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지 호지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호지슨은 1893년 몬트리올에서 태어나 1983년 사망한 캐나다의 수영 선수이다.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에서 400m와 1500m 자유형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캐나다 수영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영국 해군 항공대 조종사로 복무했으며, 해상 인명 구조 훈장, 공적 보고, 공군 십자 훈장을 받았다. 1955년 캐나다 스포츠 명예의 전당, 1968년 국제 수영 명예의 전당, 1996년 맥길 대학교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남자 수영 선수 - 빅터 데이비스
    빅터 데이비스는 1980년대 평영에서 두각을 나타낸 캐나다 수영 선수로, 올림픽, 세계 선수권, 코먼웰스 게임 등에서 메달을 휩쓸었으며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200m 평영에서 금메달과 세계 신기록을 동시에 달성했고, 은퇴 후 안타까운 사고로 생을 마감했지만 그의 업적은 기념 사업과 영화로 기려지고 캐나다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캐나다의 올림픽 수영 참가 선수 - 마거릿 맥 닐
    마거릿 맥닐은 중국 출생 캐나다 입양 수영 선수로, NCAA 기록을 세우고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24년 9월 수영 은퇴를 발표했다.
  • 캐나다의 올림픽 수영 참가 선수 - 빅터 데이비스
    빅터 데이비스는 1980년대 평영에서 두각을 나타낸 캐나다 수영 선수로, 올림픽, 세계 선수권, 코먼웰스 게임 등에서 메달을 휩쓸었으며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200m 평영에서 금메달과 세계 신기록을 동시에 달성했고, 은퇴 후 안타까운 사고로 생을 마감했지만 그의 업적은 기념 사업과 영화로 기려지고 캐나다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12년 하계 올림픽 수영 참가 선수 - 듀크 카하나모쿠
    하와이 출신 수영 선수이자 서퍼인 듀크 카하나모쿠는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스포츠 영웅이 되었고, "근대 서핑의 아버지"로 불리며 하와이 문화 홍보에 기여했다.
  • 1912년 하계 올림픽 수영 참가 선수 - 패니 듀락
    오스트레일리아 수영 선수 패니 듀락은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 여자 100m 자유형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호주 최초의 여성 올림픽 수영 금메달리스트이자 1910년대 자유형 세계 기록을 세운 여자 수영계의 선구자이며, 1967년 국제 수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조지 호지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12년 조지 호지슨
1912년 호지슨
본명조지 리치 호지슨
별칭해당사항 없음
국적캐나다
종목자유형
소속 클럽해당사항 없음
대학 팀맥길 대학교
출생일1893년 10월 12일
출생지퀘벡 주몬트리올
사망일1983년 5월 1일
사망지몬트리올, 퀘벡
해당사항 없음
몸무게해당사항 없음
메달 기록 (남자 수영)
올림픽해당사항 없음
금메달1912년 스톡홀름 400m 자유형
1912 스톡홀름 1500m 자유형

2. 생애

조지 호지슨은 1893년 퀘벡 주 몬트리올에서 태어났다. 1912년 맥길 대학교에 입학하여 수영과 수구 선수로 활동했다. 맥길 대학교 재학 중 제타 사이 동아리에 가입했으며, 1916년 응용 과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1] 1955년 캐나다 스포츠 명예의 전당, 1968년 국제 수영 명예의 전당, 1996년 맥길 대학교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1983년 몬트리올에서 사망했다.[1]

조지 호지슨의 먼 친척들 중 여러 명이 캐나다 스포츠계에 참여했다. 그의 삼촌 빌리 호지슨과 아치 호지슨은 1880년대와 1890년대 몬트리올 아마추어 육상 협회의 저명한 운동선수였으며, 아이스하키라크로스를 모두 했다.[1] 아치 호지슨은 조지 호지슨이 태어난 1893년, 최초의 스탠리 컵 우승팀의 멤버였다.[1]

3. 선수 경력

조지 호지슨은 1984년까지 캐나다의 유일한 올림픽 수영 금메달리스트였다. 3년 동안 수영 선수로 활동하면서 스톡홀름 올림픽 400m와 1500m 자유형에서 우승하는 등 경주에서 패한 적이 없다. 그의 전례 없는 성공은 트러젠 영법, 즉 자유형과 사이드 스트로크의 혼합형을 혁신한 덕분으로 널리 알려졌다.[6][7]

3. 1.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

스톡홀름 올림픽에서 호지슨은 400m와 1500m 자유형에서 각각 5분 24.4초와 22분 00.0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6][7] 이는 1984년까지 캐나다의 유일한 올림픽 수영 금메달이었다.

호지슨은 1500m 경기 첫 라운드에서 22분 23.0초의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 또한 1500m 올림픽 챔피언십에서 1000야드 및 미터, 1마일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으며, 1500m 레이스 거리에서도 기록을 갈아치웠다. 당시 18세였던 그는 경기 후에 은퇴하였다.

그의 400m 기록은 1924년 자니 와이즈뮬러에 의해 깨졌다. 호지슨은 1912년 캐나다의 유일한 수영 선수였다.

3. 2. 1920년 앤트워프 올림픽

8년 후, 26세로 1920년 앤트워프 올림픽에 참가했지만 이미 선수로서의 절정기는 지나, 400m 자유형과 1500m 자유형 모두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4.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조지 호지슨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 해군 항공대(RNAS)에서 조종사로 복무했다. 1916년 1월 18일 오타와에서 시보 비행 부소위로 임명되었고, 6월 16일부터 친포드에서 근무했다. 이후 펠릭스토로 이동하여 펠릭스토 F2A 비행정을 조종하며 대잠수함 초계 임무를 수행했고, 1917년 6월 30일 비행 중위로 진급했다.[3]

1918년 6월 1일 남동부 지역(군번 R 184192)에 배치되었고, 8월 18일부터는 오크니 제도 호턴 수상기 기지에서 셰틀랜드 제도 레르윅의 Porte Baby 9810(대형 비행정) 조종사로 활동했다. 1918년 10월 2일 제210 훈련소로 배치되었으며, 1919년 1월 10일 셔른클리프로 이동, 1919년 1월 22일 실업자 명단에 올랐다.

4. 1. 수훈 내역


  • 해상 인명 구조 훈장 (Board of Trade Silver Medal for Gallantry in Saving Life at Sea영어): 1918년 3월 27일 <The Aeroplane>지에 발표된 무역부 장관의 추천으로 수여됨. F/Lt 제임스 린제이 고든, 수석 정비공(E) 시드니 프랜시스 앤더슨, 무선 통신사(A.M.II) 버트람 할리 밀리챔프와 함께 '1917년 5월 29일 북해에서 뒤집힌 부유물에서 두 명을 구조한 공로'로 수여. 1918년 9월 4일 버킹엄 궁전에서 수여됨.[3]
  • 공적 보고 (Mention in Despatches): 1917년 10월 1일 런던 가제트. 국내 해역 순찰 임무 수행 (Flight Lieutenant|비행 중위영어 조지 리치 호지슨, RNAS).[4]
  • 공군 십자 훈장 (Air Force Cross): 1918년 11월 2일 런던 가제트 (캡틴 조지 리치 호지슨, RAF).[5]

5. 명예

1949년 캐나다 아마추어 스포츠 명예의 전당, 1968년 국제 수영 명예의 전당, 1996년 맥길 대학교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

6. 기록

1984년까지 캐나다의 유일한 올림픽 수영 금메달리스트였던 호지슨은 3년이라는 짧은 선수 생활 동안 스톡홀름 올림픽에서 400m와 1500m 자유형에서 우승하는 등, 출전한 모든 경기에서 승리했다.[6][7] 1500m 경기 첫 라운드에서 22분 23.0초의 세계 신기록을 세웠으며, 당시 18세의 나이로 올림픽 직후 은퇴했다. 그의 400m 기록은 1924년 자니 와이즈뮬러에 의해 깨졌다.

6. 1. 올림픽 기록

6. 2. 기타 기록

1984년까지 캐나다의 유일한 수영 금메달리스트였던 호지슨은 3년 동안 수영을 하면서 스톡홀름 올림픽에서 400m와 1500m 자유형에서 각각 5분 24.4초와 22분 00.0초의 기록으로 우승하는 등, 경주에서 패한 적이 없다.[6][7]

그는 1500m 경주의 첫 라운드에서 22분 23.0초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 당시 18세였던 그는 경기 후에 은퇴하였다. 그의 400m 기록은 1924년 자니 와이즈뮬러에 의하여 깨졌다.

참조

[1] Sports-Reference George Hodgson Olympic Results https://web.archive.[...] 2016-09-04
[2] 웹사이트 George Hodgson https://www.olympedi[...] 2021-06-07
[3] 간행물 London Gazette 1917-06-29
[4] 간행물 London Gazette 1917-09-28
[5] 간행물 London Gazette 1918-11-01
[6] 문서 400 metres Freestyle, Men https://www.olympedi[...]
[7] 문서 1,500 metres Freestyle, Men https://www.olympedi[...]
[8] 문서 George Hodgson https://www.olymped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