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슨 결합 도식은 유한 집합과 자연수를 사용하여 정의되는 결합 도식의 한 유형이다. 이진 존슨 결합 도식 J₂(k, n)은 크기 n인 유한 집합 S의 크기 k인 부분 집합들의 집합족 X와 해밍 거리를 기반으로 하는 이항 관계를 통해 정의된다. q진 존슨 결합 도식 Jq(k, n)은 유한 집합 Σ와 해밍 무게를 사용하여 정의되며, Σ의 크기에 따라 e와 f 함수를 통해 이항 관계가 결정된다. 존슨 결합 도식은 대칭 결합 도식이며, 집합의 크기는 q진의 경우 (q-1)^k * (n choose k)이다. 이진 존슨 결합 도식의 이항 관계 수는 ⌊n/2⌋ + 1개이며, 해밍 거리를 통해 두 원소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존슨 결합 도식의 고윳값은 에벌라인 다항식을 사용하여 계산되며, 미국의 수학자 셀머 마틴 존슨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조합론 - 집합의 분할 집합의 분할은 주어진 집합을 서로소인 부분 집합들로 나누는 것이며, 동치 관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벨 수로 표현되며, 플레잉 카드를 나누는 것과 같은 예시가 있다.
조합론 - 계승 (수학) 계승은 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해 1부터 n까지의 자연수를 곱한 값으로, 0의 계승은 1로 정의되며, 대칭군의 크기와 같다는 성질을 통해 기수로 확장될 수 있고, 다중 계승, 지수 계승 등으로 확장 및 응용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