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좀날개나방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좀날개나방과는 주행성 나방으로, 주로 봄에 해가 뜨는 새벽이나 햇빛 속에서 활동한다. 이들은 작고 반짝이는 금색 또는 보라색 날개를 가지며, 암컷은 잎에 알을 낳는다. 애벌레는 잎 속에서 배설물과 함께 큰 반점을 만들며, 번데기는 땅속 고치 안에서 턱을 가진 형태로 존재한다. 속명 'Eriocrania'는 그리스어 'erion'(양털)과 'kranion'(머리 윗부분)에서 유래되었으며, 여러 속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좀날개나방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Eriocrania semipurpurella
학명Eriocraniidae
명명자레벨, 1901
종 다양성25종
하위 분류군 계층
하위 분류군Dyseriocrania
Eriocrania
Eriocraniella
Issikiocrania
Neocrania
†Eriocranites Kernbach, 1967
분류
상위 분류군선조나방하목 (Dacnonypha)
하목 명명자Hinton, 1946 sensu Minet, 2002
상과좀날개나방상과 (Eriocranioidea)
참고 자료

2. 특징

이 과에 속하는 나방은 주행성으로, 봄철 해가 뜨는 새벽이나 햇빛 아래에서 활동한다. 때로는 기주 식물이 되는 나무 주변에서 무리를 지어 날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빛에 이끌려 오기도 하며, 평소에는 잔가지나 나뭇가지에 앉아 휴식을 취한다. 외부 자극으로 인해 나뭇가지에서 떨어지면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는 특징이 있다.

몸집이 작아 앞날개 길이는 4mm에서 7mm 정도이다. 앞날개는 반짝이는 옅은 금색 또는 보라색 바탕에 얼룩덜룩한 무늬가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보라색을 띠는 종은 육안으로 구별하기 어려워 생식기 구조를 확인해야 할 수도 있다.

암컷은 잎 조직을 뚫을 수 있는 산란관을 가지고 있다. 거의 무색에 가까운 알을 잎의 유조직이나 잎눈 속에 낳는다.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는 흰색 또는 회색을 띠며, 잎 속에서 배설물과 함께 얽혀 큰 반점 형태의 굴을 만들며 생활한다. 번데기 시기에는 땅속으로 들어가 튼튼한 실크 고치를 만들고 그 안에서 턱을 가진 형태로 지낸다.[5][6]

3. 어원

속명 ''에리오크라니아''(Eriocraniaeng)는 '털이 많은 머리'라는 의미다. 이는 그리스어 erion|에리온grc(양털)과 kranion|크라니온grc(머리 윗부분)에서 유래했다.[7][8]

4. 하위 속


  • ''Dyseriocrania''
  • ''Eriocrania''
  • ''Eriocraniella''
  • ''Heringocrania''
  • ''Issikiocrania''
  • ''Neocrania''
  • ''Paracrania''
  • † ''Eriocranites'' (Kernbach, 1967)

참조

[1] 논문 Un nom d'infra-ordre pour les Acanthopteroctetidae (Lepidoptera)
[2] 논문 A revision of the North American moths of the superfamily Eriocranioidea with the proposal of a new family, Acanthopteroctetidae (Lepidoptera) http://www.sil.si.ed[...] 2011-05-08
[3] 논문 Biosystematic study of ''Issikiocrania japonicella'' Moriuti (Lepidoptera: Eriocraniidae), with description of immature stages
[4] 서적 Band 4: Arthropoda, 2 Hälfte: Insecta, Lepidoptera, Moths and Butterflies, Teilband/Part 35, Volume 1: Evolution, Systematics, and Biogeography De Gruyter 1998-12-31
[5] 서적 Eriocraniidae. ''In'' [[The Moths and Butterflie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Volume 1'' Harley Books 1983
[6] 서적 Field Guide to the Micro moth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British Wildlife 2012
[7] 웹사이트 Microlepidoptera (Micro-Moths) http://www.cisfbr.or[...] 2021-12-22
[8] 서적 The Scientific Names of the British Lepidoptera. Their history and meaning Harley Books 1991
[9] 저널 Un nom d'infra-ordre pour les Acanthopteroctetidae (Lepidoptera)
[10] 저널 A revision of the North American moths of the superfamily Eriocranioidea with the proposal of a new family, Acanthopteroctetidae (Lepidoptera) http://www.sil.si.ed[...]
[11] 저널 Biosystematic study of ''Issikiocrania japonicella'' Moriuti (Lepidoptera: Eriocraniidae), with description of immature stages
[12] 서적 Lepidoptera, Moths and Butterflies. Volume 1: Evolution, Systematics, and Biogeography Walter de Gruy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