2. 2. 경력

1905년 휘플은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병리학과에 병리학 조교로 합류했다.[1] 1914년까지 조교, 강사, 부교수, 준교수로 승진했다.[1] 이 기간 동안 파나마의 앙콘 병원에서 1년간 병리학자로 일하며,[1] 흑수열과 관련된 대량 용혈을 연구하는 등 열대 질환에 대한 경험을 쌓았다.[4]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으로 돌아가기 전에는 유럽을 여행하며 하이델베르크에서 토끼의 빈혈에 대해, 비엔나에서 개를 이용하여 간문맥 혈류와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다.[4]

191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의과대학의 연구 의학 교수 겸 후퍼 의학 연구 재단의 소장으로 임명되었고,[1] 1920년부터 1921년까지 의과대학 학장을 역임했다.[1]

1921년, 로체스터 대학교 총장 벤저민 러시 리스의 제안으로 의과대학(URMC)의 초대 학장 겸 병리학과 교수가 되었다.[9] 리스는 휘플을 영입하기 위해 직접 샌프란시스코로 가서 의과대학을 처음부터 설립할 기회를 제공했다.[4] 휘플은 임상 및 전임상 분야 간의 교류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의과대학과 병원을 같은 장소에 두는 비전을 가지고 있었다.[4][8] 1925년 최초의 학생들이 URMC에 입학했다.[8]

휘플은 학장 재직 시절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생들을 차별하여 입학을 거부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1939년, 뉴욕 주 의회 위원회는 이러한 관행이 뉴욕의 반차별법 위반이라고 판단했으며, 그 후 URMC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의대생들을 입학시키기 시작했다.[10][11]

2. 3. 은퇴와 죽음

1953년, 75세의 나이로 휘플은 학장직에서 은퇴했고, 1955년에는 대학에서 완전히 은퇴했다.[4] 그는 뛰어난 교수로 기억되었다.[9][12] 그의 자서전 "A Dozen Doctors"에서 휘플은 "나는 교수로 기억될 것이다"라고 썼다.[6][13] 그는 은퇴 후 로체스터 대학교의 병리학과 및 의과대학 활동에 참여했지만, 본래의 야외 활동가 기질로 돌아가 꿩 사냥, 마가리 강에서의 연어 낚시, 플로리다 해안에서의 타르폰 낚시로 시간을 보냈다.[4]

1976년 2월 1일, 폐렴으로 뉴욕주 로체스터의 병원에서 사망했다. 향년 97세였다.[17] 그의 유해는 로체스터의 마운트 호프 묘지에 안치되었다.[8]

3. 연구 업적

휘플은 평생 300편 이상의 논문을 저술하거나 공동 저술했다.[4]

휘플의 초기 연구 중 하나는 결핵을 유발하는 결핵균의 확산에서 폐, 림프계, 위장관의 역할을 설명한 것이다.[4]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에서 윌리엄 H. 웰치의 지도 아래 간세포의 수리 및 재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간세포가 거의 무제한적인 재생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밝혀냈다.[1] 또한, 클로로포름 간 손상 연구를 통해 간이 피브리노겐 합성 부위임을 입증했다.[4] 그의 연구는 담즙 색소가 순환계로 들어가 신체의 여러 부분에서 황달을 유발하는 경로를 밝히는 데에도 기여했다.[1]

이후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 후퍼 재단에서 담즙 누공을 통해 간 외부에서 담즙 색소의 생성을 연구했으며, 헤모글로빈 생성과 담즙 색소로의 대사 과정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다.[1] 1939년부터 1943년까지는 레온 L. 밀러와 함께 개에 대한 클로로포름 마취의 간독성 효과를 연구했다.[4] 그 결과, 단백질이 고갈된 개는 마취 15분 이내에 치명적인 간 손상을 입지만, L-메티오닌이나 L-시스테인이 풍부한 단백질 식사를 통해 간을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4]

193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시상식에서 I. 홀름그렌은 휘플의 실험이 잘 계획되었고 정확한 결과를 냈으며, 그 결과가 절대적인 신뢰성을 갖는다고 평가했다. 또한, 휘플의 연구를 바탕으로 조지 미노트와 윌리엄 P. 머피가 인간의 악성빈혈에 응용하는 것을 생각해냈다고 언급했다.

3. 1. 빈혈 및 간 연구

휘플의 주된 연구 분야는 빈혈생리학병리학이었다.[1] 그는 빈혈에 걸린 개에게 간을 먹이는 실험을 통해 간이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여 빈혈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인 식이 보충제임을 입증했다.[1][2][4] 이 연구 결과는 조지 R. 미노트와 윌리엄 P. 머피의 악성빈혈 간 치료법 개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9] 당시 치명적이었던 악성빈혈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9]

휘플은 담즙 색소, 철 대사, 혈장 단백질 재생, 단백질 대사, 적혈구 기질 등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여 중요한 학문적 공헌을 했다.[1] 1937년에는 윌리엄 B. 호킨스와 공동으로 개의 적혈구 수명을 결정하는 연구를 진행했다.[4] 방사성 철을 이용하여 철 흡수 및 이용 과정을 연구하고, 철 흡수가 소장에서 엄격하게 조절되며 신체의 철 저장량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된 식이 아미노산 조합이 혈장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비경구 영양(정맥 영양)의 발전에 기여했다.[4]

3. 2. 위플병(Whipple's disease)

1907년, 조지 호이트 휘플은 소장과 림프절 벽에 지방산이 축적된 환자의 부검 결과를 설명하는 논문을 발표했다.[4] 그는 이 질병을 장 지방이영양증(intestinal lipodystrophy)이라고 명명했고,[4] 지방 침착의 원인이 세균 감염이라는 것을 정확하게 지적했다.[8] 이 질병은 현재 위플병으로 불리며, 휘플의 선구적인 연구 업적을 기리고 있다.[8]

4. 수상 경력


  • 193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2]
  • 1930년 미놋과 함께 Popular Science Monthly 금메달 및 연례상 수상[1]
  • 1934년 필라델피아 병리학회 윌리엄 우드 거하드 금메달[1]


조지 호이트 휘플의 회원 자격
단체명자격
록펠러 재단이사
비엔나 의사 협회통신 회원
부다페스트 왕립 의사회회원
유럽 혈액학회회원
영국 의학 협회외국 통신 회원
영국 및 아일랜드 병리학회명예 회원
미국 철학회명예 회원
실험 생물학 및 의학회명예 회원
록펠러 연구소 과학 이사회회원
록펠러 연구소 이사회회원, 부의장, 명예 이사

[1][4]

5. 저서

6. 기타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출력도 없으므로, '기타' 섹션에 대한 수정 작업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George H. Whipple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2017-10-10
[2] 웹사이트 George H. Whipple – Facts https://www.nobelpri[...] 2017-10-11
[3] 웹사이트 Tradition of Discovery :: Research :: University of Rochester https://rochester.ed[...] 2017-10-11
[4] 서적 George Hoyt Whipple Biographical Memoirs V.66 https://www.nap.edu/[...]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5] 논문 George Hoyt Whipple and his friends; The life story of a Nobel Prize pathologist https://jamanetwork.[...] Lippincott
[6] 논문 Autobiographical Sketch 1959
[7] 서적 Catalogue of Beta Theta Pi https://books.google[...] 1905
[8] 논문 Obituary notices 1976-02-21
[9] 웹사이트 Who is George H. Whipple? – George H. Whipple Lab for Cancer Research – University of Rochester Medical Center https://www.urmc.roc[...] 2017-10-11
[10] 간행물 Second report of the New York state Temporary commission on the condition of the colored urban population to the legislature of the state of New York, February, 1939 J. B. Lyon company
[11] 뉴스 George Eastman created Rochester's middle class. Why was the Black community left behind? https://www.democrat[...] Democrat and Chronicle 2022-12-08
[12] 서적 Guiding the Surgeon's Hand American Registry of Pathology
[13] 논문 A Dozen Doctors. Autobiographic Sketches. 1964-04-01
[14] 논문 Whipple of Whipple's disease
[15] 웹사이트 University of Rochester Library Bulletin: The Whipples and George Eastman RBSCP http://rbscp.lib.roc[...] 2017-10-11
[16]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34: Presentation Speech http://nobelprize.or[...] 2010-01-03
[17] 뉴스 訃報欄 朝日新聞 1976-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